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경영정보: e-Business]
기업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지정한 데이터와 문서의 표준화 시스템
  VAN (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 [네트워크]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네트워크: Web]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디지털서비스: XML]
- 구조화된 문서와 태그를 자유롭게 정의하는 SGML의 장점과 HTML의 장접을 결합한 다목적 마크업 언어
- 표준 포맷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과 특정 환경에 종속되지 않음
  ebXML* (e-business XML) [경영정보: e-Business, ebXML, XML]
OASIS/CEFACT가 주도하여 기업의 규모나 지역적 위치에 관련 없이 인터넷을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약들의 모음
  TTM (Time To Market) [경영정보: PLM]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경영정보: ERP]
‘기업자원계획시스템’ 또는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을 말하며 기업의 업무기능들이 신속하고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들의 집합체
  SMS (Short Message Service) 문자서비스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M-Commerce]
  BP (Business Process) [경영정보: ebXML]
  CC (Core Component) [경영정보: ebXML]
  R&R (Registry & Repository) [경영정보: ebXML]
  TP (Trading Partner) [경영정보: ebXML, RosettaNet]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경영정보, 네트워크: e-Business]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HTTP,HTTPS,SMTP등을 사용하여 XML기반의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
  CPP (Collaboration Protocol Profile) [경영정보: ebXML / TP]
  CPA (Collaboration Protocol Agreement) [경영정보: ebXML / TP]
  RNIF (RosettaNet Implementation Framework) [경영정보: RosettaNet]
  TRP (Technology Research Programmer) [경영정보: RosettaNet]
  TPA (Trading Partner Agreement) [경영정보: RosettaNet]
  LBS*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서비스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GIS, GPS, M-Commerce]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LBS, GIS, GPS]
비행기?선박?자동차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디지털서비스: LBS, GPS, GIS]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교통?통신 등과 같은 지형 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G4C (Government For Citizen)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e-Business]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경영정보: Web Service]
-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할 때의 개념으로 업무상에 일 처리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서비스로 판단하여 그 서비스를 네트워크상에 연동하여 시스템 전체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론
- 소프트웨어의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하는 소프트웨어 인프라와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설치, 관리 스타일을 의미함
- Service라 불리는 분할된 Application 조각들을 단위로 Loosely-coupled하게 연결하여 하나의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S/W 아키텍처
- 서비스 단위로 아키텍처를 분리하고, 표준화된 프로토콜인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파트어 및 고객과 유연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개방화된 플랫폼
- 업무구조를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형태로 구축하고 프로세스 기반 통합을 통해 시스템 구축하는 방안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경영정보: Web Service]
- 웹서비스 관련 정보의 공개와 탐색을 위한 표준
- 전자상거래 및 웹서비스를 온라인의 디렉토리에 등록, 공개하기 위해 개발된 규약: 웹서비스 레지스트리
- 웹서비스 공급자는 자신의 웹서비스를 등록/공개하고, 소비자는 이를 검색하는 공유서비스 저장소
  WSDL* (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경영정보: Web Service]
웹 서비스의 구체적 내용이 기술되어 있어 서비스 제공 장소, 서비스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등이 기술
  JRE* (Java Runtime Environment) [시스템구조: Java]
자바 애플릿 혹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주는 환경(= JVM)
  JVM* (Java Virtual Machine) [시스템구조: Java]
자바 바이트코드로 컴파일된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머신
  JSP (Java Server Pages) [시스템구조: Java]
  CLR* (Common Language Runtime) [디지털서비스, 시스템구조: .NET, Web Service]
모든 언어가 Assembly된 MSIL(MS Intermediate Language) 파일을 Loading & Compile
  ASP (Active Server Pages)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 .NET]
  WOA* (Web Oriented Architecture) [경영정보: Web Service / SOA]
웹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하이퍼미디어를 통해 시스템과 사용자를 통합하는 SOA의 아키텍처 서브스타일
  URN (Uniform Resource Name) [네트워크: Web]
  JIT* (Just In Time) 적시생산 [경영정보: 생산시스템, SCM]
모든 생산과정에서 필요할 때, 필요한 것만을 필요한 만큼만 생산함으로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재고를 최소화하여 낭비를 없애는 시스템
  OTP* (One Time Password) [보안: 인증]
OTP 생성 매체에 의하여 필요한 시점에 발생되고 매번 다른 번호로 생성되는 높은 보안수준을 가진 사용자 인증용 동적 비밀번호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보안: 인증]
암호화와 복호화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인터넷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를 이용하여 거래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Wireless Internet, Mobile, u-City]
- 고속하향패킷접속을 통해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W-CDMA나 CDMA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3.5세대 이동통신방식으로, 기존 W-CDMA 네트워크를 그대로 이용가능한 특징이 있음
- FDD(Frequency Division Duplex)기반 음성/중속 데이터 전송 서비스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Mobile]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디지털서비스: Mobile]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디지털서비스, 협회: Mobile / W-CDMA / HSDPA, IMT-2000]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다중접속 [디지털서비스: Mobile]
  STB (Set Top Box) [디지털서비스: IP-TV]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지털서비스: Multimedi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T-Commerce, Multimedia]
이동통신과 방송이 결합된 새로운 방송서비스로 휴대폰이나 PDA에서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이 가능한 서비스
  IP-TV* (Internet Protocol-TeleVision)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T-Commerce, IPTV]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음
  VOD (Video on Demand)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T-Commerce, Multimedia]
  TPS* (Triple Play Service)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Multimedia / FTTH, T-Commerce]
단일 또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전화(VoIP), 초고속 인터넷, 그리고 인터넷 TV(IPTV) 등 음성, 데이터, 방송 기반의 3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융합형 서비스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경영정보: BPR, ERP]
기업 업무 전반에 걸쳐 전면적인 프로세스 재설계 및 혁신을 통해 기업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구축하는 활동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경영정보: BPR, ERP]
