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현의 앗! 이런 HW – TV수신카드
 

TV카드는 PC에서 TV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주변기기이다. 하루종일 PC 앞에 앉아 일을 하거나 음악, 게임 등을 즐긴다면 TV카드가 쏠쏠한 재미를 줄 것이다. PC에서 TV수신카드를 이용하면 TV에서 즐기는 것과는 다른 재미가 있다. 우선 TV 화면을 이미지 혹은 동영상으로 PC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TV를 볼 수 있다. TV 수신카드의 선택 요령과 활용법 그리고 PC를 TV처럼 손쉽게 동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을 알아본다.
 

▪ TV수신카드의 기능과 선택 요령

TV 카드는 PC에 장착함으로써 PC로 하여금 TV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끔 해주는 장치이다. 그 외에 TV 카드는 TV 방송을 모니터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 이외에 각종 외부 영상 장비에서 재생되는 영상까지도 모니터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V 카드는 크게 일반 아날로그 TV 방송만 수신할 수 있는 보통의 TV 카드와 HDTV 방송 신호를 수신, 해석할 수 있는 디지털 TV 카드로 나눌 수 있다. 즉, 우리가 일반 TV를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혹은 HDTV로 나누듯이 TV 카드 역시 비슷하게 분류할 수 있다.


TV카드를 구입할 때 중요한 성능 평가의 지표가 되는 것은 물론 화질이다. TV카드의 종류에 따라서 화면에 보여지는 선명도나 색감이 다르다. 또한 안정성이나 부수적인 기능들도 TV카드를 구입할 때 참고할만한 사항들이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① 화질

TV 카드 제 1의 평가 지표는 물론 화질이다. 같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에서 더 원본에 가까운 화질을 구현해주는 TV 카드가 좋은 제품이다. TV 카드 제조사들은 더 좋은 화질을 구현하기 위해 TV 카드의 핵심부라 할 수 있는 튜너(Tuner)를 외장형으로 만들기도 한다. 즉, TV 방송 신호를 수신, 해석하는 튜너 부가 TV 카드 위에 붙어 있을 경우 TV 카드는 물론 다른 확장 카드들로부터 전기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전기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튜너가 처리하는 방송 신호를 왜곡할 수 있음을 뜻하며, 이는 좋은 화질을 구현하는데 큰 장애물이 된다. 이 때문에 일부 TV 카드는 튜너를 전기적인 간섭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외장형으로 만들어 PC 외부에 두고, PC 내부에는 그와 연결되는 간단한 인터페이스 카드만을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도 한다.

뛰어난 화질의 HDTV 수신카드

② 프로그램, 드라이버의 지원

TV 카드는 PC를 구성하는 필수 장비가 아닌 부가적인 장비이다. 따라서 운영체제에서 이러한 TV 카드들을 일일이 지원해주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TV 카드 제조사가 각 운영체제에 맞는 안정된 드라이버와 프로그램을 제작,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TV 카드의 드라이버가 불안하다면 다른 장치와 충돌을 일으키거나 TV 기능을 사용하려 할 때마다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TV 카드를 평가할 때에는 그 TV 카드를 만들어낸 회사가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가 안정적인가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편 현재의 TV 카드들은 TV 수신 기능 이외에 오버레이 카드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다. 따라서 TV 카드 제작사에서는 외부 영상 기기로부터 들어오는 영상 신호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비롯해 동영상, 정지 화상 캡쳐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단순히 큰 화면으로 TV를 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만으로는 일반 TV 수상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별 장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TV 방송 창의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하여 다른 작업을 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하거나, 녹화를 원하는 장면을 직접 캡쳐할 수 있게끔 해주는 기능 등이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어야 한다.


오버레이 기능으로 컴퓨터 작업 중에 TV를 보는 모습

 

③ 부가 기능

TV 카드의 오버레이 카드 기능은 다양한 입출력 단자의 제공 여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즉, TV 카드에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영상 관련 입출력 단자들이 마련되어 있고, 그것을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느냐가 또 하나의 중요한 평가 요소인 셈이다. 저가형 TV 카드는 오직 아날로그 TV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만을 제공하기도 하며 고급형 TV 카드는 S-VHS, 컴포지트(Composite) 등 다양한 단자를 제공하여 게임기, VCR, 캠코더 등의 영상 장비들을 연결할 수 있도로 배려하기도 한다.


다양한 AV 단자들

 

 

▪ TV수신카드의 구입 가이드와 활용법

TV 수신카드는 기능과 형태에 따라 가격별 차이가 있다. 단순하게 TV 수신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오러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저가형 제품을 구입하는 것도 좋다. 그러나 수신된 방송내용을 그래픽 파일로 저장하려면 오버레이와 갈무리 기능이 지원되는 비교적 고가의 제품으로 구입해야 한다.

TV 수신카드를 선택할 때는 제일 먼저 화질을 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컴퓨터용 TV 카드에서는 화질을 어둡게 하거나 화면이 여럿으로 보이는 고스트(Ghost)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사항을 제품 구입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TV 수신카드에는 TV 채널을 수신하는 핵심장치로 “튜너”가 존재한다. 튜너의 성능에 의해서 화질 및 성능이 많이 좌우되는 편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간섭에서 튜너를 보호하기 위하여 튜너가 컴퓨터의 외부에 장착되는 제품이 있기도 한다. onAir 제품으로 현재까지 출시되는 제품 중 가장 뛰어난 화질을 제공한다.


