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맥립종 : Zeis, Moll선의 염증 

2. 내맥립종 : Meibomian선의 염증 

맥립종은 원인이 되는 안검내의 피지분비선 염증의 위치와 종류에 따라 위와 같이 외/내 맥립종으로 나뉘게 되며 주로 포도상구균이 원인이 됩니다. 

증상 : 초기에는 발적, 소양감(가려운 것)이 있다가 곧 부어 올라서 곪게 됩니다. 압 통(만지면 아픈 증상)이 심한 덩어리 상태로 4-5일 지나면 나중에 피부 겉으 로 배농(고름 나오는 것)되게 됩니다. 이것은 바로 인접하는 곳으로 감염이 확대되어 다발성으로 확대되는 경향도 있고 자주 재발하기도 합니다. 

 치료 : 감염부위의 자극을 피하고 항균제의 점안 및 전신투여를 합니다. 소염되지 않 는 경우에는 절개하여 배농 해야 합니다. 

I산립종(霰粒腫, Chalazion) 

산립종은 검판선(meibomian gland)의 만성 육아성 염증으로 원인은 분명하지 않고 무 균성입니다. 증상은 눈까풀 안쪽에 팥알 만한 크기의 덩어리로 만져도 아프지도 않고 단지 덩어리로만 느껴집니다. 

치료로는 1-2주일 정도 알맞은 소염제를 복용하면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없어지지가 않아 계속 불편한 경우에는 절개를 해야 합니다.

* 이 산립종이나, 눈 다래끼라고 불리는 맥립종은 아무런 문제없이 깨끗이 치료 되는 증상이기는 하지만 중년에 들어 자꾸 같은 부위에 재발한다면 sebaceous gland carcinoma 라는 지방 분비샘의 악성 종양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절개 수술 후 조직검사를 꼭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

안과 질환 : 맥립종(麥粒腫, Hordeolum, Stye)

 

1.개념 

안검에 발생하는 염증성 안과질환 중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보통 병소의 위치에 따라 외맥립종(external hordeolum, stye)과 내맥립종(internal hordeolum)으로 나눈다. 

2.외맥립종 (External hordeolum, stye) 

① 원인 

Zeis 선 또는 Moll 선의 급성 화농성 염증으로 안검연(lid margin)에 따라 낭포(ciliary follicle)에 인접하여 발생하며 주로 포도상구균이 원인이 된다. 재발형에는 균에 대한 과민성 반응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② 증상 

초기에는 안검의 국소적 불쾌감 (즉, fullness, heaviness, heat sensation)을 느끼며 곧이어 국소안검의 종창, 충혈, 통증이 뒤따른다. 통증은 초기에는 국소적이나 후에는 전체적인 압박감으로 바뀐다. 

증세가 진행됨에 따라 손으로 경결이 만져지며, 동통과 통각(tenderness)은 종창과 비례하여 커진다. 특히 외안각에 발생하면 증상이 더 심하여 상·하 안검에 부종이 오며 외견상 맥립종의 위치가 모호해지고 구결막의 부종(chemosis)까지 동반한다. 

4∼5일 후에 첩모근부의 작은 농양이 생기며 때로는 피하에 큰 농양을 만들기도 한 다음 피부로 배농이 되어 치유된다. 안검의 부종이 심한 경우 정확한 농점의 위치를 알기 힘든 경우가 있다. 안검연염이 생기는 경구가 많고 농양이 크고 피부괴사가 광범위하면 나중에 피부반흔을 남기며 안검외반을 초래하기도 한다. 

③ 치료 

초기에는 자극을 주지 말 것이며 항생제의 점안 또는 전신투여로 소염되기도 한다. 일단 농이 형성되면 기본적인 치료는 피부절개 후 배농하는 것이다. 

그러나 피부절개의 시기는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지나치게 농양을 오래도록 방치하면 피부괴사가 커져 추형을 남기게 되고, 너무 조급히 하면 배농이 충분치 않게 된다. 보통의 경우엔 환부에 더운 찜질(hot compress)을 1일 3∼4회, 1회에 10∼15분 정도 계속하여 농양이 완성되면 농점을 안검과 나란히 절개하여 자연배농을 시킨다. 주의할 것은 배농을 촉진코자 손으로 압박을 하면 다른 부위에 화농을 전파시킬 뿐 아니라 패혈증을 발생케 할 우려가 있으므로 절대로 금지한다. 

치유 후 1주일 정도 항생제 사용을 계속하는 것이 좋으며, 그 밖의 안검연염 등의 유무를 검사하여 이를 교정한다. 합병증으로 심신쇠약자 등에서 특히 내안각(inner canthus) 부근에 맥립종이 있는 경우 염증이 전이되어 안와봉와직염(orbital cellulitis), 안와혈전성 정맥염(orbital thrombophlebitis), 또는 뇌막염(meningitis), 해면정맥동혈전 (cavernous sinus thrombosis) 으로 발전된 경우 등이 보고되어 있다. 

3.내맥립종 (Internal hordeolum) 

① 원인 

Meibom 선의 급성 화농성염이며 선배출관의 폐쇄에 뒤이어 포도상구균이 감염되어 발생한다. 

② 증상 

검판조직이 치밀하므로 그다지 광범위한 염증은 나타나지 않으며 국소적인 안검피부의 충혈, 부종, 통각이 나타나고 선개구부가 약간 종창되어 압박하면 농이 배출된다. 안검을 까뒤집어 결막면을 보면 황색 농점이 보이고 국소결막의 충혈이 동반된다. 결막면으로 자연 배농되는 수도 있다. 

③ 치료 

배농하기 전의 항생제 사용은 별로 효과가 크지 않다. 농이 형성되면 국소마취하에 결막 쪽에서 Meibom 선과 나란히 되도록 절개한다. 동시에 선 내용물을 압박하여 배출시킨다. 

어린이는 눈을 오래 가리면 약시가 발생하는 수가 있으므로 외맥립종이나 내맥립종을 배농한 뒤에 하루쯤 안대를 한 뒤에는 눈은 가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농 후 항생제를 국소점안하고 전신적인 투여는 경우에 따라 판단하여 쓰도록 한다. 

'의료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내시경 구조...  (0) 2007.12.27
Werner syndrome...펌  (0) 2007.12.07
remeron 15mg, Mirtazapine...펌  (0) 2007.10.16
녹내장 간략한 서술...펌.  (0) 2007.10.15
우울증에 대해...펌.  (0) 2007.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