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
초보자를 위한 디지탈 카메라 구매 요령...펌
맘편한넘
2010. 10. 13. 15:07
초보자를 위한 디지탈 카메라 구매 요령 |
![]() |
초보자를 위한 디지탈 카메라 구매 요령 1 A:link {text-decoration:none}; A:visited {text-decoration:none}; A:hover {color:#FF0000; text-decoration:underline}; 디시인사이드 리뷰어로 근무하기 시작하면서, 2년 동안 거의 하루도 끊이지 않고 받아온 질문은 다름아닌 "어떤 카메라를 사야 하나요?" 입니다. 저희 디시인사이드 리뷰나 안내기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궁금증을 문의하실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한 리뷰어의 이름과 메일 주소를 리뷰나 안내기 하단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그 메일 주소로, 해당 제품에 대한 궁금증을 문의하는 분들도 있지만, 그 글과 상관없이 '어떤 디지탈 카메라를 사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더 많이 받고 있습니다. 아마 디시인사이드에 근무하는 리뷰어들이라면 이런 내용의 E-mail을 하루 2 ~ 3 통 이상 받고 있을 것입니다. 물론 짬이 날 때마다 답장을 쓰고는 있지만, 다른 업무에 밀려 모든 메일에 답장을 드리지 못하고 있어 죄송한 마음입니다. 그 대신 지금부터 작성하는 이 글이 디지탈 카메라를 처음 구입하려는 분들께 카메라를 선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E-mail을 통해 어떤 제품을 사야 하는지 질문을 주는 분들의 연령대는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에는 이제 막 중학생이 된 소년도 있고, 연세가 50을 훌쩍 넘기신 제 아버지 뻘 되는 분도 있습니다. 또 그보다 더 연세가 지긋한 교수님도 계셨습니다. 직업도 가지 각색으로 목사님, 미대생, 공대생, 회사원, 자영업자, 교수님 등 다양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나이와 직업을 가진 분들이 저에게 궁금해 하는 사항은 바로 "어떤 카메라를 사야 하는가?"입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초보자를 위한 '나에게 맞는 디지탈 카메라를 고르는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로 무엇을 촬영하는가? 모두 아시겠지만, 카메라는 무언가를 촬영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 무언가라는 것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지 않습니다. 미대생은 자신의 작품을 찍거나 다른 사람의 작품들을 촬영하기 위해 디지탈 카메라를 필요로 하고, 목사님은 교회 아이들을 촬영할 목적으로 카메라를 구입하기도 합니다. 또, 등산을 좋아하는 분들은 정상에 올라 바라보는 풍경을 담기 위해, 어떤 분은 자신의 여자 친구에게 선물하기 위해 디지탈 카메라를 구입하려는 분들도 있습니다. 물론 그냥 이것저것 다 촬영하기 좋은 카메라를 고르려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하고 빠른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자주 촬영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풍경을 주로 촬영하는 분이라면 광각 렌즈를 채용한 제품이 좋습니다. 운동 경기 등을 자주 촬영하는 분이라면 콘티뉴어스 포커스를 지원하거나 고배율 줌을 지원하는 제품이 알맞습니다. 주로 인물을 촬영할 목적이라면 광학 3 ~ 5배 줌 정도만 지원해도 촬영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아이들이나 애완동물을 주로 촬영한다면, 되도록 렌즈가 밝고, 고속 셔터를 지원하는 제품이 좋습니다. 이렇게 자신이 주로 무엇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입하는지 확실히 알아두면, 카메라의 어떤 기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이 기능은 반드시 필요하다.'라는 점, 한 두가지는 생각해 둔다. 주로 무엇을 촬영할지 파악했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디지탈 카메라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비슷한 조건의 제품들이 각 제조사별로 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그 다음으로 나에게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즉 2차적 선택 요소를 결정해두면 크게 고민하지 않고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요인은 가격이 될 수도 있고, 제품의 크기나 무게, 또는 디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물을 주로 촬영하기 위해 광학 3 ~ 5배 줌을 지원하는 제품들을 골라두었다면, 2차 선택 요소를 염두에 두고 제품들을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그 중에서 자신이 정한 기준에 따라 가격이 가장 저렴하거나 크기가 작은 제품, 렌즈가 밝은 제품 등 조건에 부합하는 제품을 선택합니다. 그렇다면, 카메라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각 제조사에서는 제품이 출시되기 전 직접 제품을 보지 않고도 미리 카메라의 기능을 알 수 있도록 제품 사양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자신에게 맞는 카메라를 선택하기 위해 사양표에서 살펴보아야 할 부분이 어떤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고, 내수와 정품의 차이점 등, 디지탈 카메라 선택 요인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디시인사이드 가격비교 바로가기 :::> 브랜드별 디지탈 카메라 안내기 및 리뷰 바로가기 :::> 화소별 디지탈 카메라 안내기 및 리뷰 바로가기 :::> 디시 추천 디카 << 2004. 