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까지는 자막설정은 바닥이 제일 나은거 같다.

음성과 자막이 맞지 않을경우가 생기면 바닥을 이용한다 ㅠㅠ



동영상 인코딩 하기

실행

BADAK.EXE 를 실행시킨다.

인코딩 하기

  • 작업할 파일을 추가한다. 이때 자막파일(.smi) 이름이 동영상 파일과 이름이 같으면 자동으로 동영상에 자막이 입혀진다. ( 예: test.avi & test.smi )
  • 결과물이 나올 폴더를 지정한다.
  • "작업 시작" 버튼을 누르면 작업이 시작된다.
  • 끝날때까지 기다린다.
  • 인코딩이 제대로 안되었다면 아래 "문제해결" 항목을 참고하자!!


= 동영상 인코딩 환경설정

알면 건드리고 모르면 그냥 놔둔다.

= PDA 에서 동영상 재생하기

TCPMP 설치후 PDA에 동영상을 복사하고 보면 된다.
위 링크가 안될경우
투피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면 된다.

 

문제해결

일단 문제가 생기면
1. 자신의 프로그램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 아니면 무조건 최신 버전을 깔고
2. 환경설정에서 "초기화" 를 해본후
아래 사항을 확인해 본다.

 

인코딩 작업을 시작하면 바로 끝나버린다.??

MENCODER 에서 지원 안하는 파일이거나, 파일이 손상되어서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일부 RM, MOV 와 같은 파일은 위에 있는 파일받기 링크의 코덱팩을 설치하면 인코딩이 될수도 있다.
위에 있는 코덱팩을 깔아도 안되면, 다른 코덱팩은 깔던 말던 해결이 안되므로 게시판에 질문하지 말고 그냥 포기하자.


인코딩을 잘 하다가 중간에 멈추어 버린다.?

파일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파일이 중간에 손상된 경우에 이런일이 종종 일어난다.
이것 역시 해결이 불가능 하므로 맘편하게 포기한다.

 

소리가 너무 작다.

원본 파일이 AC3인경우 소리가 너무 작은 경우가 종종 있다. 환경설정에서 소리 증폭에 적당한 값을 줘서 소리를 키우면 해결된다.
 

인코딩된 동영상의 파일크기가 너무 크다.

인코딩 환경설정에서 비트레이트를 줄이면 화질/음질이 떨어지면서 파일의 크기도 줄어든다.
 

인코딩된 동영상의 화질이 너무 나쁘다.

인코딩 환경설정에서 비트레이트를 높이면 화질/음질을 높일수 있지만 파일의 크기도 커진다. 하지만 원본이 나쁘면 다 헛수고..
 

2PASS 인코딩이 뭔가?

동영상 파일을 두번 스캐닝해서 좀더 효율적으로 비트레이트를 분배하는 인코딩 방식이다. 시간은 두배로 걸리지만, 노력한것에 비하면 그다지 화질이 많이 좋아지는것 같지는 않다.
 

버추얼 덥에 비해서 프로그램 기능이 맘에 안든다.

그냥 버추얼 덥을 쓰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mencoder 의 "껍데기" 이기 때문에 인코딩 관련 기능 추가 요청해도 못 고친다.
 

인코딩 중간에 멈추면 인코딩 하다만 파일이 재생이 안된다. / 인코딩 결과를 확인하는데 너무 오래걸린다.

- 인코딩 시작을 누르면 설치폴더에 convert.bat 파일이 생긴다. 인코딩을 중지한 다음에 이 파일을 실행시키고 인코딩 중간에 ctrl+c 를 누르면 인코딩 하다만 때까지의 동영상파일을 재생해 볼 수 있다. 인코딩 옵션을 확인할때 유용하다.
- 인코딩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파일의 앞부분만 인코딩해볼 수 있다.
 

인코딩한 동영상을 재생하면 화면하고 소리가 어긋난다.

1. PDA 사용자라면 꼭 TCPMP(舊 베타 플레이어) 를 설치하고 동영상을 보기 바란다.
2. 다른 기기를 쓰는 사용자라면 환경설정의 "소리" 탭에서 "VBR 설정" 을 "CBR" 로 설정한다.
( VBR은 CBR보다 용량대비 음질이 좀더 좋은 방식이다. 하지만 일부 재생기에서는 제대로 지원을 못하는 문제가 있는 듯하다. )
 

인코딩중에 다른 작업을 하면 문제가 있나?

없다. 인코딩 시간이 좀더 오래 걸릴 뿐이다.
 

OpenDivx 과 XVID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Xvid는 OpenDivx 을 발전시킨 코덱이므로 효율성에서 더 좋다고들 한다. 하지만 테스트 결과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다만 XVid 보다는 OpenDivx 이 좀더 안정적으로 지원되므로 문제가 발생하면 OpenDivx 으로 인코딩해 보도록 한다.


화면과 소리가 조금씩 어긋난다.

WMV 강의 동영상(혹은 수능 동영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이다. 원인은 mencoder 의 버그로 보이며 아직까지 해결 방법이 없다. PDA 동영상 인코딩를 참고해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인코딩 하기 바란다.
 

자막이 영어랑 한글이랑 같이 섞여서 나온다?

1. 통합자막(한글, 영어 섞여 있는 자막)을 인코딩하면 자막이 한꺼번에 같이 나온다. 자막파일을 열어서 한가지 언어만 나오도록 편집해서 인코딩해야 한다.
2. 인코딩 환경설정의 추가 옵션 부분에 자막 관련 옵션을 추가한다. 자막의 클래스를 확인해서

-slang ko-KR,kr-KR

과 같이 자막의 클래스(class)를 연속으로 적어주면 넣어주면 한/영 통합자막중 원하는 자막만 처리할 수 있다. (자막마다 클래스명이 다를 수 있다. 자막의 클래스명은 자막 파일을 열어 보아야 한다.)
 

원본 동영상의 소리가 여러개 일때(2audio) 한가지 소리로만 인코딩 된다. 다른 소리로 인코딩 하려면?

-aid 2

와 같이 인코딩 추가 옵션에 추가해 주면 소리를 선택할 수 있다.


자막과 소리가 맞지 않는다.

인코딩 환경설정의 추가 옵션 부분에 싱크 관련 옵션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서 자막이 3초정도 소리보다 늦게 나온다면

-subdelay 3

와 같은 옵션을 넣어주면 된다. ( 반대의 경우는 "-subdelay -3" 이다!)


자막에 컬러가 적용이 안되나욤?

안되요. mencoder의 자막 처리 루틴에는 컬러개념이 아예 없기 때문에 바닥으로 컬러 자막을 만드는것은 불가능 합니다.

자막글꼴을 어떻게 바꾸나요?

윈도우에 설치된 폰트파일(.ttf, .ttc) 자체의 경로를 지정해 줘야된다. c:\windows\fonts 폴더에 설치된 폰트 파일을 다른 폴더로 복사후 경로를 지정해 주면된다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v player test...  (0) 2008.04.06
Banks of the Ohio... sung by Olivia Newton John  (0) 2008.04.06
flv 동영상 url 복사해서 저장하기...펌.  (0) 2008.04.05
asf, wmv, wma...펌.  (0) 2008.04.05
object tag samifile옵션...펌.  (0) 2008.04.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