  PI (Process Innovation) [경영정보: BPR, ERP]
  ITA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경영정보: ITA/EA, BPR]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경영정보: BPR]
- 경영 전략 달성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상의 업무 운영을 가능케 하는 바람직한 미래 업무를 설계한 후, 이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IT 측면에서의 정보전력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컨설팅 서비스
- 기업의 중/장기 비즈니스 전략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도출하고, 우선 순위를 식별하여 정보화 전략 계획을 수립
- 각 조직이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어떻게 사업의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를 다루는 계획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경영정보: ESB]
-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N/W, DB, OS와 같은 백엔드 SW에 상관없이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하는 작업
- 이기종 환경에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프로토콜, 운영체제, DB에 관계없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해 주는 비즈니스 통합 솔루션
- 기업내 상호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중앙집중적으로 통합, 관리, 사용하게 하는 환경 구축
  DFD (Data Flow Diagram) [SW공학: 방법론 / 기법]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SW공학: 방법론 / 기법]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SW공학: OMG / MDA, OO]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되는 산출물들을 명시, 개발, 문서화하기 위한 모델링 언어
  BI* (Business Intelligence) 예측경영 [경영정보: RTE / BI]
- 기업의 데이터를 수집, 정리, 분석하고 활용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 보다 나은 업무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활용하는 기술 및 응용시스템의 광범위한 범주
  CRUD (Create / Retrieve / Update / Delete) < DFD, ERD [경영정보]
  EA (Enterprise Architecture) [경영정보: ITA/EA, ESB]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Internet]
  EAP (Enterprise Architecture Planning) [경영정보: EA]
  TRM* (Technical Reference Model) [경영정보: EA]
업무 활동에 필요한 정보 시비스를 식별하고 설명
  SP* (Standards Profiling) [경영정보: EA]
TRM에 명시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정보기술 표준들의 집합
  ITIL*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 [경영정보: IT서비스, ITSM]
- IT 인프라 관리에 대한 Best Practices 를 모아놓은 사례집이며 IT 서비스관리에 대한 사실상의 표준
- IT 서비스관리(ITSM)에 대한 프레임워크 구현을 돕기 위한 문서들의 집합
  ITSM*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IT서비스관리 [경영정보: ITIL, IT서비스]
최적의 비용과 인력으로 고객과 합의된 서비스 품질(SLA)을 제공할 수 있는 IT 운영관리 체계
  SLM* (Service Level Management) [경영정보: ITIL / ITSM, SLA]
- 고객과 합의된 품질 수준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고객신뢰 증진 및 서비스 수준향상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
- 기본적으로 SLA의 내용을 관리하고, SLA의 위배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 IT 서비스 운영 및 관리를 위한 필수 도구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경영정보]
  eSCM* (e-Sourcing Capability Model) e-소싱 능력 평가 기준 [경영정보: ITSM]
아웃소싱 서비스의 품질 평가 모델로, 업무 능력 및 성숙 평가 기준(CMM)을 개발한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KMU)과 인도 새티암 컴퓨터 서비스사의 공동 모델
  ITO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경영정보: Outsourcing]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공간+서버+App [경영정보: Outsourcing / ITO]
온라인 상에서 프로그램 임대를 통해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공급하며 월 사용료을 받는 방식
  MSP (Management Service Provider) 공간+서버+App+컨설팅 [경영정보: Outsourcing / ITO]
  VC (Virtual Company) 가상기업 [경영정보: Outsourcing / ITO]
  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Shared Service [경영정보: Outsourcing]
  CMMi*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SW공학: 품질평가 / 표준모델 / 프로세서]
시스템과 SW 영역을 하나의 프로세스 개선 툴로 통합시켜 기업의 프로세스 개선 활동에 광범위한 적용성을 제공하는 품질 평가 모델
  COBIT* (Control OBjectives for Information and related Technology) 성숙도 모델 [경영정보: IT Governance]
- IT와 함께 경영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된 기반을 제시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IT에 관한 종합적이고 사용 가능한 통제 모델
- IT Governance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각 업무 프로세스, 조직의 역할과 책임, 비즈니스 모델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IT Governance 통제 프레임워크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 수익률 [경영정보]
ROI = 순이익 / 투하자본(ROIC)
  BSC* (Balanced Score Card) 균형적 성과관리 [경영정보: 성과평가, IT Governance]
균형잡힌 성과측정 기록표라고 불리며,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하여 통제하기 위한 경영관리 시스템
  SLA* (Service Level Agreement) [경영정보: Outsourcing, SLM]
-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사용자간에 서비스에 대한 동의하는 수준을 문서화한 계약서
- 정보시스템 부문과 사용자 부문의 사이의 서비스정의와 그 내용에 대한 수준의 약속
  TCO* (Total Cost of Ownership) 직접비 + 간접비 + Hidden Cost [경영정보: 성과평가, IT 투자평가]
PC 한 대당 투입되는 전체비용, 즉 Hardware, Software, 교육, 관리비용 등을 모두 통합한 비용을 의미
  BAP (Business Alignment Program) [경영정보: 6 Sigma]
  VOC (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 [경영정보: 6 Sigma]
  COPQ* (Cost Of Poor Quality) [경영정보: 6 Sigma]
불량, 에러, 결함 등으로 발생하는 비용
  CTQ* (Critical to Quality) [경영정보: 6 Sigma]
고객의 입장에서 본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MRP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자재소요계획 [경영정보: ERP, APS]
  SCM* (Supplier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경영정보: ERP]
- 부품 제공자부터 생산자, 배포자, 고객에 이르는 물류의 흐름을 하나의 Value Chain 관점에서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가 원활히 흐르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 공급자로부터 고객까지의 공급사슬상의 정보, 물자, 현금을 총체적 관점에서 체인간 통합,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경영혁신기법
  SRM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공급자 관계망 관리 [경영정보: ERP / 디지털 콘텐츠]
  XRP (eXtended Resource Planning) [경영정보: ERP]
  SEM* (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경영정보: ERP / XRP]
- 기업의 경영정보를 분석하여 경영진이 가치중심의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세스
- 회사의 비전과 전략 목표를 전 기능에 걸쳐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계획과 연계하여 그 이행과정을 관리하고, 경영자로 하여금 적절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무성과 뿐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에 대하여도 결과에 대한 실행여부와 결과의 피드백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환경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 [경영정보: ERP]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기업의 내/외부 자료를 분석 및 통합하여 고객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지원하며,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 및 시스템
