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를 켰는데 갑자기 부팅이 되지 않는다면 그것만큼 황당한 일도 없습니다. 하드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고 부팅이 되지 않는다면 대부분은 부팅에 필요한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부트섹터 바이러스와 같은 원인으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정보가 깨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출력되는 메시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부팅에 필요한 파일이 손상되었다면 윈도우 XP에서는 부팅 CD로 부팅한 다음 복구가 가능합니다. 윈도우 98에서도 단순히 파일만 손상된 경우라면 CD나 디스크로 부팅한 다음 덮어쓰기를 하는 방법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가 깨졌다면 고치기가 쉽지 않습니다.
파티션이 깨지는 이유는 다양한데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DOS용 부팅 디스크에 백신 소프트웨어를 넣어 부팅 후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합니다.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다음 C: 드라이브가 인식이 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C: 드라이브가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파티션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복구 소프트웨어로 복구를 시도해 봅니다. 간혹 부팅이 되지 않는 원인 중에 하나가 부팅 순서가 CD나 디스크로 되어 있기 때문일 때도 있습니다. 물론 부팅 순서를 하드디스크가 낮은 순위로 해도 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됩니다. 다만 CD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안에 디스켓이나 부팅이 가능한 CD가 있을 때 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고 CD나 플로피를 액세스해서 부팅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에서 부팅 순서를 바꾸어주면 부팅시 CD나 플로피 디스크를 읽는 문제를 막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 XP의 복구 콘솔로 부팅시키는 방법
단순히 부팅에 필요한 파일만이 손실되었다면 복구 콘솔로 간단하게 고칠 수 있습니다.
1 윈도우 XP의 CD로 부팅을 합니다. CD로 부팅을 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스에서 CD로 부팅 순서가 우선시 되어있어야 합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2 윈도우 XP의 설치 화면이 나오면 계속 설치([Enter]), 복구([R]) 등의 선택 화면이 나오면 여기서 복구를 선택합니다.
3 키보드와 운영체제 위치를 선택 합니다.
4 복구 콘솔이 나오면 CD를 입력해 C:로 이동합니다. 윈도우 XP에서 사용하는 administrator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5 다음과 같은 명령을 차례로 입력합니다.
Fixmbr \device=harddisk0 - 두 개의 하드디스크가 설치되어 있고 두 번째 하드에 윈도우 XP가 설치되어 있으며 harddisk1로 바꾸어 줍니다.
Fixboot c:
Chkdsk c:
6 명령을 모두 수행한 뒤 ‘Exit’를 입력하고 윈도우 XP CD를 제거하고 다시 부팅합니다.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fsdos (0) | 2006.11.05 |
---|---|
복구콘솔 명령어들... (0) | 2006.11.02 |
hal.dll 교체 (0) | 2006.11.02 |
sdram 용량확인하는 법 (0) | 2006.10.27 |
램에 대해서... (0) | 2006.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