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통신사별 FMC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스마트폰 열풍 속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중 와이파이를 이용 휴대폰으로 저렴한 인터넷전화요금으로 통화할 수 있는 FMC서비스(유무선 통합서비스)를 통신3사가 출시하며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통신사별 요금과 해택이 달라 어느 통신사 서비스가 좋은지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오늘은 통신3사 FMC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통신사별 비교를 하기 전 FMC서비스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MC란?

FMC는 Fixed Mobile Convergence의 약자로 유무선 통합서비스입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와이파이 기능이 탑재 된 휴대폰으로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는 곳에서는 인터넷전화로,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지 않는 곳에서는 일반 휴대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즉 이렇게 사용을 하면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는 곳에서는 저렴한 인터넷 전화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어

통신요금을 절약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각 통신사 FMC서비스는 ?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건 KT이며

KT는 올레폰(옛.쿡앤쇼) ,SKT은 TB폰 , LG유플러스에는 오즈070을 서비스 하고있다.

 

 

 

 

각 통신사별 FMC 가능폰

 

[KT FMC단말기 -출처 KT홈페이지]

 

KT는 왼쪽부터 안드로1, 부비부비 F4, 쇼옴니아, 조이팝 외에도 8종의 FMC단말기를 포함

현재 총12종을  (총 11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SKT이 8종 , LGU+가 최근 출시한 갤럭시U를 포함 총8종의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KT안드로원의 경우 홈페이지에는 안내 되어있으나 실질적으로 사용을 하지 못한다는  화화공자님의 제보로 수정합니다. 총 12종에서 안드로원을 뺀 11종 입니다

 

 

 

 [LGU+ FMC단말기-출처LG유플러스 홈페이지]

 

 

 

 

 

 

각 통신사별 FMC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기~

 

KT 올레폰(옛.쿡앤쇼)

 

 

 

KT올레폰의 장점은 기본료가 없다는 겁니다.

통화료는  시내/시외 3분에 39원

            휴대전화 10초당 13원으로  휴대폰을 통해 저렴한 인터넷전화를 이용할수있습니다.

또한  AP임대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FMC요금제가 다양하지 않아 고객의 선택권이 없다는 점이

KT올레폰의 단점이라고 볼수있습니다.

 

 

 

 

 

SKT TB폰

 

 

 

 

-SKT은 FMC서비스를 내놓기 전 지정장소에서 인터넷 전화처럼 요금을 할인해 주는 T존(FMS)을

먼저 서비스하다  최근 FMC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요금제는 기본요금제와 정액요금제 두가지가 준비되어있으며

기본요금제는 시내/시외 3분 38원

휴대전화 10초당 11.7원으로 KT에 비해 통화요금이 더 저렴합니다.

 

정액요금제의 경우 통화료 적용은 같으나

월 기본료가 6000원을 내면 100분의 무료 통화가 제공됩니다.

 

그러나 결합할인을 하게 된다면

기본요금제는 월1000원 , 정액요금제는 월5000원으로 할인을 받아 이용 할 수 있으며

결합 가족 구성원간 통화료 50%할인이 적용되어 결합가족간 통화비를 줄일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AP를 임대 해야 된다면 그 비용은 더 추가가 됩니다.

AP임대료는 무약정일 경우 7000원

1년 약정일 경우 5000원

2년 약정 2000원

3년 약정 1000원 으로 이용을 해야 됩니다.

 

또한 AP설치비 10000원이 따로 청구되지만

1년 이상 계약+자동이체 신청 시 설치비를 면제해 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3년 약정을 선택하고 자동이체까지 신청하는 이용자들이

많기 때문에 설치비는 없다고 봐도 괜찮을꺼 같습니다.

 

 

LGU+오즈070

 

 

 

 

- 오즈070요금제는 표준요금제,오즈070(35,45,55)요금제,오즈070홈팩으로

총 3가지 요금제로 구분됩니다.

 

 

 

 

표준요금제의 기본료는 월2000원 이며

시내/시외 3분에 38원

휴대전화 10초당 11.7원입니다

이 부분은 SKT TB폰과 같은 요금이며 별도 AP임대는 필요 없습니다.

