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리눅스와 리눅스서버의 차이점.그리고 php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내공50

onzk
2010.06.07 16:43
답변
1
조회
1,233

* 내공 50 걸었습니다 *

 

우분투를 깔아서 써보았습니다.

괜찮더라구요.

하지만 호환성이라든지 사용편의상 불편한 점이 많아

주력하드에 윈도우와 함께두고 멀티부팅으로 필요할 때만 사용했었는데요

이번에 php를 배우게 되어 제대로 한 번 들어가 보려고 생각중입니다.

 

1.리눅스와 리눅스서버와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gni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 이론적인 것 말고 실제 사용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2.리눅스 서버는 따로 전문서버를 운영할 때만 사용하나요?

개인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예기를 들어서요.

 

3.일반 리눅스나 윈도우만으로도 개인 컴퓨터를 서버로 활용할 수는 없는지요?

서버로 활용한다는 말의 정확한 개념을 저도 확실히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냥 쉽게 말해서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여쭤보는 겁니다.

제 생각엔 개인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호스팅 하는데 필요한 공간 대신에 쓴다는 예기 같은데......

 

4.혹시 어떤 방법으로든 개인컴퓨터로 홈페이지를 제작/운영할 수 있다면 굳이

호스팅을 대여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5.지금 제가 하려는 일이 우선 리눅스(리눅스서버)를 설치해서

html과 php를 이용해서 간단한 이미지 혹은 구성을 만든 뒤

무료도메인을 통해 외부에서 정상적으로 연결/출력이 되는지를 확인하려고 하는데요

제가 지금 리눅스나 php에 관해선 머릿속이 백지상태이니 감안하셔서

일렬의 과정들을 최대한 쉽고 상세하게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뭐 ftp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 등록하고 하는 과정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늦어도 좋으니 최대한 상세하고 정확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두 행복하세요.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질문자 채택

re: 리눅스와 리눅스서버의 차이점.그리고 php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e5magic
답변채택률 73.5%
2010.06.07 17:32

질문자 인사

정말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나중에 또 질문해도 답변해 주실 거죠? ^^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리눅스랑 pc를 서버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열심히 설명해주셨지만......결국은 윈도우에 호스팅을 얻어 쓰는 게 제일 좋다는 결론이 나왔네요. 감사합니다.

 1.리눅스와 리눅스서버와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gni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 이론적인 것 말고 실제 사용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근데 이건 이론적일 수밖에 없군요.

리눅스는 OS의 종류입니다.

윈도우즈 라던가...뭐 그런...

물론 리눅스OS 도 특별히 데스크탑용으로 만든 OS도 있긴해요.

우분투 같은경우 개인용 PC환경으로 좀 쓰긴하구요.

 

리눅스 서버라는건 리눅스로 운영하는 서버를 칭하겠죠.

 

2.리눅스 서버는 따로 전문서버를 운영할 때만 사용하나요?

개인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예기를 들어서요.

 

리눅스는 전문서버를 운영할 때만 사용하진 않습니다.

개인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수도 물론 있구요.

서버컴퓨터든 일반 개인용 PC든 설치가 가능합니다.

단, 좀 불편하겠죠.

리눅스용으로 개발되는 프로그램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고

환경도 좀 다르기 때문에...

특히 은행등 activex 사용이 안되니... 

 

3.일반 리눅스나 윈도우만으로도 개인 컴퓨터를 서버로 활용할 수는 없는지요?

서버로 활용한다는 말의 정확한 개념을 저도 확실히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냥 쉽게 말해서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여쭤보는 겁니다.

제 생각엔 개인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호스팅 하는데 필요한 공간 대신에 쓴다는 예기 같은데......

 

리눅스는 일반이던 아니던 모두 서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도 가능하긴하죠.

리눅스에서는 보통 apache, php, mysql 을 설치하여 서버환경을 구성하구요.

윈도우는 IIS, asp, mssql 등으로 가능합니다만...

mssql은 서버OS가 아니면 설치가 안될수도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버전만 설치가능할수도 있어요.)

윈도우에서 apache, php, mysql 로 서버운영은 가능하구요.

 

4.혹시 어떤 방법으로든 개인컴퓨터로 홈페이지를 제작/운영할 수 있다면 굳이

호스팅을 대여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개인컴퓨터로 홈페이지를 제작/운영할 수 있다면 굳지 호스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 서버라면 24시간 켜놔야할테구요.

개인용 작업을 하기에는 좀 부담이 있죠.

그래서 호스팅을 많이하는거구요.

개인용 컴퓨터로 집에서 운영할려고 한다면 아이피가 문제가 됩니다.

유동아이피라서요.

고정아이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지만 보통 유료구요.

또 속도도 감안하셔야합니다.

