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히터는 따로된 버너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하심. 에어컨 찬공기가 통과하는(차체 뒷모서리-천장->) 배관과는 따로. 대우는 106이 아니라 113정도이상은 돼야 프리히터가 있다고하심.
차량 내부를 냉방하는 것 보다는 연료의 소모가 작은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전기장치를 사용하는 탓에 소모된 전기를 생산해야 하는 탓에
더 많은 전기 생산을 위해서 엔진의 회전수를 올리는 보정작업이 되기 때문에
높아진 회전수 만큼에 연료소모가 늘어 납니다.
요즘은 전기가열식 히터와 별도의 연소장치를 부착한 차량이 시판되기 때문에
과거의 기준으로 봐서는 냉방하는 것 보다 연료모소가 줄어들어야 하지만
요즘 나오는 차종은 더 연료소모가 늘어나는 차종도 있다는 점이죠.
직접 기름은 연소시키기도 하고 전기로 코일을 가열하는데
이부분에서 전기와 연료를 소모시키기 때문이죠.
오디오; 시동키온상태면 됨. TV는 따로 전원버튼있음.
비상등, 깜빡이, 전조등, 안개등, 운전석등, 독서등, 승강구계단등, 실내등(1,2열, 좌.우등), 보조등(2열), 행선지등, 플로어램프(갱웨이무드램프, gangway 현문 두시트열사이에 깊이 패인 통로)...
운행정보스위치; 마이크 안내방송.
프리히터; 엔진시동없이 작동가능, 워터펌프로 순환함. 작동표시등과 스위치(프리히터, 워터펌프각각)가 있음.
'자동차와면허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크루즈기능... 펌. (0) | 2007.05.14 |
---|---|
승용차는 12V, 버스.대형차는 24V, 오디오설치때유의... (0) | 2007.05.09 |
일인신조의 헛점... 쪽유리와 통유리... (0) | 2007.05.08 |
기아코스모스로 캠핑카 만들기... 펌. (0) | 2007.05.08 |
농기구... (0) | 200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