  APS* (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경영정보: ERP, SCM]
ERP시스템의 계획기능인 MRP/CRP계획의 무한 능력(Infinite Capacity) 계획에서 야기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시에 발생하는 다중의 변수와 제약 조건들, 즉 자재, 기계, 사람 및 수요를 동기화 하여 현실성 있는 최적의 계획과 스케줄링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Throughput 증가, 납기를 보장하는 생산계획 능력,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의 재고감축과 리드타임 단축, 고객 서비스 향상 등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 주는 진일보된 생산계획 의사결정 시스템
  DW* (Data Warehouse) [경영정보: ERP]
- 대량의 Data와 각종 외부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찾아내어 기업활동에 활용하고 전사에 걸친 이질의 분산 DB를 통합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 지원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을 지원하는 주제적, 불변적, 시간 가변적 데이터의 집합
  AIS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경영정보: ERP]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국제재무보고기준 [경영정보: ERP, XBRL]
기업의 회계 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한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에서 마련해 공표하는 회계 기준
  VMI* (Vendor Management Inventory) 공급자 관리 창고 [경영정보: SCM]
공급사슬에서 분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판매자가 공급자 또는 생산자에게 구매요청 시 발생할 수 있는 왜곡현상들을 해결하기 위해 공급자 또는 생산자가 판매자의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관리시스템 [경영정보: SCM]
물류센타에서 화물을 관리하기 위한 모든 정보시스템의 총칭
  EFT* (Electronic Fund Transfer) 전자자금이체 [경영정보: SCM]
금융기관에 대한 계좌이체나 자동이체 지시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적 수단으로 하는 자금이동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Tag), 라벨(Label), 카드(Card)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시스템
- 전원을 필요로 하는 능동형(Active 형)과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Passive 형)이 있음
- 마이크로칩을 내장하여 주파수변조(RF) 방식으로 안테나와 교신을 통하여 근거리/원거리에서 읽고 쓰기가 가능한 무선인식기술을 적용한 자동식별 시스템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유연생산시스템 [경영정보: SCM]
다품종 소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 시스템으로 공장 자체에 있는 생산라인 중 유사하거나 다른 공정이 필요할때, 그 부분(공정) 만의 필요한 기계 등을 호환성 있게 변화시키면서 생산하는 체제
  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자동재고보충 [경영정보: SCM]
제품을 유통하는 업체와 제조하는 업체가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상품의 재고가 부족할 때 자동으로 보충하고 재고 관리를 하는 전자상거래 프로그램
  ECR* (Efficient Customer Response) 효율적인 소비자 대응 [경영정보: SCM]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유통업체와 공급업체들이 밀접하게 협력하는 전략
  POS* (Point of Sale) 판매시점 [경영정보: SCM]
판매시점에 자료를 수집, 처리하여 경영활동에 이용하는 시스템
  SCP* (Supply Chain Planning) 공급망 계획 [경영정보: SCM]
제조 계획 / 수요 계획 / 유통 계획 / 운송 계획
  SCE* (Supply Chain Execution) 공급망 실행 [경영정보: SCM]
주문관리 / 생산관리 / 유통관리 / 역물류관리
  CRP (Capacity Requirements Planning) 능력계획 [경영정보: APS]
  BOM (Bill of Materials) [경영정보: APS]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주생산계획 [경영정보: APS]
  SFC (Shop Floor Control) 상세일정계획 [경영정보: APS]
  RCCP (Rough Cut Capacity Planning) [경영정보: APS]
  MRO* (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ng) 기업 소모성 자재 [경영정보: e-Procurement]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물품은 아니지만 설비와 시설물 유지 보수에 필요한 물품에서부터 사무용품, 청소용품 등 각종 소모성 자재에 이르기까지 원자재를 제외한 기업 생산과 관련된 모든 자재를 포괄
  PDM (Product Data Management) 제품정보통합관리 [경영정보: SRM]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경영정보: BI, CRM, DW]
- 최종의 사용자가 다차원 정보에 중간 매개자나 매개체 없이 정보에 직접 접근하여 대화식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과정
- OLTP에서 발생한 원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다차원을 통하여 분석하는 데이터 질의 방법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경영정보: OLAP]
네트워크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단위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SFA (Sales Force Automation) [경영정보: CRM]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CRM, Voice Portal, H.323, Megaco, SIP]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패킷으로 구성하여 IP 망인 인터넷을 통해 수신측까지 전달하는 통신 개념
  gCRM (GIS + CRM) [경영정보: CRM]
  eCRM* (electronic CRM) [경영정보: CRM]
오프라인 상에서의 CRM을 넘어 온라인상에서의 고객행동과 고객성향 등을 분석해 고객만족을 극대화하는 경영 기법
  CMS (Campaign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CRM]
  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경영정보: Call Center, Voice Portal]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경영정보: Call Center]
  TTS (Text To Speech) [경영정보: Call Center, Voice Portal]
  ITI (Internet Telephony Integration) [경영정보: Call Center]
  PRM (Partner Relationship Management) [경영정보: ERP]
  ERM (Employee Relationship Management) [경영정보: ERP]
  AML* (Anti-Money Laundry) [경영정보: IFRS]
불법 자금 세탁을 적발, 예방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SOX* (Sarbanes-Oxley) 미국의 기업 회계 개혁 및 투자 보호법 [경영정보: IFRS]
- 분식회계와 관련하여 현행 증권법이 기업의 분식회계 유혹을 불식시키지 못하며 투자자 보호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관련규정들을 보완, 강화
- 기업들이 회계상태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투자자들을 속이는 행위를 못하도록 하는 강력한 제재가 포함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EP]
  CORBA*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경영정보, SW공학: 방법론, EAI, 분산시스템]
네트워크상에서 분산 프로그램 객체를 생성, 배포, 관리하기 위한 구조와 규격
  ESB* (Enterprise Service Bus) [경영정보: EAI]
- SOA 구현을 위한 미들웨어로서 표준화, 개방적인 개념을 이용한 EAI 방식의 업그레이드
- 웹서비스, 인텔리전트 라우팅, 트랜스포메이션 기술을 기반으로 SOA를 지원하는 미들웨어 플랫폼
  MOM* (Message Oriented Middleware) [경영정보: ESB, B2Bi]
애플리케이션들에게 비동기 비연결형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개설 수단을 제공하는 미들웨어 통신 메커니즘
  RPC* (Remote Procedure Call) [경영정보: EAI]
- 한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위치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서비스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원격 컴퓨터나 프로세서에 존재하는 함수를 호출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ORB* (Object Request Broker) [경영정보: EAI / CORBA]
분산객체 간의 통신 중개를 하는 미들웨어
  eAI* (eBusiness Application Integration / EAI+B2Bi) [경영정보: EAI, B2Bi]
비즈니스 측면에서 개인 대 개인, 기업 내/외부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간 통합의 필수 솔루션
  EP (Enterprise Portal) [경영정보: EP]
  EIP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EP + 정보시스템 [경영정보: EP]
  EKP (Enterprise Knowledge Portal) EP + KMS [경영정보: EP / EIP+ECP+EEP]
  SSO* (Single Sign on) [경영정보, 보안: EP, 인증]
- 단 한번의 로그인만으로 기업의 각종 업무시스템이나 인테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dministration이 주요 구성 요소
  G11N (Globalization) [경영정보: EP]
