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징가 |
|
와이델타는 6가닥이 맞습니다 1.2.3.4.5.6 모터에 넘버링이 돼있을겁니다 R.S.T 따블로 포설후 한가닥씩 번호와 상을 맞춰서 결선하시면 돼고요 결선후 모터의 회전방향 체크는 필수.. 당상은 2가닥을 결선하시면돼고요. |
|
개념상실한넘 |
|
감사합니다~근데 3상 3선식이나 3상4선식이나 상관없이 델타기동이면 3가닥 와이델타 기동이면 6가닥 결선하는건 같나요? |
|
다람쥐 |
|
2p란 모터 극수가 2극 이라는 뜻입니다 즉 다시말해서 rpm이 3450 이 나오죠 또한4p는 4극 rpm이 1750이 나옵니다. |
|
개념상실한넘 |
|
감사합니다 근데 2선식이랑 4선식의 차이점과 결선수는 -_- 알려주세용 |
|
버들 |
|
모터는 4선식이없고요..단상,3상으로 나뉩니다.주로 현장에서 우리가 결선하는 모터는 대부분 유도 전동기이고요. 3상3선식에서 Y-델타, 직입이 결정되는겁니다. Y-델타결선은 모터용량이 크거나,기동을 첨에 저속으로 해야할 경우고요, 직입은 바로 정상운전으로 가는 방법입니다. 특별히 주의할 사항은 현장의 전압을 먼저 파악해야합니다.P/N전압이 380 이거나440 일때 용량이 적은 모타인경우 대부분 Y결선(1,2,3COM..4U,5V,6W,) 해야하며, 용량이 큰 모터는 사용전압에 맞는 전용전압 표시가된것만 Y-델타결선하십시요,겸용전압이 표시된 모터는 절대 Y델타결선을 먼저하지말고 현장전압을 체크하십시요.예를들어..현장 전압이 380V 이고 모터는 220-380V 겸용일때 Y-델타결선시는 용량이 큰 모터의 코일이 타서 손해배상 당합니다. |
|
버들 |
|
그럴 경우 380V 전용전압 모터로 교체후에 결선해야합니다. |
|
버들 |
|
결선수는 3상Y-델타의경우 6가닥과 접지 1가닥,직입일경우3가닥과 접지1가닥,단상일경우 2가닥과 접지1가닥 |
|
이페이지를 메일 보내기 | |
|
감사합니다 그런데 모터에 델타라고 표기되있네요 그럼 직기동이라 3가닥만 끌고 오면 된다구 말했는데 중성선을 꼭 잡아줘야하나요? 모터업체에서는 직기동이라 3가닥만 끌고 오라는데 중성선은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 그리고 중성선은 모터에 결선하는 같은 크기의 전선을 사용하나요 아니면 전용 전선이있나요? |
|
버들 |
|
델타표기되있으면..380V전용모터같습니다.3가닥만끌으면 되고요. 모터결선에 중성선은 엄습니다. 모터베이스에 접지1가닥 추가요..아마접지선을 중성선으로 알고있나보네요...헌데 제경험으로는 380이나 440이나 델타결선인경우 (직입) 6가닥이나오지않은데요, 코일내부에서 이미 3가닥으로 나오지않나...현장을 볼수엄으니..참답답하네요,,,ㅎㅎㅎ |
|
버들 |
|
말씀하시는 중성선은 제가 알기로는 접지선으로 쓰면될것같고요..두단계아래규격으로 하면되지않을까요?^^ |
|
개념상실한넘 |
|
오 감사합니다 버들님 380V 전용모터입니다 근데 제가 헷갈렸던데 단자대가 6개라 업체에 물어보니 델타 기동이지만 와이델타로 쓰는사람들도있어서 덽와 와이델타 둘다 결선할구있게 단자대가 6개라네요 근데 델타기동으로 하니 3가닥만으로 COM잡고 결선하며 된다네요 |
|
개념성실한넘 |
|
답변 감사합니다 버들님~ |
|
전기 |
|
좋은 지식 함께 공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김기승 |
|
참고가 될까해서 흔적 남겨 봅니다. 모터의 결선에서는 데이터시트를 늘 먼저 보시고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대부분 15마력 이하의 모터는 대부분 직입기동(△),15마력 이상은 대부분 스타-델타(Y-△)로 생산 합니다.그렇지만 제작사에 따라서 15마력이하의 모터도 스타-델타(Y-△)로 생산 하는 회사도 잇습니다. 이것은 모터의 사용환경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늘 데이터시트를 먼저 보시고 작업을 하시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외관이나 크기가 같다고해서 결선방법이 전부 같지는 않습니다. 2P 단상 맞습니다.4P 삼상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3상4극농형유도전동기를 기준합니다. 모터를 결선할때는 언제나 규격에 맞는 접지선을 꼭 설치 하셔야 합니다. 모터의 접속구를 개방 하시면 분명히 단자도 7개 입니다. 모터 몸체에 접지연결부분.... 나머지 6개는 모터 결선방법에따라서 작업 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모양은 상,하 3개씩 넘버링과 함께 잇습니다. 