10. 13. 신윤경 liz077@korea.com >> 초보자를 위한 디지탈 카메라 구매 요령 2 A:link {text-decoration:none}; A:visited {text-decoration:none}; A:hover {color:#FF0000; text-decoration:underline}; 지난 시간에 이어 초보자를 위한 디지탈 카메라 구매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표는 저희 디시인사이드에서 사용하는 사양표 양식으로 파나소닉 FZ20 사양표입니다. 사양표만 봐도 제품의 장점과 단점, 특징을 파악할 수 있지만, 사실 사양표를 처음 대하는 분들은 당연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것입니다. 그렇다고, 사양표의 모든 내용이나 용어를 모두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각 항목이 카메라의 어떤 기능을 설명하고 있는지 정도만 이해해도 됩니다. 이를 통해 카메라를 구입하기 전, 자신이 살펴보아야 할 항목을 직접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사양표를 살펴보겠습니다. CCD 1/2.5인치 유효화소수 500만 화소(총 화소수 536만 화소) CCD, 원색 필터 파일 포맷 : JPEG(Exif Ver. 2.2), TIFF : MOV(Motion JPEG) 기록 해상도 : 2,560 x 1,920 / 2,048 x 1,536 / 1,600 x 1,200 / 1,280 x 960 / 640 x 480 / 1,920 x 1,080(16:9 HDTV) : 320 x 240 압축률 JPEG(파인 / 스탠다드), TIFF 렌즈 및 초점거리 f = 6 ~ 72mm(35mm 필름 환산 시 36 ∼ 432mm) 라이카 DC 바리오 엘마리트 렌즈 8군 13매(ED렌즈 1매, 비구면 렌즈 3매 사용) 추가 컨버젼 렌즈 장착 가능 렌즈 밝기 F2.8(줌 전역에서 동일한 렌즈 밝기) 줌 광학 12배, 디지탈 4배 AF 보조광 지원함 초점 조절 : 컨티뉴어스 AF, 원샷 AF(AF 영역 : 1점, 3점, 9점 측거, 스팟) : 포커스 링으로 조절 촬영 범위 : 약 30 cm(광각) / 2m(망원) ∼ : 약 5cm(광각) / 2m(망원) ∼ 노출 제어 조리개 조절범위 F2.8 ~ F8.0 셔터스피드 조절범위 8 ∼ 1/2,000초 노출보정 ±2.0EV(0.3EV 스텝씩) 오토 브래킷 ±1.0EV(0.3EV 스텝씩, 한번에 최대 3매 촬영) 측광 방식 감도 화이트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 미조정 : ±10 스텝(오토 모드 제외) 셀프타이머 손떨림 보정기능 내장 플래쉬 플래쉬 연동범위 7.0m까지 외장 플래쉬 핫슈 단자를 통해 연결 이미지 설정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채도, 노이즈 리덕션 (로우, 스탠다드, 하이의 3단계로 설정가능) 촬영 모드 장면 모드 연사 : 초당 3매 / 최대 7매 연속 촬영(스탠다드) / 최대 4매 연속 촬영(파인) : 초당 2매 / 최대 7매 연속 촬영(스탠다드) / 최대 4매 연속 촬영(파인) 무한 연사 : 메모리 카드에 따라 속도가 차이남 / 메모리가 가득찰 때까지 연속하여 촬영 동영상 320 x 240, 초당 10프레임/30프레임 메모리가 가득찰 때까지 연속 촬영 포함 음성 첨부 정지 화상 촬영 : 5초 음성 녹음 최대 10초 녹음 뷰 파인더 0.33인치 전자식 뷰 파인더(114,000화소 / 시도 조절 장치 : -4 ~ +4 디옵터 / 시야율 약 100%) 액정 모니터 2.0인치 TFT 칼라 액정 모니터(약 130,000 화소 / 시야율 약 100%) 저장 매체 전송 방식 입출력 단자 비디오 출력단자(NTSC / PAL), 전원 입력단자 전원 충전식 리튬이온 배터리(약 240매 촬영 가능) / AC 아답타 크기 128 × 87 × 106mm 무게 556g(배터리 포함) / 520g(배터리 제외) 그 밖의 특징 PictBrige지원 사양표 제일 첫 항목에 나와 있는 CCD는 CCD의 크기와 제품이 지원하는 화소수를 나타냅니다. CCD 크기는 분수로 나타내므로, 분모가 작을수록 CCD 크기가 큰 것입니다. CCD 크기는 화질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작은 것보다 큰 것이 좋고, 클수록 가격도 비싼 편입니다. 요즘 출시되는 제품들은 500만 화소 이상 제품의 경우 보통 1/1.8인치 이상의 CCD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CCD 1/2.5인치 유효화소수 500만 화소(총 화소수 536만 화소) CCD, 원색 필터 파일 포맷은 제품이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을 말합니다. 거의 모든 제품이 JPEG를 지원하며, 그보다 고급형 제품이나 DSLR의 경우 비압축 포맷인 RAW나 TIFF 로 이미지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동영상 포맷으로는 MOV, AVI, QuickTime, MPEG4 등이 있습니다. 동영상 촬영이 우수한 제품을 찾는다면 MPEG4 포맷을 지원하는 모델을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파일 포맷 : JPEG(Exif Ver. 2.2), TIFF : MOV(Motion JPEG) 기록 해상도는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부분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압축률은 한가지 해상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압축률을 나타냅니다. 압축률이 높을수록 파일 용량은 작아지지만, 화질은 떨어집니다. 압축률은 대부분 2 ~ 3가지 정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질은 파인(슈퍼파인) > 노말(파인) > 스탠다드(노말) 순입니다. 