  L10N (Localization) [경영정보: EP]
  EDMS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KM]
  CDP (Career Development Program) [경영정보: BSC]
  UMS (Unified Messaging System) [경영정보: Voice Portal]
  VML (Voice Markup Language) [경영정보: Voice Portal]
  ARS (Audio Response System) [경영정보: Call Center, vPortal]
  VBM* (Value Based Management) 가치중심경영 [경영정보: SEM]
모든 의사결정의 판단기준을 회계상의 매출, 이익 중심에서 경제적 이익에 근거한 기업가치 중심으로 사업을 관리하는 기법
  ABM* (Activity Based Management) 활동원가관리 [경영정보: SEM]
기업의 회계 전반에서 활동(Activity)에 맞춰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과학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경영기법
  ABC (Activity Based Costing) [경영정보: SEM, SCM]
  EIS* (Executive Information System) 중역정보시스템 [경영정보: SEM]
중역들이 주요 성공요소에 관련한 기업 내외부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퓨터 기반의 시스템
  DSS (Decision Support System) [경영정보: SEM]
  SIS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전략정보시스템 [경영정보: SEM]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실적지표 [경영정보: SEM]
매출이나 이익처럼 기업체의 과거 실적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라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지표를 묶은 평가기준
  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투하자본수익율 [경영정보: ROI]
투자한 자본으로 어느 정도 이익을 거두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EVA* (Economic Value Added) 경제적 부가가치 [경영정보: VBM]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하여 얻은 영업이익에서 법인세?금융?자본비용 등을 제외한 금액
  MVA* (Market Value Added) 시장 부가가치 [경영정보: VBM]
CEO가 한해의 시작 시점에 주어진 자본으로, 최종 시점까지 회사의 시장가치를 얼마나 늘렸는가를 보여주는 값
  DQM* (Data Quality Management) 데이터 품질 관리 [경영정보, DB: DW]
- 조직의 전략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요구하는 조직 구성원 또는 이해 관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관리 방안
- 기업 내부 데이터간 연계에서 데이터 일치성 유지 활동 강화를 통해 데이터를 이용하는 조직 이해관계자 요구수준에 부합되게 데이터가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고 만족도를 높이도록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는 활동
  ETT* (Extraction, Transformation, Transportation) [경영정보: DW]
기업의 내/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 변환하여 DW에 전송하고 이를 정제하는 일련의 과정
  ETL (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ing) [경영정보: DW]
  DAP (Data Architecture Professional) [경영정보: DW]
  ROLAP* (Relational OLAP) 관계형 온라인 분석처리 [경영정보: OLAP]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SQL을 이용하여 다차원 데이터를 분석 제공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으로 이해하기 쉽고, 확장성이 좋으며,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
  MOLAP* (Multidimensional OLAP) 다차원 온라인 분석처리 [경영정보: OLAP]
- 다차원 데이터에 대한 저장과 처리 프로세스가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외부 요청에 대해서도 빠른 응답 속도를 보임
- 다차원 데이터의 저장과 프로세싱에 다차원 DBMS 사용, 다양한 측면의 정보분석, 빠른 응답속도 제공
  HOLAP* (Hybrid OLAP) [경영정보: OLAP]
ROLAP과 MOLAP의 장점을 통합하여 ROLAP의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능력과 MOLAP의 분석능력을 채용한 온라인 분석 처리 프로세서 방식
  MDR* (Meta Data Registry) ISO/IEC 11179 [경영정보: DW]
메타 데이터의 명세와 의미의 공유를 목적으로 등록과 인증을 통하여 표준화된 메타 데이터를 유지 관리하는 레지스트리
  RDB (Relational DataBase) [경영정보, DB: DB]
  EDW (Enterprise Data Warehouse) [경영정보: DW]
  ODS* (Operational Data Store) 운용 데이터 저장소 [경영정보: DW]
- 운영 데이터를 분석계 시스템(DW 등)의 사실 테이블로 가는 중간 단계의 데이터 저장장소 역할을 하며, 상이한 이행정보로부터 데이터를 적제하고, 적제된 정보의 정제 및 수정을 통하여 대상 시스템으로 옮겨갈 수 있게 함
- 실무적 차원에서 최신 정보를 보유 및 DW에 데이터 제공하는 원천
  DOLAP (Desktop OLAP) [경영정보: OLAP]
  WOLAP (Web-based OLAP) [경영정보: OLAP]
  RMS (Risk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RMS, OLAP]
  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 [경영정보: BPM]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CMS]
  RBMS* (Rule Base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BPM, BRMS]
비즈니스 룰을 관리하고 운용하기위한객발자, 사용자, 관리자 등 3자 통합 관릴 환경을 갖춘 시스템으로, 기업내부에 존재하는 업무규칙, 절차, 노하우 등의 업무로직을 Application 프로그램으로부터 분리하여 Rule Engine이 관리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규칙관리 시스템
  BPML (Business Process Modeling Language) [경영정보: BPM]
  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 역할기반접근제어 [경영정보, 보안: Workflow, EP]
  BAM* (Business Activity Monitoring) [경영정보: BAM]
- 비즈니스 운영의 효과와 신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업무성과지표(BPI)에 실시간 접근하며, 운영 측면의 BI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 통합으로 구성
- 광의의 개념에서는 BI를 실시간 개념으로 확장한 시스템
  BPF (Business Process Fusion) [경영정보: BPF]
  RTE* (Real Time Enterprise) [경영정보: RTE]
기업의 하부조직에서부터 최고 의사결정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와 지식이 실시간으로 공유되며, 고객의 요구 및 새로운 기회에 대한 신속한 파악 그리고 민첩한 대응으로 비즈니스를 향상 시키고자 하는 개념
  EIM (Enterprise Instant Messaging) [경영정보: RTE]
  BCG (Boston Consulting Group) BCG Matrix [경영정보, 협회: RTE]
  SWOT*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reat) [경영정보: RTE / ISP]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전략
  IAM (Identity & Access Management) [경영정보, 보안: ESM]
  EAM (Enterprise Asset Management) [경영정보: ITAM]
  ILM* (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경영정보: ITAM, HSM, VTL]
- 기업이 끊임없이 생성해내고 있는 데이터의 생성과 저장, 소멸에 이르기까지 전체 프로세서에 대한 관리를 지칭하는 전략적 개념
- IT 인프라 환경에서 비즈니스 정보를 배치시키고(Place), 보호(Protect), 접근(Access), 변경(Update), 이동(Migrate), 보관(Archive), 처리제거(Dispose)하는 등의 모든 과정상의 작업
  IDC (Internet Data Center) [경영정보: Outsourcing]
  ESM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통합보안관리 [보안]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SW공학: 방법론]
  SLO* (Service Level Objective) 서비스 목표 수준 [경영정보: Outsourcing / SLA, SLM]
서비스 수준 관리 지표별 목표치 및 최소치, 일반적으로 최소치 미달시 패널티 부과, 목표치 초과 달성시 인센티브 부여
  OLA (Operational Level Agreement) 운영수준협약 [경영정보: Outsourcing / SLA]
  UC (Underpinning Contract) 하부계약 [경영정보: Outsourcing / SLA]
  SOC (Social Overhead Capital) [경영정보: Utility Computing]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경영정보,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Utility Computing]
  SAN (Storage Area Network) [경영정보,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Utility Computing]
  DAS (Direct Attached Storage) [경영정보,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Utility Computing]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경영정보: PDM]
  SWBS (Ship Work Breakdown Structure) [경영정보: PDM]
  CPC* (Collaborative Product Commerce) 협업 제품 상거래 [경영정보: CPC, SCM]
