메모

유무선 공유기를 허브로 변경하는 법...펌

맘편한넘 2010. 9. 7. 18:36

 유,무선 공유기를 허브(AP)로 변경방법

모델 : 공통 Date : 2010.03.25
분류 : 무선보안 및 무선장애
 

* 공유기를 허브로 변경해서 연결 확장방법 ( 단순허브 및 AP로 변경방법 )

   

  

> 기존 공유기 및 회사망 -> 유선/무선 공유기로 연결하는 경우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유선포트를 확장하는 방법으로 총 6개를 활용 할 수 있으며, 무선공유기인 경우 무선허브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상황1) 

 기존 회사 유선망을 사용하고 있고 회사의 네트웍을 유지하면서 무선 노트북 및 PC를 무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 (단순AP 허브기능)

  

상황2)

 기존 유선 공유기(GW-400A/500A/550A)의 모든포트를 사용중이고 PC를 추가해야하고, 무선을 추가로

 확장해야 하는 경우 (단순AP 및 허브기능)

  

* 주의

공유기 <->  공유기로 직접 wan포트로 연결도 가능합니다만, 공유기 방화벽이 2개가 되게 되므로

게임 및 서버사용, 내부 네트웍에 제약이 있게되므로 하단의 공유기를 (허브)로 변경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

  

1) 공유기 LAN 1번 포트에 pc 1대만 직접 연결합니다. (다른 케이블은 연결하지 않습니다.)

  

2) 연결된 pc에서 공유기 설정창으로 접속합니다.
->
익스플로러 실행: 주소 : 192.168.10.1 입력->엔터-> 공유기 설정창 접속 


> anyagte 설정하기 클릭!





  

(신형 공유기 : RG-4x00A / RG-5x00A 제품군)

 



 

 

 

(구형 공유기 및 유선 공유기: RG-3x00A 및 유선공유기)





 





  

  

* 무선을 사용하셔야 한다면 허브로 설정적용 이전 보안설정을 먼저 해서 확인해 주십시오.

 

무선 보안설정 방법 보러가기 

  

  

  

3) IP 변경 및 DHCP 사용안함으로 지정해 주십시오.

  

 

  

(신형 공유기 : RG-4x00A / RG-5x00A 제품군)

설정창 -> 전문가설정 -> IP설정 -> 내부네트워크설정 -> IP 192.168.10.x 으로 변경, DHCP 사용안함으로 변경




 

 

 

(구형 공유기 및 유선 공유기: RG-3x00A 및 유선 공유기)

설정창 -> 기본설정 -> LAN설정 -> IP를 192.168.10.x(임의숫자로 입력), DHCP 사용 안함으로 변경







 







 
* 참고: 앞단에 설치되어있는 공유기의 주소가 192.168.10.(1)로 애니게이트 기본주소와 동일한 경우

             충돌이 발생되므로 IP 변경시 마지막을 숫자를 다른번호 (2) 번으로 변경

 


4) 상단의 공유기에서 나온 랜 케이블을 추가로 설정한 공유기의 LAN ,2,3,4 1곳으로 연결



    (주의 허브로 사용될 때에는 공유기 WAN포트를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상단 공유기에 연결되어있는 PC에서 매뉴얼에 나와있는 것과 같이 프린터 서버설정을 해주시면 하단 공유기에

연결된 PC(유,무선)도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 유무선공유기로 무선허브 만들어 사용하기 >

 

1.       유무선공유기 관리자 화면으로 가서, 고정 IP 방식을 선택하고 DHCP 기능을 중지시킨다.

 이때, DHCP 기능을 중지시키면 유무선공유기의 관리자 화면에 갈수 들어갈 수 없으므로 ,

미리 유무선공유기 비밀번호 등 셋팅할 값들을 셋팅해 놓고 DHCP 기능을 중지시킨다.
                ( 관리자 페이지는 보통 192.168.0.1(iptime경우) 등으로 들어간다. )

2.       WAN 포트에 있는 인터넷선을 LAN포트 1~4 중에서 선택해서 꽂는다.

이렇게 꽂으면 유뮤선공유기는 무선허브로 변신하게 된다.

( DHCP 기능을 중지시키고 인터넷선을 WAN포트에서 LAN포트로 꽂으면, 유무선 공유기는 무선허브로 변신한다. 따로 무선허브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3.       네트웍프린터 등 유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것들은 LAN포트에서 선을 빼 연결해준다.

4.       LAN포트 4개로 부족할 경우, 추가로 유선허브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된다.

5.       유선이든 무선으든 무선허브(유무선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나 프린터는 고정IP로 셋팅을 해줘야 유무선으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고정IP로 설정을 안해줘도 가능한 경우도 있다.

6.       위와 같은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무선허브를 다시 유무선공유기로 사용하고자 할때는 리셋을 시키면 다시 유무선공유기로 사용할 수 있다. "리셋"은 보통 뾰족한 것으로 리셋을 누르면 된다. 기기마다 달라서 메뉴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