기록 해상도 : 2,560 x 1,920 / 2,048 x 1,536 / 1,600 x 1,200 / 1,280 x 960 / 640 x 480 / 1,920 x 1,080(16:9 HDTV) : 320 x 240 압축률 JPEG(파인 / 스탠다드), TIFF 렌즈 및 초점 거리를 살펴보면 카메라의 화각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초점 거리는 아래처럼 6 ~ 72mm와 같이 표시합니다. 앞에 쓰여진 6mm가 광각, 즉 줌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점거리를 말하며, 72mm는 줌을 사용했을 때 초점 거리를 의미합니다. 35mm 필름 환산 초점 거리도 함께 표시하는데, 이는 35mm 필름 카메라 렌즈로 환산한 초점 거리입니다. 렌즈의 초점 거리나 화각은 대부분 이 수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초점 거리를 보면, 제품의 화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화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그래픽 정보'초점거리에 따른 화각'을 참고하세요.) 보통 35mm필름 환산 초점거리가 50mm인 렌즈를 표준 렌즈라고 합니다. 이보다 숫자가 작은 렌즈를 광각 렌즈라 하고, 50보다 숫자가 크면 망원 렌즈라고 합니다. 광각이란 촬영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는 의미로, 줌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초점 거리가 36mm인 렌즈 보다 28mm인 렌즈가 좀 더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풍경을 주로 촬영할 목적이라면 광각이 좋은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와 같이 망원 시 초점 거리가 432mm인 제품이 망원 초점 거리가 120mm인 제품보다 멀리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에는 유리하지만, 촬영할 수 있는 범위는 좁습니다. 줌을 사용할 때 멀리 있는 물체를 당겨 촬영할 수 있지만, 화면에 들어오는 풍경은 훨씬 좁아지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좀더 빠를 것입니다. 광학 줌 사용하지 않음 광학 3배 줌 사용 광학 3배 x 디지탈 3배 렌즈 초점거리로 알 수 있는 점이 또하나 있습니다. 36 ~ 432mm에서 큰 숫자로 작은 숫자를 나누면 지원되는 광학 줌 배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광학 12배 줌을 지원하는 제품이군요. 디지탈 줌은 광학 줌과 달리 멀리 있는 물체를 당겨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확대하는 것입니다. 화질 손상이 심해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므로 디지탈 줌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렌즈 및 초점거리 f = 6 ~ 72mm(35mm 필름 환산 시 36 ∼ 432mm) 라이카 DC 바리오 엘마리트 렌즈 8군 13매(ED렌즈 1매, 비구면 렌즈 3매 사용) 추가 컨버젼 렌즈 장착 가능 렌즈 밝기는 말 그대로 렌즈의 밝기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F2.8, 하나의 수치만 나와있는데, 보통 F2.8 ~ F5.0 과 같이 표시합니다. 앞의 수치는 광각 즉, 줌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렌즈 밝기이고, 뒤에 나오는 F5.0은 줌을 사용할 때 렌즈 밝기입니다. 숫자 크기가 작을수록 렌즈 밝기가 밝은 것이고, 렌즈 밝기는 밝은 것이 좋습니다. 이 제품의 경우 줌을 사용해도 렌즈 밝기가 전혀 떨어지지 않는다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이 제품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 것으로,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는 줌 사용시, 렌즈 밝기가 떨어집니다. 광학 3 ~ 5배 줌을 지원하는 제품의 경우 렌즈 밝기는 보통 F2.8 ~ F4.8정도입니다. 렌즈 밝기 F2.8(줌 전역에서 동일한 렌즈 밝기) 줌 광학 12배, 디지탈 4배 AF 보조광이란,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 카메라가 빛을 쏘아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때, 빨리 초점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기능 역시 없는 것보다 있는 편이 좋습니다. 초점 조절은 대부분 오토 포커스 모드를 지원하며, 고급형 제품의 경우 매뉴얼 포커스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뉴얼 포커스 기능의 경우 어느 정도 촬영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므로 초보자의 경우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아닙니다. AF 보조광 지원함 초점 조절 : 컨티뉴어스 AF, 원샷 AF(AF 영역 : 1점, 3점, 9점 측거, 스팟) : 포커스 링으로 조절 촬영 범위는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범위입니다. 보통 30 ~ 50cm부터 무한대까지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콘은 매크로 모드를 사용했을 때 촬영 가능한 범위입니다. 피사체에 카메라가 최대로 접근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낸 수치입니다. 접사 촬영이 잦은 분들에게는 구입 시 매크로 기능과 촬영 거리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촬영 범위 : 약 30 cm(광각) / 2m(망원) ∼ : 약 5cm(광각) / 2m(망원) ∼ 노출 제어는 카메라가 지원하는 촬영 모드를 말합니다. 