- 제품의 설계와 생산의 모든 과정을 인터넷으로 통합관리하여, 회사 안의 모든 부서가 공유할 수 있게 만든 솔루션
- 제품관리(PDM; Product Data Management)에 전자상거래를 결합시킨 형태
  CAD (Computer Aided Design) [경영정보: PLM]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경영정보: PLM]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경영정보: PLM]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IEEE 802.15.4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SN, Ubiquitous]
- 첨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근간으로 각종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 필요로 하는 모든 곳에 수 많은 센서 노드들을 부착하여 자율적인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어하는 시스템
- 인식기능 + 센싱기능 + 전자센서태그간의 통신 + 전자선서태그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정도로 진화된 자율센서 네트워크
- 초소형 센서노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볼르 수집하고 자체구성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QoS* (Quality of Service)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biquitous]
- 동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에 충분한 서비스 수준을 보증하기 위해 만족시켜야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규격
-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네트워크의 안정된 서비스 보장을 위해 대역폭을 미리 예약하는 네트워크 기술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WPAN, PAN]
10m 안팎의 개인 영역내에서 위치한 정보기술 장치들 간의 무선 통신 기술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M-Commerce, Ubiquitous]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지능형 교통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u-City, LBS, GIS, Telematics]
- 기존의 교통 체계를 정보통신, 전자, 제어, 컴퓨터 등의 첨단 기술과 접목시켜 교통의 이동성, 안정성, 효율성 및 교통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신교통체계
-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기술을 교통체계에 접목시킨 지능형 교통 시스템
-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만드는데 목적
  SSL* (Secure Socket Layer) [보안: 암호화]
클라이언트와 서버 양단간의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및 전송계층(Transport Layer) 사이에서 안전한 보안 채널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안용 프로토콜
  SoC* (System on Chip)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MEMS]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기술집약적 반도체
  IP (Intellectual Property) [경영정보: ITAM]
  SoB (System on Board) [디지털서비스: SoC]
  PCB (Printed Circuit Board) [디지털서비스: SoC]
  SiP (System in Package) [디지털서비스: SoC]
  HMD (Head Mounted Display) [디지털서비스: WBAN]
  PAN* (Personal Area Network)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LAN]
10m 안팎의 개인 영역내에서 위치한 정보기술 장치들간의 통신기술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SN, WPAN, WLAN]
- 다양한 IT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체를 중심으로 초근거리(3m이내)에 위치한 센서 및 장치간 무선통신기술
- 사람의 옷이나 인체의 여러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무선네트워크
  ONS* (Object Name Service)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RFID, USN]
- 물리적 마크업 언어(PML)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객체 네임 서비스
- EPC를 인터넷 상의 URL로 변환시켜 알려주는 서비스
  DNS* (Domain Name System) [네트워크: WWW, Internet, Directory Service]
인터넷에서 사이트의 이름과 IP(Internet Protocol)을 연결(매핑: Mapping)시켜 주는 시스템
  ODS* (Object Directory Service) [디지털서비스: Mobile RFID]
코드와 관련 정보의 서버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서버
  OIS* (Object Information Service) [디지털서비스: Mobile RFID]
모바일 RFID 리더로부터 읽힌 RFID 태그정보가 실제 저장되는 위치
  EPC* (Electronic Product Code) [디지털서비스: RFID, USN]
- 각 제품마다 고유의 일련 번호를 부여하는 제품 번호 표준: Header, Manager, Object Class, Serial Number로 구성
- RFID 태그에 내장되어 있는 코드로서 비트 크기에 따라 EPC-64, EPC-96, EPC-256 등 버전
  EPCIS* (EPC Information Service) EPC 상품정보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RFID / EPC]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 제공 요구가 있을 때, 이를 PML 기반 정보로 제공하는 서비스
  PML* (Physical Markup Language) [디지털서비스: RFID]
- 사람과 컴퓨터가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Auto-ID 센터가 개발한 XML 기반의 상품 기술 방식
- EPC 상품 정보에 대한 XML 표준 언어
  CSF (Critical Success Factor) [경영정보: ISP, BSC]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공급업체 [디지털서비스: CDN]
  NGN* (Next Generation Network)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SN]
기존의 일반 전화, 무선 전화 및 인터넷망을 하나의 패킷 구조로 통합한 차세대 통신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SN, u-City]
- 통신?방송?인터넷 등의 통합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는 통합 네트워크
- 완성될 경우 50배나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신?방송 서비스의 질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예측
  WSN (Wireless Sensor Network)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SN]
  COS (Card OS) [디지털서비스: SmartCard]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광대역 무선인터넷 [디지털서비스: Wireless Internet]
- Wireless + Broadband Internet의 줄인 말로 국제적으로는 Mobile WiMAX(802.16e)로 통용
- 이동하면서 초고속 인터넷 사용 가능(2.3Ghz로 시속 60km로 이동 중에도 1Mbps전송)하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표준화
- TDD(Time Division Duplex)기반 고속대용량 데이터 전송 서비스
- 옥내외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전송속도가 보장됨
- 고밀도 지역의 대규모 가입자수용이 용이하며 향후 4G 이동통신 사업의 중간단계로 활용가능
  AP (Access Point)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WiBro]
  WLL (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회선 [디지털서비스: WiBro]
  B-WLL (Broadband Wireless Local Loop) [디지털서비스: WiBro]
  HFC* (Hybrid Fiber Coaxial) 광동축혼합망 [디지털서비스: WiBro, D-CATV]
- 접속망 구성의 한 방식으로, 동축 종합 유선 방송(CATV) 전송망의 주요 트렁크 부분을 광섬유 케이블로 개선한 망
- CATV 방송국에서 가입자 광망 종단 장치(ONU)까지는 광선로를 이용하고, onU에서 가입자 단말까지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는 구성 방식
  HPi (High-speed Portable internet) [디지털서비스: WiBro]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Wireless Internet / WiBro]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디지털서비스: DMB]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털서비스: DMB]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디지털서비스: DMB / 지상파, WiBro]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분할 다중화 [디지털서비스: DMB]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 [디지털서비스: DMB]
  WML (Wireless Markup Language) [디지털서비스: Wireless Internet]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 [디지털서비스: Telematics]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유무선 결합 통신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Mobile]
  UC (Unified Communication) 통합 통신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VoIP, Voice Portal]