Onair TV 2 카드와 외장형 튜너 사진

 

현재 국내에는 온에어, 옴니비전 팝(OmniVision POP), 스타TV(STAR TV), 바스트 TV(VAST TV)등의 여러 제품이 있는데 대부분 PCI 버스 방식에 다이렉트 드로(Direct Draw)를 지원하는 TV 수신카드들이다. 국내 전문 멀티미디어 사람과 셈틀에서 출시한 제품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V카드는 제품의 종류마다 지원하는 입력단자가 종류와 숫자가 다르다. 저가형 제품일수록 필수 입력단자만을 제공하며, 고가 및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TV카드는 다양한 규격의 입력단자를 제공하고 있다. TV 수신카드에 제공되는 Composite 입력단자를 게임기의 Composite 단자와 연결하면 PC 모니터에서 게임을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TV카드가 설치된 컴퓨터에서는 TV카드에 입력되는 동영상이나 TV 프로그램을 이미지 혹은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TV카드와 함께 제공되는 TV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영화관에서 지원되는 스크린의 초당 프램임수는 29.9프레임이다. TV카드에서 저장할 화면의 프레임수 및 화면의 크기를 설정한다. 또 캡춰될 화면의 저장위치와 캡춰시간도 설정한다. 동영상 화면을 저장할 경우 10분 분량의 화면을 저장하기 위해서 1G 이상의 저장공간을 필요로 한다.(환경 설정에 따라서 다릅니다.) 그러므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하드디스크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TV카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캡쳐에 대한 환경설정 기능

 

TV카드에 제품간에도 동영상 저장능력에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저가형 제품의 경우는 동영상 저장 기능을 전혀지원하지 않는 제품도 있다. 대개 TV카드를 이용해서 저장된 파일은 *.avi 형식으로 저장되며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저장된 동영상은 편집한 후 V-CD 형태로 제작하여 보관할 수 있다. 최고 성능의 TV 수신가드를 이용할 경우에도 동영상 저장 능력을 그리 뛰어나지 않다. 동영상 저장 기능을 전문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면 전문 동영상 편집카드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뛰어난 레코딩 기능을 지원하는 TV카드

 


▪ PC를 TV처럼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종류는 다양하다. PC에서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그림을 보여주는 뷰어 프로그램인 AcdSee, MP3를 재생하는 Winamp, 동영상을 재생하는 곰플레이어 등이 있다. 하지만 만일 TV와 연결해서 사용할 PC라면 PC와 멀리서도 컴퓨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리모콘 기반의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가 좋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로는 myHTPC(http://myhtpc.net), TV-Station(http://www.tv-station.net), Play@TV(http://www.playattv.com) 등이 있다. 이중 무료로 제공되는 손쉬운 국산 프로그램인 TV-Station에 대해 알아본다.

설치하면 바탕화면에 TV-Station 관리자와 TV-Station 프로그램 아이콘이 등록된다. 관리자를 실행하면 TV-Station에 대한 각종 환경설정을 할 수 있다. 기본적인 설정값을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다.

TV-Station을 실행하면 커다란 화면이 나타난다. 자동으로 화면이 800x600 해상도로 변경되면서 멀리서도 손쉽게 메뉴를 확인하고 리모콘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화면이 나타난다. ‘환경설정’을 선택해본다. 마우스를 이용해도 되고 리모콘이 있는 경우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세요. 물론 키보드를 이용해도 된다.

TV-Station의 배경그림을 변경하거나 자동으로 최신 프로그램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메뉴 등이 제공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컴퓨터’ 항목이다. 내 컴퓨터를 선택하면 TV-Station을 이용해 각종 멀티미디어를 즐길 수 있는 항목이 나타난다. 영화, 음악, 사진 외에 DVD와 비디오 CD를 볼 수 있다. 우선 사진을 선택해본다.

TV-Station의 사용법은 무척 간단하다. 우선 상단의 ‘C:\'라고 씌어진 항목에서 사진 파일이 저장된 드라이브나 폴더를 지정한다. 그리고 ’정렬‘을 선택한다.

자동으로 TV-Station이 해당 드라이브에서 사진이 저장된 폴더를 검색해준다. 좌측 하단에 검색 상태와 총 검색된 사진의 개수 등이 표시된다.

사진이 저장된 폴더로 이동하면 썸네일로 손쉽게 사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하고 싶은 사진을 선택하면 커다란 화면으로 사진을 볼 수 있다. 전체적인 메뉴 구성과 화면이 멀리서도 손쉽게 PC를 조작할 수 있고 TV에 연결해서 보기에 적당한 크기이다.

음악 역시도 손쉽게 선곡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음악 폴더 역시 사진과 마찬가지로 ‘검색’ 메뉴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하드디스크에서 음악이 저장된 폴더를 찾아주며 파일을 등록한다.

듣고 싶은 음악을 선택하면 멋진 배경그림과 함께 음악이 재생된다.

TV-Station의 영화 보기 기능은 더욱더 편리하다. 큼지막한 메뉴 구성과 글자가 PC를 TV와 연결해서 사용할 때 더욱 편리하게 해준다.

영화 폴더에 저장된 영화 파일 중 재생하고자 하는 것을 선택해준다.

TV-Station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커다란 화면에 영화가 출력된다. 마우스를 상단으로 가져가면 기본적인 제어판이 나타난다. 물론 자막도 표시된다.

최근 본 미디어 메뉴에서는 최근에 감상한 동영상, 음악, 사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영화, 음악, 사진 등을 감상한 시간 등이 표시되므로 손쉽게 멀티미디어를 즐긴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글/김지현(oojoo@oojoo.co.kr)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뎀으로 팩스받기...펌.  (0) 2007.08.27
엑셀의 자동저장 기능에 대하여... 펌.  (0) 2007.08.27
TV수신카드 칩...  (0) 2007.08.21
'Gamma' 란... 펌.  (0) 2007.08.10
ICM file (Image Color Matching file)...  (0) 2007.08.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