 

그러나 LGU+오즈070은 KT와 SKT과 다르게

U+070과 오즈070 가입자간 무제한 무료통화가 제공되고 있어

주변에 U+070과 오즈070가입자가 있다면 통신비를 부담을 제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 U+070을 갖고 있는 지인이 있다면 오즈070을 통해

무제한 무료통화를 할 수 있다는게 LGU+ FMC서비스의 장점입니다.

단, 타 통신사 번호 그대로 번호 이동한 고객의 경우 가입자간 무료통화가

제공되지 않으니 이 부분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두 번째 요금제는

기존에 나와 있는 무료통화가 포함된 정액요금제에 오즈070 기본료와 무료통화까지 포함되어있는 오즈070(35,45,55)요금제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와이파이가 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인터넷전화가 아닌 휴대폰요금으로 통화를 해야 되고 와이파이가 되는 지역이라도 같은 통신사 070가입자가 아니라면 통화료가 발생해 실질적으로 정액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추가 요금을 발생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잘 보안한 요금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즈07035를 예를 들면 이동전화는 205분의 무료통화가 제공되며

오즈070은 1만원의 무료통화가 제공되기 때문에 와이파이가 되는 장소에서

오즈070을 사용한다고 해서 추가요금이 발생되지 않고

적용요금은 그냥 휴대폰으로 하는 것 보다 저렴하게 이용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번째 오즈070홈팩 요금제는 집에 집전화가 꼭 필요하면서 오즈070도 사용하고 싶은 고객에 선택하기 좋은 요금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요즘 가구당 휴대폰은 하나씩 다 있는 세상이 됐고

주변을 살펴보면 집전화가 없는 가족들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집전화는 꼭 있어야되 라며 끝까지 사용하지도 않는 집전화를

기본료 약 6천원씩(부가세포함)을 내고 있는 집도 많이 있습니다.

(저희집도 집 전화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부모님께서는 집전화는 있어야 된다며 몇 년간 사용하지도 않는 집전화 기본료를 납부하고있었는데 최근에 설득끝에 인터넷 전화로 번호이동을 하면서 현재는 기본료없이 통화료만 납부하고 있습니다.)

 

바로 오즈070홈팩은 집전화가 꼭 있어야 되는 사용자들에게

기존 일반집전화 기본료 정도 되는 기본료5200원(부가세별도)으로

U+070인터넷전화는 무료통화 2만원(793분상당)을 제공하며

오즈070은 기본료가 면제되고 통화료만 납부 하면되는 겁니다.

단, 오즈070홈팩에 가입하기 위해선 U+인터넷(옛,파워콤) 가입이 필요하며

U+070과 오즈070가능 휴대폰 명의자가 같아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희 집 인터넷 집전화 명의자는 어머니인데 어머니는 오즈070이 불가능한 휴대폰이고 저와 제 동생은 가능한 휴대폰 이지만 인터넷 집전화와 제 휴대폰 명의자가 다르다면 오즈070홈팩을 가입 할 수 없다는 겁니다.

 

 

 

 

최종 마무리

이렇게 통신3사 FMC서비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일단 FMC통화요금은 SKT과 LGU+가 KT에 비해 저렴했고

단말기는 KT가 SKT과 LGU+에 비해 더 다양했습니다.

그리고 KT는 기본료가 없다는 점이 장점 이였으며

SKT은 정액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장 큰 장점을 갖은 통신사는 LGU+였습니다.

LGU+는 가입자간 무제한 무료통화가 가능했으며

오즈070(35,45,55)요금제로 FMC서비스 활용부분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FMC서비스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곳에만 이용할 수 있고

현재는 기존 휴대폰번호와 070번호 두개를 사용해야 되며

아직까지 070번호를 스팸전화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도

많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고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곧 FMC서비스를 이용 시 기존 휴대폰 번호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하니 많이 나오는 통신요금 때문에 부담이 된다면

FMC서비스에 가입해 보는 건 어떤가요? ^^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 에이징...펌  (0) 2010.09.08
skt tb 폰 서비스... skbroadband....펌  (0) 2010.09.08
fmc 서비스 사용기...펌  (0) 2010.09.08
각 통신사별 fmc 서비스...펌  (0) 2010.09.08
KT 스마트폰 이자르폰...펌  (0) 2010.09.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