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용하는 약물을 '경구혈당강하제'라고 하며, 주사로 맞는 것을 '인슐린주사'라고 합니다.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은 인슐린이 절대 부족하므로 반드시 인슐린을 주사하여야 하지만,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진행되지 않은 경우
에는 인슐린 분비기능이 비교적 남아 있으므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1 개월 이상 충실히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이 안될 때
경구혈당강하제가 추천됩니다.


경구혈당강하제

※ 주요 약물명을 클릭하면 관련된 상세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혈중 인슐린 농도를 높임으로써 혈당을 감소시킵니다. 설폰요소제는 가격
 Sulfonylureas 이 저렴한 장점과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면서 혈당 강하 효과가 잘 알려져 있으며, 큰 부작용이 적어 인슐린
 (설폰요소계) 분비 장애가 있는 당뇨병 환자의 일차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약물명: 다이아비네스, 다오닐, 다이그린, 아마릴, 글루레노름, 디아미크롱 등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에서 당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며 근육 속으로 당이 더욱 많이

 Biguanide 섭취되도록 해주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의 장점은 설폰요소계 약물이 초래할 수도 있는 저혈당증을 유발하
 지 않는다는 점이며 체중의 증가를 억제해 준다는 점입니다.
 주요 약물명: 다이아벡스, 메트포민, 글루코파지 등
 음식물로 섭취된 녹말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드는 소장 내의 효소를 억제하여 소장에서 포도당의 흡수
 Meglitinide 를 억제합니다. 그러므로 이 약물도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저혈당의 위험성이 없어서 식사
 (비 설폰요소계) 요법의 보조요법으로 최근 널리 이용되고, 다른 경구혈당강하제와 병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약물명: 노보넘, 파스틱 등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지 않고 인슐린에 대한 말초조직의 감수성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인슐린 작용효과를
 Thiazolidinedione (TZD 증대시켜 혈당을 낮추는 약제입니다. 저혈당의 위험성이 없고 다른 경구혈당강하제와 병용함으로써 혈당
 계) 조절을 훨씬 더 용이하게 해줍니다.
 주요 약물명: 아반디아, 액토스 등
 a-glucosidase inhibitor 소장 점막의 효소작용 억제하여 복합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고혈당 폭을 감소시킵니다.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계 /
 당흡수 억제제) 주요 약물명: 글루코바이, 베이슨 등


인슐린 주사

제 1형 환자에서는 인슐린주사가 평생 필요하지만, 제 2형 환자 에서는 반드시 그렇지 않으며, 당뇨병이 진행되어 합병증을 많이 동반한 환
자에서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기능이 부족하게 되어 있어 인슐린 주사가 계속 필요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환자에서는 일시적인 사용으
로 혈당조절이 잘되면 중단할 수 있습니다.
보통 사용하고 있는 인슐린은 속효성 인슐린과 중간형 인슐린이며, 이외에도 지속형, 혼합형 인슐린이 있습니다.
피부 아래 피하 조직에 주사를 하는데 인슐린 주사 부위표를 보면서 같은 자리에 반복해서 맞지 않도록 돌아가면서 맞아야 하며, 혈당 조절
정도에 따라서 인슐린의 종류와 용량을 수시로 조정하여야 합니다
주요 약물명: 믹스타드, 인슈라타드, 휴뮬리엔, 휴물린알, 노보래피드, 노보믹스, 래버미어, 란투스, 애피드라, 휴마로그믹스, 휴마로그, 노
보린엔, 노보린알


저혈당증 주의 및 대처법

약물 치료시 혈당 농도가 너무 저하되어 갑자기 배고픔을 심하게 느끼고 기운이 빠지면서 어지럽고 식은 땀이 흐르다가 의식이 혼탁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저혈당증'이라고 합니다. 너무 과도한 인슐린 효과로 인해 단시간 내에 혈당치가 급격히 감
소될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런 증세가 느껴지면 즉시 자가 혈당측정기로 혈당치를 검사해보는 것이 필요하고, 이후 즉시 당분이 많은 음료
수나 설탕물, 쵸코렛 등을 먹는 것이 필요함을 사전에 교육 되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