  GSM (Group Special Mobile) 이동통신전문위원회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협회: Mobile / 2G, Telematics]
  LDT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위치결정기술 [디지털서비스: LBS]
  LEP (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처리 플랫폼 [디지털서비스: LBS]
  LAP (Location Application Program) 위치 응용 프로그램 [디지털서비스: LBS]
  CPS (Cell Positioning System) 기지국신호 위치추적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LBS]
  POI (Point Of Interest) [디지털서비스: GIS]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디지털서비스: GIS]
  DGPS (Differential-GPS) [디지털서비스: GPS]
  ATMS*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첨단 교통 관리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ITS]
돌발상환관리(AIM) / 실시간 교통제어(ATC) / 자동 교통단속(ATE) / 자동 요금징수(ETC) / 중차량 관리(HVM)
  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첨단 교통정보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ITS]
최적 경로 안내(RGS) / 종합 여행 안내(TIS) / 교통정보 제공(TRIS)
  APTS*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ITS]
대중 교통정보 제공(PTIS) / 대중 교통 관리(PTM) / 버스정보 시스템(BIS)
  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첨단 화물운송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ITS]
화물 및 화물차량 관리(FFM) / 위험물차량 관리(HMM)
  AVHS* (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 첨단 차량도로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ITS]
교통사고 예방(APA) / 도로용량 증대(HCI)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실시간 교통방송 [디지털서비스: ITS, Telematics]
지상파 DMB의 데이터 방송을 통한 교통정보시스템
  BIS (Bus Information System) 버스정보시스템 [디지털서비스: ITS / APTS]
  WWW (World Wide Web) [네트워크: WWW]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디지털서비스: WWW]
  FTP (File Transfer Protocol) [네트워크: WWW]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 광역 정보 서버 [디지털서비스: WWW]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WWW]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네트워크: WWW, Semantic Web]
웹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의 명칭, 위치 등의 표현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대표 상태 전송방식 [디지털서비스: WWW / Web 2.0]
- WWW와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 도메인 지향 데이터를 HTTP 위에서 SOAP이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랙킹 같은 부가적인 전송 레이어 없이, 전송하기 위한 아주 간단한 인터페이스
- 프로토콜이나 규격이 아닌 하나의 아키텍처 스타일로 초기 웹의 구조와 동일하게 HTTP와 URI에 기반하여 자원을 중심으로 자원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관점으로 설계하는 방식
  RDF*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자원기술구조 [디지털서비스: WWW, Semanic Web]
정보 자원이나 자원의 구조를 표현하는 언어이며, 기본적으로 주어(subject), 서술(predicate), 목적(object)의 트리플(triple)모델로 기술
  UCC (User Created Contents) [디지털서비스: WWW / Web 2.0]
  P3P* (Platform for Privacy Preferences) 개인정보 보호정책 표준규격 [디지털서비스: WWW]
- W3C에서 제정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 표준 규격으로 웹사이트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대안 정책을 이용자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다루는 기술
- 개인정보의 공개정책을 이용자 스스로 제어
  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보안: DoS]
  CDF (Channel Definition Format) 채널 정의 형식 [디지털서비스: Push]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Push]
  OWL* (Ontology Web Language) 온톨로지 웹 언어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 ontology]
특정 도메인에 대한 공유되는 일반적인 이해와 개념, 개념과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
  KQML (Knowledge Query and Manipulation Language) 지식 질의 및 처리 언어 [디지털서비스: ontology]
  CSS (Cascading Style Sheet) [디지털서비스: WWW]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매우 간단한 배급 [디지털서비스: WWW / Web 2.0]
웹사이트의 다양한 콘텐츠를 요약하고, 상호 공유하고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든 XML기반의 표준 통신 포맷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디지털서비스: WWW / Web 2.0, X-Internet]
-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 HTML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 페이지 제작 기술
- Web Application의 편리한 배포, 관리, 저렴한 유지보수 비용 등의 장점과 Desktop Application 수준의 사용자 편의성, 효율적인 데이타 통신, 견고한 아키텍처 구현 등의 장점이 합쳐진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
  DHTML (Dynamic HTML) [디지털서비스: WWW / Web 2.0]
  XHTML (eXtensible HTML) [디지털서비스: WWW / Web 2.0]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SW공학: Language]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비동기 자바스크립트와 XML [디지털서비스, 시스템구조: Web 2.0, Java]
대화식 웹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위해 아래와 같은 조합을 이용하는 웹 개발 기법
> 표현 정보를 위한 HTML (또는 XHTML) 과 CSS(Cascading Style Sheets)
> 동적인 화면 출력 및 표시 정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DOM,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 웹 서버와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조작하기 위한 XML, XSLT, XMLHttpRequest, JSON
  XSLT* (eXtensible Style Language Transformation) [디지털서비스: XML]
XML 문서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언어
  DOM* (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디지털서비스: EDMS, AJAX, SAX]
- 객체, 트리 기반 구문분석기로 메모리 상주 트리 이용, 문서 전체를 로드, 응용프로그램에서 간단히 사용
- XML 및 HTML 문서의 동적인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개발환경 제공으로 언어 독립적 표준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디지털서비스: Portal]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디지털서비스: e-Mail]
  POP3 (Post Office Protocol 3) [디지털서비스: e-Mail]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디지털서비스: e-Mail]
  PGP (Pretty Good Privacy) [디지털서비스: e-Mail]
  PEM (Privacy Enhanced Mail) [디지털서비스: e-Mail]
  S/MIME (Secur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디지털서비스: e-Mail]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 [디지털서비스: e-Mail]
  CBRT (Content Based Retrieval Technique) 내용기반검색 [디지털서비스: 검색]
  ABRT (Annotation Based Retrieval Technique) 주석기반검색 [디지털서비스: 검색]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디지털서비스: u-City]
  FTTH* (Fiber To The Home) [디지털서비스: BcN]
가입자선로의 광케이블화라는 뜻으로 모든 가정에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방송, 통신을 포함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전략
  DSA* (Directory System Agent)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DAP, LDAP]
사용자의 요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디렉토리에는 여러 개의 DSA가 존재 가능
  DUA* (Directory User Agent)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DAP]