자동, 프로그램, 조리개 우선, 셔터 우선, 매뉴얼 모드를 의미합니다. 자동 모드로 설정하면, 카메라가 모든 촬영 값을 설정해주므로 촬영자가 설정할 수 있는 촬영 기능은 없습니다. 조금만 어두워도 플래쉬 강제 발광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되도록 프로그램 모드로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그램 모드도 대부분의 설정을 카메라가 자동으로 설정하지만, 플래쉬 모드, 노출 보정값, 화이트 밸런스, ISO 감도 등은 촬영자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드들은 수동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들에만 표시합니다. 보통 컴팩트형 제품은 자동 모드와 프로그램 모드만을 지원하는 합니다. 조리개 우선, 셔터 우선, 매뉴얼 모드는 수동 기능으로 촬영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춘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동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은 모두 자동 모드 또는 프로그램 모드를 지원하며, 자동 모드만 지원하는 제품보다 가격도 높은 편입니다. 노출 제어 수동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은 조리개, 셔터 스피드를 촬영자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일 수동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제품임에도 셔터 스피드나 조리개 값이 표시되어 있다면, 이것은 카메라가 지원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카메라가 촬영 상황에 따라 범위 내의 값으로 조절합니다. 노출 보정은 카메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출 보정 값을 말합니다. 노출 보정 값을 +로 설정하면,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밝아지고, -로 설정하면 어두워집니다. 이 기능은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에서 지원합니다. 조리개 조절범위 F2.8 ~ F8.0 셔터스피드 조절범위 8 ∼ 1/2,000초 노출보정 ±2.0EV(0.3EV 스텝씩) 각 항목을 누르시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양표를 통해 카메라 기능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양표를 처음 보는 분들이라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고생한 만큼 얻는 것이 있으실 겁니다. 다음 시간에는 사양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004. 10. 18. 신윤경 liz077@korea.com >> 초보자를 위한 디지탈 카메라 구매 요령 3 A:link {text-decoration:none}; A:visited {text-decoration:none}; A:hover {color:#FF0000; text-decoration:underline}; 지난 시간에 이어 사양표의 나머지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왼쪽 항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사항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오토 브래킷 ±1.0EV(0.3EV 스텝씩, 한번에 최대 3매 촬영) 오토 브래킷 기능이란 카메라가 자동으로 노출 값을 바꾸면서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해 주는 기능입니다. 위의 사양표는 +/-1.0EV 범위 내에서 0.3EV스텝으로 3매 촬영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현재 설정된 노출 값이 0이라면 -0.3EV로 1매, 0EV로 1매, +0.3EV로 1매를 촬영한다는 의미입니다. 정확한 노출 값을 알기 어려울 때 오토 브래킷 기능을 설정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사진 중 적당한 것을 고르면 되므로 상당히 편리합니다. 대부분 수동 모드를 지원하는 고급 기종에 채용되는 기능입니다. 측광 방식 측광 방식이란 카메라가 빛을 감지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모든 자동 카메라에 내장됩니다. 물론 카메라에 따라 지원되는 종류에 차이가 있습니다. 는 평균 측광(다분할 측광)으로 모든 디지탈 카메라에서 사용됩니다. 제조사에 따라 ESP 측광, 256분할 측광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합니다. 는 중앙부 중점 측광 모드를 의미하며, 는 스팟 측광 모드를 말합니다. 측광 모드는 최대 3가지로 컴팩트형 제품이나 자동 모드만을 지원하는 제품의 경우 평균 측광 모드만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스팟 측광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이 꽃 접사 촬영이나 역광 촬영 시 좀더 유리합니다. 감도 ISO 감도가 높을수록 카메라는 적은 양의 빛에도 민감해집니다. 따라서, ISO 감도를 높게 설정할수록 빠른 셔터 스피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야간이나 실내에서 촬영할 때는 적정 노출로 설정하기 위해 롱 셔터를 사용합니다. 삼각대가 없는 상태에서 롱 셔터를 사용하면 흔들린 이미지로 촬영되기 쉽습니다. 이럴 때 감도를 높여 촬영하면 삼각대 없이도 흔들리지 않은 사진을 얻게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ISO200부터 화질 저하(노이즈 현상)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무조건 고감도를 지원하는 제품이 유리하지는 않습니다. 