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

RC구조, 슬라브와 슬레이트 차이...펌

맘편한넘 2011. 6. 16. 20:14

RC구조의장단점에대해 자세히알고싶어요

die4s
2006.04.16 22:27
답변
2
조회
10,143
건축에서사용하는 rc구조의 장점과단점에대해 좀 구체적으로 알수있을까요?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질문자/네티즌 채택

re: RC구조의장단점에대해 자세히알고싶어요

aggressive05
답변채택률 88.9%
2006.04.17 08:59

질문자 인사

ㄳㅇ

질문에 답변을 하기전에 먼저 윗분의 답글에서 단점 1번,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력을 가하여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휨저항이 증대되도록 하는 공법을 free-stress라고 하셨는데, 단순 오타인지..아님 잘못 알고 계신건지.....-_ ㅡㅋ

그부분을 정정해 드립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또는 PS concrete)라고 합니다.

그리고 단점 3번, 미리 공장에서 만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half  PC 라고 하셨는데,

이역시 오타인것 같네요..

정확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입니다.

=========================================================================

 

RC(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철근콘크리트"를 이하 "철콘"으로 약칭하겠습니다.

 

장점//

-내구적이다.

철콘은 말 그대로 철근과 콘크리트를 사용한 일체식 구조입니다.

보통 210kg/㎠~280kg/㎠의 압축력을 가진 콘크리트와 SD40짜리 이형철근의 경우 항복강도가 4000kg/㎠정도 되는 철근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튼튼합니다.

 

-내화적이다.

철근은 주원료가 철이기 때문에 불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다행스럽게도 철근은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화재가 났을 때 열전도율이 낮은 콘크리트가 일정시간 보호를 해줄 수 있습니다.

물론 콘크리트가 완벽하게 보호해 주지는 못합니다. 섭시 약 700℃ 정도되면 콘크리트는 시쳇말로 폭탄이나 마찬가지 상태가 됩니다.  그러나 터지려는걸 안에서 철근이 붙잡아 주고 있죠...둘은 아주 친한 사이인거죠~

 

-내진적이다.

철콘의 철근배근은 바닥,기둥,보가 서로 강접합 즉, Rigid joint로 되어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진동에도 버틸 수 있는 구조입니다.

 

-설계가 자유롭다.

콘크리트가 가소성 즉, 소성상태이고 철근가공이 쉽기때문에 건물을 짓고 이어서 질때 형태나 부재크기 등의 제약을 받지 않고 지을수가 있습니다.

 

-재료입수가 쉽다.

우리나라 자원중에 가장 많은 자원이 시멘트 원료라죠...아주 그냥 어마어마하게 매장되 있다네요....석유는 엄씀돠 -_ㅜㅋ

 

단점//

-자중이 크다.

건물의 무게가 무겁다는 얘깁니다.

보통콘크리트 단위용적당 중량이 2.3ton/㎥, 철콘의 단위용적당 중량은 2.4ton/㎥ 정도 되니까 상당히 무겁죠. 보통 철콘구조의 건물에서 보면 전체중량의 90% 이상이 자체 자중이라네요.

 

-시공이 복잡하다.

철근가공, 조립, 거푸집제작.조립, 콘크리트 타설.보양, 거푸집 해체가 다른 구조에 비해 공정이 복합합니다.

철근가공이 복잡하다는것은 장점에서 철근가공이 쉽다고 한 부분과 좀 매치가 안맞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철근가공은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보(Girder)나 슬래브(Slab)같은 곳의 철근배근은 보통 양 단부의 상단이 인장측, 중앙은 하단이 인장측이 되기때문에 철근배근도 인장측에 배근해야 합니다.

그런데 양단부가 상단에 철근이 배근되면 중앙은 하단에 배근되야 하는데 그 사이를 어떻게 연결 하겠느냐가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원래는 철근을 가공을 해야겠죠. 아래그림이 보라고 가정하고...

그러나 실제 시공에서는 저렇게 하지 않습니다. 작업 여건이 너무 안되기 때문이죠.

그레서 아래 그림과 같이 배근합니다.

그리고 거푸집 짜는데도 상당히 복잡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로 된 거푸집을 쓰다가 유로 폼(Euro form)에서 지금은 갱폼(Gang form)을 많이 씁니다. 갱폼 거푸집은 한 30~40회정도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유로폼은 재사용 횟수 한 15회?? 그정도 될꺼에요.

이 거푸집 짜고 해체하는 데만 전체공사 공정의 10%정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큽니다.

 

또 콘크리트 타설.보양이 복잡하다고 했는데 이것은 초고층 빌딩일 경우 레미콘차에서 펌프로 콘크리트를 퍼올려야 합니다.