 

5.지금 제가 하려는 일이 우선 리눅스(리눅스서버)를 설치해서

html과 php를 이용해서 간단한 이미지 혹은 구성을 만든 뒤

무료도메인을 통해 외부에서 정상적으로 연결/출력이 되는지를 확인하려고 하는데요

제가 지금 리눅스나 php에 관해선 머릿속이 백지상태이니 감안하셔서

일렬의 과정들을 최대한 쉽고 상세하게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뭐 ftp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 등록하고 하는 과정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저 모든걸 일일이 다 설명하기는 힘듭니다.

일단 리눅스 서버에 설치하는걸 감안해서 참고할 만한 문서를 하나 링크해드릴께요.

참고하세요. 우분투를 설치하신다고하니까 우분투 관련된걸로...

 

우분투에서 apm 설치

 

서버 설치하실때 ftp 와 mysql, apache 등을 선택하시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그걸 이용하셔도 무방합니다.

기본으로 설치되는 ftp는 특별한 셋팅을 하지 않아도 사용자 계정(root가 일반계정) 을 통해서 접속이 가능합니다.

 

다 설치하셨다면

apm 환경에서 웹서비스를 하시려면 각각 셋팅을 하신후에

아파치 환경설정화일에 보시면

 

NameVirtualHost *:80

<VirtualHost *:80>
        ServerName www.aaa.com

        ServerAdmin root@aaa.com
        DocumentRoot /home/aaa
</VirtualHost>

/home/aaa 라는 디렉토리에 html 등 화일을 위치 시킵니다.

 

mysql 에서 유저등록을 하시려면

mysql 을 실행하시고

$ mysql [엔터] (컴파일한경우라면 실행화일 위치)

mysql> use mysql;

mysql> grant select, insert, delete, update, create, drop, alter, index on [mysql db명].* to [mysql user명]@localhost identified by '패스워드';

mysql> flush privileges;

와 같은식으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이런 부분들은 단순하게 지식인에서 답을 구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닌거 같구요.

서적을 통해 공부하시는 편이 더 좋을거 같군요.

혹은 인터넷 사이트같은데 참고하시구요.

 

일반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때 서버 트래픽이 얼마나 될까요 ?? 내공30

jeosungsaja
2009.04.07 08:45
답변
1
조회
1,319

 

Intel(R) Core(TM)2 CPU 6400 @ 2.13 GHz

2.00 GB RAM

 

그래픽카드나 다른건 상관없을듯 해서 ;

 

이 컴퓨터를 서버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

 

하루 평균 방문자 10명내외, 사진과 자료 업로드 그리 많지 않을듯 합니다.

대충 예상으로 트래픽이 1G/일 정도면 될듯한데 ..

 

일반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때 트래픽은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 사양이면 어느정도의 트래픽이 나오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아 그리고.. 운영체제에 따라 또 달라진다고 한거 같은데 ;; 맞나요 ??

운영체제에 따라서는 어떻게 되는지도 ~

 

성실한 답변 부탁드려요 ^^;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질문자 채택

re: 일반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할 때 서버 트래픽이 얼마나 될까요 ??

arh1038
답변채택률 72.4%
2009.04.07 11:12

질문자 인사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트래픽은 PC사양에 따르는게 아니라 인터넷회선을 통해 주고받는 양 인지라..

 

트래픽에 관해서는 걱정 안하셔두 됩니다..

 

광랜이리사면.. 몇십 몇백기가 까지도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초당 최대업로드 속도 약 10기가로 잡고.. 60초*60분*24시간*약10G .... 회선이 허락하는한 가능하다죠^^

 

문제는.. PC의 성능에 따라.. 하루 방문자와..페이지의 로딩속도.. 등이 느려질수도 있습니다..

 

이점을 고려해 봐야하는데..

 

질문자님의 컴퓨터 사양으로.. 는.. 아주 충분.. 널널합니다^^

 

 

운영체제는..

 

서버로 최적의 OS인 리눅스쪽이 좋겠죠..

 

리눅스에도 여러가지가 있으니.. 그쪽은 따로 문의를 주시구요..

 

리눅스가 어려울 경우.. 윈도우 서버쪽도 괜찮습니다..

 

다 귀찮다 싶으면.. 그냥 xp깔아서.. 서버 돌리셔두 되구요^^

 

os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런건..

 

너무 방대해서.. ㅎㅎ

 

예로 접속자 A가  트래픽을 얼마나 쓰도록 제한을 건다든지..

 

질문자님의 서버에 호스팅 공간을 몇사람에게 제공해 주고.. 공간의 양과 트래픽 등등은 어떻게 셋팅할 건지

 

각각의 os마다 틀리고.. 사용법도 틀립니다..

 

리눅스의 경우 php.. 윈도우의 경우 asp 쪽 홈피를 제작..

 

데이터베이스도 틀리고..

 

속도면에서도 틀리고..

 

보통.. 서버 하면.. 리눅스~ 라고 다들 하십니다.. 왜? 속도면에서나 관리면에서나.. os가격도 무료고^^

 

이쪽은 위에서 말했듯.. 따로 문의를 하셔야 할듯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