고감도 사용 시 발생하는 노이즈 현상은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미리 리뷰 등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화이트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 미조정 : ±10 스텝(오토 모드 제외) 화이트 밸런스 모드는 거의 모든 디지탈 카메라에서 지원합니다. 컴팩트형 제품의 경우 자동 / 태양광 / 흐림 / 형광등 / 백열등 모드 만을 지원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고급형 제품이나 수동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의 경우 대부분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형광등 조명의 경우 자동 모드만으로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기는 어렵습니다. 실내촬영을 많이 하는 분들이라면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셀프타이머 셀프타이머 기능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셔터가 자동으로 릴리즈 되어 촬영되는 기능입니다. 제품에 따라 10초 모드만 지원하거나 10초와 2초, 두 가지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10초 모드는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한 후 단체 사진을 촬영할 때 유용합니다. 반면 2초모드는 셀프 촬영보다는 흔들림 방지를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야간 촬영이나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 촬영할 경우, 카메라를 삼각대에 장착하고 촬영해도 셔터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이럴 때 2초 셀프타이머를 사용하면 셔터를 누르지 않고 촬영할 수 있어서 흔들림이 적어집니다. 손떨림 보정기능 손떨림 보정기능이란 손의 떨림으로 인해 사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입니다.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광학 줌을 사용하여 촬영할 경우 흔들린 이미지가 촬영되기 쉽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배율 줌을 지원하는 제품에서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많이 탑재합니다. 고배율 줌을 지원하지 않는 제품 중에도 손떨림 보정기능을 채용한 제품들도 있습니다. 광학 8배 이상의 고배율 줌을 지원하는 카메라의 경우 손떨림 보정기능이 탑재된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장 플래쉬 플래쉬 연동범위 7.0m까지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는 내장 플래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내장 플래쉬를 사용하면 어두운 곳에서 촬영하거나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 좀더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품이 의 세 가지 모드는 기본으로 지원하며 좀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은 의 기능을 추가로 가지고 있습니다. 내장 플래쉬를 사용해 촬영하면 가까이 위치한 물체는 하얗게 나오고 배경은 까맣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모드를 사용하면 플래쉬를 두 번 터뜨려 촬영해 주므로 가까이에 위치한 피사체와 배경까지 모두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드는 플래쉬를 사용해 촬영했을 때, 동물이나 사람의 눈이 빨갛게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내장 플래쉬의 경우 플래쉬는 작기 때문에 빛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좁습니다. 사양표의 플래쉬 연동범위는 내장 플래쉬가 7.0m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숫자가 높으면 더 먼곳까지 플래쉬로 촬영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디지탈 카메라는 대부분 6.0m 이하입니다. 외장 플래쉬 핫슈 단자를 통해 연결 수동 모드를 지원하는 제품 중 외장 플래쉬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제품 상단에 있는 핫슈에 외장 플래쉬를 끼워 사용합니다. 외장 플래쉬를 사용하면 내장 플래쉬를 사용한 것보다 광량이 풍부해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얻는데 도움이 됩니다. 외장 플래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초보자에게 꼭 필요한 기능은 아닙니다. 알면 알수록 카메라를 구입하기 전 살펴보야할 항목들이 많아지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 이 내용들을 잘 기억해 두시면 아마 주변 분들의 디지탈 카메라 구입을 도울 수 있는 경지(?)까지 오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 나머지 부분을 모두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04. 10. 22. 신윤경 liz077@korea.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