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트랜스포트는 AMD 의 기술로써

 

이름에서 드러나다싶이 전송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래 씨피유를 위한 기술이기보다는 기가비트이상의 네트워크연결을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기술개발을 함께 한 업체들이 AMD가 대표적이지만 그 외의 대부분 네트워크장비 회사들입니다

하이퍼트랜스포트 이전의 시스템 내부의 전송은 노스브릿지와 사우스브릿지라는 칩이

총괄적으로 담당을 하였습니다

수 많은 장치들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할때 하드디스크나 pci에 장착된 기기들은 사우스브릿지를 지나

노스브릿지를 거쳐 CPU까지 메모리나 그래픽카드는 노스브릿지를 거쳐 씨피유까지 전달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부가장치들의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노스브릿지나 사우스브릿지의

전송속도때문에 성능향상에 제한이 걸리는 것이 예상되면서 더 빠른 전송통로를

각 메인보드 칩셋회사들별로 만들게 되었던 것이구요

 

인텔은 확장된 허브 인터페이스, sis는 M뭐지시 (생각이 안나네요), Via는 V-Link,

AMD는 하이퍼트렌스포트 입니다

현재로 봐서 가장 진보한 방식은 하이퍼트렌스포트 이구요

다른 방식들은 병렬식인데 비해 하이퍼트렌스포트는 직렬식입니다.

 

그리고 AMD 씨피유에 포함시켜서 씨피유가 직접 메모리를 억세스 함으로써

메모리성능 향상을 이끌어 내었습니다

 

AMD씨피유와 인텔 씨피유의 현재 차이를 설명으로 비교 하자면 이렇다고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기록이 똑같은 100미터 선수가 있습니다

인텔선수는 보폭이 1미터라서 100발자국 뛰어야 100미터를 가지만

amd선수는 보폭이 2미터라서 50발자국만 뛰어도 100미터를 갑니다

 

흔히 AMD에는 실클럭 개념이 따로있죠.

똑같은 일을 하지만, 보폭(클럭)당 효율이 좋아서 더 적은 힘을 들이고도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