디렉토리와 사용자 사이에서 사용자 요구를 전달하고 응답을 받는 인터페이스 역할
  DIB* (Directory Information Base)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DSA]
디렉토리가 관리하고 제공하는 정보의 총체 즉 디렉토리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고 디렉토리를 조작함으로써 판독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정보
  DAP* (Directory Access Protocol / X.500) DUA + DSA + DIB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LDAP]
- 사용자가 디렉토리에 서비스를 요구하기 위한 DUA와 DSA간의 프로토콜
- DUA는 디렉토리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따라서 DSA에 디렉토리 검색/갱신을 요구하고 그 결과를 DSA로부터 받아서 이용자에게 전달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DAP(X.500)]
조직이나, 개체, 그리고 인터넷이나 기업 내의 인트라넷 등 TCP/IP 네트웍 상에 있는 파일이나 장치들과 같은 자원 등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DSP* (Directory System Protocol / X.518)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DSA, DAP, LDAP]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두 DSA 간의 프로토콜
  DISP* (Directory Information Shadowing Protocol) X.525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DSA, DSP, DAP, LDAP]
한 DSA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다른 DSA에 복사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EAM (Extranet Access Management) [경영정보, 보안: IAM]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관리시스템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교육과정 관리, 수업관리: 과정, 강의실, 학습도 등
  LCMS*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학습콘텐츠관리시스템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교육 콘텐츠 관리, 코스웨어 관리
  LOD (Learning on Demand)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디지털서비스: CDN, e-Learning]
- 콘텐츠 전송 품질 보장과 속도 저하 방지를 위해 인터넷의 주요 지점에 서버를 분산하여 배치하고, 인터넷 이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경로를 통해 최신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술
- 서버/네트워크 등 인프라 뿐 아니라 콘텐츠 보안, 인증, 멀티세션 전송기술, 글로벌 서버 로드 밸런싱(GSLB) 등 총체적인 기술과 노하우의 결합
- 각 네트워크에 전략적으로 설치된 캐시서버를 통하여 콘텐츠를 배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 콘텐츠 제공업자의 웹 서버에 집중돼 있는 콘텐츠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 측에 설치한 캐시 서버에 미리 저장, 캐시 서버로부터 최적의 경로로 사용자에게 콘텐츠 전달
  CBT* (Computer Based Training)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WBT, IBT]
- 컴퓨터를 통해 주로 스스로 학습하는 환경을 말하며, 콘텐츠는 CD 통해 배포
- 매뉴얼 및 콘텐츠 등의 인쇄물 대체 효과가 크며,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 제공 및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 성취도 확인이 가능
  iBT* (internet Based Training)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WBT, CBT]
- 인터넷을 통해 학습하는 환경을 말하며,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
- 개인 맞춤형,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등을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 제공, 학습 성취도 및 학습 이력 관리
  SCORM* (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공유가능 콘텐츠 객체 참조 모델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 콘텐츠의 교환, 공유, 결합을 통해 확대, 재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용 콘텐츠 개발 표준안
- 콘텐츠의 구성, 전달, 검색 방법과 함께 학습코스를 실행시키고 학습자의 학습상태를 추적 및 확인하는 방법도 제시
  ADL (Advanced Distributed Learning Initiative) [디지털서비스, 협회: e-Learning / SCORM]
  SCO (Sharable Content Object) 공유가능 콘텐츠 객체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 SCORM]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디지털서비스: u-Learning, CDMA-2000]
CDMA와 같은 2세대 서비스에 비해 더 빠른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3세대 광대역 무선 데이터 표준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디지털서비스: e-Health]
종이매체에 의해 기록돼 온 모든 의료기록을 그 업무처리 구조나 정보의 범위, 정보내용에 있어 변형없이 동일하게 전산화를 통해 업그레이드 시킨 형태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시스템 [디지털서비스: e-Health]
의사처방이 기록된 수기처방전을 환자가 소지하고 이동하여 각 진료지원부서에 접수하여야 하는 불편해소하고 처방전 분실위험 방지 등 환자 진료서비스의 개선 및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처방 자동전달 시스템
  PACS* (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정보시스템 [디지털서비스: e-Health]
각종 영상촬영장비에서 환자를 촬영하여 암실에서 필름을 현상하여 뷰박스(Viewbox)에 필름을 걸어놓고 판독하고 진료하던 것을 영상촬영장비와 직?간접으로 연동하여 디지털 형태로 영상을 획득(acquisition)한 후, 고속의 통신망(Network)을 통하여 전송하고, 저장하여, 방사선과 의사들과 임상 의사들이 기존의 필름 뷰박스(Film Viewbox)대신에 영상 조회용 모니터를 통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영상관리 및 전송시스템
  DICOM* (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국제의료영상표준 [디지털서비스: e-Health]
의료영상 데이터 교류 및 호환 등을 규정한 국제 의료영상 표준 규격
  HL7* (Health Level 7) 의료정보 교환 표준 [디지털서비스: e-Health]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프로토콜
  EHR* (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의료정보 [디지털서비스: e-Health]
의무기록과 건강정보를 담은 전자건강기록
  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병원정보시스템 [디지털서비스: e-Health]
원무관리, 일반관리, 처방전달(OCS), 검사 및 진료지원관리, 경영정보관리, 영상저장전달(PACS), 전자의무기록(EMR) 등과 같은 병원관리 전반에 걸친 의료정보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으로 경영 효율 극대화를 통한 병원 경쟁력 강화 및 합리적 병원 경영을 가능하게 해주는 병원 종합경영관리시스템
  AAC (Advanced Audio Coder) [디지털서비스: 압축, MPEG / MP4]
  DVR* (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서비스: MPEG / H.264]
- 영상을 하드디스크 기반의 디지털 저장장치에 기록하는 장비, PVR(Personal Video Recorder)로도 불림
- TV 시청 프로그램을 시간과 장소, 단말기에 구애받지 않고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WCM (Web Content Management) [디지털서비스: CMS]
  DMS (Document Management System) [디지털서비스: CMS]
  DAM (Digital Asset Management) [디지털서비스: CMS]
  ITAM (IT Asset Management) IT 자산관리 [경영정보: ITAM]
  ECM (Enterprice Content Management) [디지털서비스: CMS]
  PMS* (Patch Management System) [디지털서비스: CDN]
소프트웨어의 설치 및 패치 관리 전문 시스템
  POP* (Point Of Presense) [디지털서비스: CDN]
인터넷 망에 대한 접속점
  BCS (Broadband Convergence Service) 광대역 융합서비스 [디지털서비스: u-IT389, BcN, IP-TV]
  i-PIN* (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디지털서비스, 보안]
대면 확인이 불가능한 인터넷상에서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하여 본인임을 확인받을 수 있는 가상의 주민번호
  KISA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서비스, 보안, 협회]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네트워크: OSI]
  EBCDIC (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네트워크: OSI]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 [네트워크: OSI]
  MAC (Media Access Control) [네트워크: OSI]
  UDP (User Datagram Protocol) [네트워크: OSI, NMS / SNMP]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네트워크: TCP/IP / IP]