그리고 콘크리트는 계절에 많은 영향을 타는데, 여름철 타설시 수분이 빨리 증발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물의 로스비도 엄밀히 따져야 하고, 타설시 너무 뜨거운 햇빛때문에 너무 빨리 경화되도 품질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느정도 경화되면 현장기사급 사람이 살금살금 올라가서 물을 뿌려줍니다...찬찬히 말르라고...^^;;

또 겨울철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천막같은 가설시설물을 설치하고 내부공간을 만든 후에 열풍기 같은 것으로 적정 온도를 맞춰 줘야 합니다.

 

-공기가 길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굳을 때 까지 현장 쉽니다...^^;;

술판............-_ ㅡㅋ 한 3~4일??

한층당 3~4일 쉰다고 치면 10층 건물일 경우 30~40일을 그냥 쉬게 되는거죠....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콘크리트가 경화하면서 열을 엄청 많이 발산을 합니다....

혹시 석고 만져 보셨나요?? 일반 종이컵에 석고를 1/3 정도 담고 물을 섞은다음 한참 기다리면 물이 증발합니다. 그러면서 석고가 엄청 열을 냅니다...손이 뜨거울 정도죠...

콘크리트도 마찬가지에요...굳기위해 열을 내는거죠...한마디로 용쓰는거죠..ㅋㅋㅋ

글이 길어서 좀 재밌게 써보려고 노력중 입니다...^^ㅋ 푸힛 지루하지 않게~

 

에고...좀 재밌게 써보려고 했는데 어느덧 할 얘기가 다 떨어졌군요...ㅋㅋㅋㅋㅋ

제가 말씀 드린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이것만 알고 계셔도 90%는 이해 하신겁니다...^^

 

그럼 좋은하루 되시구요.

내공없어서 살짝 아쉬웠네요~~zzz

 

그 외 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답변

re: RC구조의장단점에대해 자세히알고싶어요

daytripper82
답변채택률 73.3%
2006.04.16 23:57

RC(Reinforced Concrete)구조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철골구조에 비해 자재비용이 저렴해서 높은 경제성을 갖고, 초고층의 건물이 아닌 이상 20~30%정도의 공사비를 절감할수 있습니다.

 

2) 알칼리성이기때문에 내부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는 내식성이 확보되고, 피복이 생겨 내화성 또한 우수하며, 전체적으로 내구성능이 우수합니다.

 

3) 거푸집의 사용으로 부재의 모양이나 단면치수, 형태등을 마음대로 바꿀수 있는 뛰어난 조형성을 갖습니다.

 

4) 높은 강성을 갖고 있어 보행자나 기계작동등의 진동에 저항하는 능력이 크고, 차음성이 좋아 아파트등을 지으면 조용한 공간을 가질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단점은,

 

1) 압축력 즉, 누르는 힘에는 잘견디지만 인장력 즉, 당기는 힘에 약합니다(압축력의 10%정도) 이에 대한 보완으로 free-stress콘크리트나 인장측에 fiber를 배치합니다.

 

2) 강도에 비해 비중이 커서 건물의 무게가 무거워 집니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경량 콘크리트의 개발, 사용으로 상당히 보완되었습니다.

 

3) 거푸집의 사용으로 공사기간(공기)이 길어지고 거푸집을 만드는 비용도 많이 듭니다.  프리캐스트, half P.C(프리캐스트)등의 새로운 공법으로 보완될수 있습니다.

 

4) 건조 수축이나 크리프 현상이 발생합니다.  건조수축은 물의 비율이 많아서 발생하는 것인데, 물을 적게 쓰는 고성능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개발로 보완되었습니다.  또한 팽창시멘트의 사용으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5) 균일 시공이 어렵고 골재의 재 사용이 힘들다.  이는 ready mixed concrete, 흔히 말하는 레미콘의 대중화로 균일시공의 어려움이 점차 해소되며, 폐골재를 재생하는 기술또한 점차 개발되고 있습니다.

 

===

슬라브는 RC구조에서 매층

바닥 콘크리트 타설 부위를 말합니다.

 

슬레이트는 시골이나 가설 창고의

지붕재로 사용되는 재료이며, 시멘트를

첨가하여 만든 판이며, 물결무늬의 골을

만들어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소골과 대골이 있다)

 

* 요즘 이 슬레이트에 석면이 포함되어 있어 건강에

   문제가 있는 제품(특정지정 폐기물)으로 분류되어 철거시 철거 계획을 수립하고

   노동부에 인.허가를 득하고 처리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