새제품인경우 단자와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부속품이 함께 제공 됩니다. 연결단자의 갯수는 3개가 제공 됩니다. 델타인경우는 상하 연결 하시고 스타결선인경우 하단부에만 연결 하시면 됩니다. 이때 하나 남는 연결단자는 버리지 마시고 하단부에 연결된곳 아무곳이나 두장을 결어 두시면 추후 변경 되더라도 사용이 가능 합니다. 스타결선의 경우 3가닥과 접지선 한가닥이 필요 합니다. 그래서 보통 3상모터 결선시 4C를 포설해서 한가닥을 접지로 사용 합니다. 스타-델타(Y-△)의 경우는 7가닥이 필요 합니다.3C와4C를 같이 포설 하셔서 한가닥 남는걸 접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타-델타(Y-△)에서는 6개 단자에 하나씩 전부 연결 해야 합니다. 먼저 3C를 1,2,3 (A,B,C) 4C는녹색은 접지에 연결 하시고 나머지는4,5,6(U,V,W)에 연결 하세요. CV피복칼라는 대부분 같은색상 입니다. 그 색상으로 순서가 바뀌지 않도록 연결 하시면 됩니다. 콘트롤판넬에서도 넘버링을 하니깐 판넬 단자대에서 연결하시는 기호나 문자를 잘 보시고 모터에 연결하시면 이상이 없습니다. 이때 과부하계전기(TOR)가 붙은경우가 있을수 잇습니다.과부하계전기는 1/루트3배 하시면 됩니다. 또 전자접속기(일명:마그네트)와 배선용차단기는 전선규격과 맞아야 선로보호가 가능 합니다. 최근에는 모터에도 ELCB사용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
|
김기승 |
|
수정하는법을 몰라서 정정 합니다. 참고가 될까해서 흔적 남겨 봅니다. 모터의 결선에서는 데이터시트를 늘 먼저 보시고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대부분 15마력 이하의 모터는 대부분 직입기동(△),15마력 이상은 대부분 스타-델타(Y-△)로 생산 합니다.그렇지만 현장에 따라서 15마력이하의 모터도 스타-델타(Y-△)로 결선 하는 현장도 잇습니다.
|
|
필승 |
|
공감가는 내용들이군여. 모타는 용량이 크면은 기동시 많은 전류를 요구하더군여, 그럴때 스타델타기동을 많이 하는걸 일선에서 자주보곤 합니다. 대부분 모터 판넬부분에서 마그네트가 인터록 되도록 되어있더이다. 모터는 단상과 삼상이 있을뿐이고 모터 몸체에서 결선 방법에따라서 달라 지더이다. 모터 슬롯트에 권선이 되어있는데 ,단상이든 삼상 유도전동기든 권선후 결선 방법에따라서 회전수(rpm)이 많이 달라지더군여... 자세한 내용들은 버들님 이하 김기승님의 댓글을 참고하시면 좀더 정확한 내용을 알겠네여^^ |
|
프리랜서 |
|
^^ 전력공급원의 배전방식과 전동기의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한전에서 수용가에 공급하는 배전선로는 380/220V 3상4선식입니다. 따라서 3상동력은 380V이고 단상동력은 220V인 셈이죠(선간전압은 상전압의 루트3배입니다. 220곱하기 1.732하면 381.얼마 나옵니다 ^^).
P는 2가지 개념입니다. 페이스(상)와 폴(극)입니다. 페이스는 3상(쓰리페이스), 폴은 3극(쓰리폴)개폐기 또는 2P, 4P, 6P 등 전동기의 극수를 의미합니다. 3상전원을 3상전동기에 공급하면 회전자속을 발생합니다. RST 각 상이 전기적으로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변화함으로 회전자속이 발생되는 것이고, 단상전원은 교번자속이기 때문에 전동기에서 고정권선과 기동권선의 전기적 위상각을 90도 정도 어긋나게 제작하여 유사회전자속을 만들어 회전시키는 것입니다. 고로 단상전동기 보다는 3상 전동기가 더 유리하겠지요. 전동기의 극수는 분당회전속도와 반비례합니다. 극수가 적으면 속도가 빠르고 극수가 많으면 속도가 느리겠죠.
다음은 6선모터에 대해 언급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전원에 따라 6선모터의 결선방식도 달라집니다. 380/220 3상4선식에서 380 3상전동기의 경우 와이델타는 380전용 6선 전동기가 필요합니다. 이중전압(와이결선시 380에, 델타결선시 220에 작동하는) 전동기의 코일 정격은 220V이므로 380V 배전선로에서 이 전동기로 와이델타결선하면 델타 시에 과전압으로 코일이 소손되어 큰 낭패를 봅니다.
이중전압(와이-380, 델타-220)3상전동기를 3상220V 배전선로에서 사용할 때는 델타로 결선하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