  RARP (Reverse Adress Resolution Protocol) [네트워크: TCP/IP / IP]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네트워크: TCP/IP / IP]
  CRC (Cyclic Redundancy Checks) [네트워크: TCP/IP / Network Interface]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네트워크: TCP/IP / Network Interface]
전송에 실패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법
  LAN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네트워크: LAN]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침입탐지시스템 [네트워크: ESM]
- 정보시스템의 보안을 위협하는 침입행위가 발생할 경우 이를 탐지, 적극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 침입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방화벽과는 달리 각종 해킹 수법을 이미 자체에 내장하고 있어 침입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 제어, 추적 가능
  IGMP (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 [네트워크: TCP/IP / IP]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네트워크: TCP/IP / Network Interface]
네트워크가 비어 있을 때 데이터를 전송하고, 충돌 여부를 확인하여 충돌이 발생할 경우 랜덤 시간 후에 다시 네트워크 상황을 보고 데이터를 전송
- CS : 네트워크가 사용 중인지 알아냄
- MA : 네트워크가 비어 있으면 누구든 사용 가능
- CD :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충돌 여부를 확인
  ToS (Type Of Service) [네트워크: TCP/IP / IP]
  SSH (Secure Shell) [네트워크: TCP/IP / Application]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네트워크: TCP/IP / Router]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네트워크: TCP/IP / Router]
  BGP (Border Gateway Protocol) [네트워크: TCP/IP / Router]
  FDDI (Fiber Distribute Data Interface) [네트워크: TCP/IP]
  EBGP (External BGP) [네트워크: Routing / BGP]
  IBGP (Internal BGP) [네트워크: Routing / BGP]
  AS (Autonomous System) [네트워크: Routing]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네트워크, 협회: Routing]
  RFC (Request For Comments) [네트워크: IETF]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네트워크: NMS]
  ENMS (Enterprise Network Management System) [네트워크: NMS]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네트워크: NMS]
  EAMS (Enterprise Architecture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EA]
  SMS (Server Management System) [네트워크: NMS]
  CoS (Class of Service) [네트워크: QoS]
  CBQ (Class Based Queuing) [네트워크: QoS]
  MPLS (Multi Protocol Label Switch)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QoS, BcN]
  RSVP*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자원예약 프로토콜 [네트워크: QoS / IntServ, VoIP]
비디오나 고대역폭의 멀티캐스트 메시지 등의 전송을 위해 인터넷상의 채널들이나 경로들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네트워크: LAN]
  LLC (Logical Link Control) 논리적 연결 제어 [네트워크: LAN / Data Link]
  DSAP (Destination Service Access Point) [네트워크: LAN / Data Link / LLC]
  SSAP (Source Service Access Point) [네트워크: LAN / Data Link / LLC]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분할다중화 [네트워크: LAN / Optical, 광 다중화]
- 광섬유에 파장을 동시에 분할하여 전송용량을 확대하는 기술
- 하나의 광섬유에 각 채널별로 여러개의 광 파장을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임
- 대용량 정보전송 및 전송효율을 증대시키며, 다양한 인터페이스 적용이 가능함
  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 [네트워크: LAN, BISDM / Physical]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 전화교환망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VoIP]
  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DSU (Digital Service Unit)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CSU (Channel Service Unit)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식 전달 모드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 BISDN]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B-ISDN (Broadband ISDN)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VDSL (Very-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 VDSL]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 VDSL]
  SDSL (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 VDSL]
  HDSL (High-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 VDSL]
  CEPT (Comference of European Post and Telecommunications) [네트워크, 협회: Mobile / GSM]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SIM [네트워크: Mobile / IMT2000]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범세계 이동통신 2000 [네트워크: Mobile / 3G]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네트워크: HSPDA]
데이터 전송시 채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변조 및 코딩을 사용하는 방법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네트워크: HSPDA]
- 패킷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FEC와 ARQ를 접목
- 원래 전송된 정보와 재전송되어 온 정보를 결합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재전송의 횟수를 줄임
  RRC (Radio Resource Control) [네트워크: HSPDA / Scheduling]
  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네트워크: HSPDA]
-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고 다중경로 효과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중 송수신 기술이며, 무선 통신 용량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
사용
- 수신 처리 입장에서는 간섭 제거 효과, 송신 처리 입장에서는 용량 증대 효과가 있음
  SSID (Service Set ID) [네트워크: Wireless LAN]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네트워크: Wireless LAN]
  WPA* (Wi-Fi Protected Access) [네트워크: Wireless LAN, EAP, WEP, TKIP]
무선 랜 보안 표준의 하나로, WEP(Wired Equivalent Privacy) 키 암호화를 보완하는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라는 IEE 802.11i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인증 부문에서도 802.1x 및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를 도입해 성능을 높였으며, 특히 패킷당 키 할당 기능, 키값 재설정 등 다양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해킹이 불가능하고 네트워크에 접근시 인증 절차를 요구함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 [네트워크, 보안]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Public Network)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망(Private Network)을 구축한 것 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식
  TDD (Time Division Duplex) 시간 분할 양방향 [네트워크: WiBro]
  WTLS (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 [네트워크: Wireless Internet]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네트워크: Wireless Internet]
국내 이동통신사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으로 휴대전화에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한 S/W의 일종
  J2ME* (Java 2 Micro Edition) [시스템구조: Java / Mobile, 분산시스템]
모바일 기기, Embedded System의 응용프로그램 개발용 자바기술 플랫폼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Wireless) 퀄컴의 폐쇄형 휴대폰 플랫폼 [네트워크: Wireless Internet / WIPI]
  WAE (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네트워크: WAP]
  WSP (Wireless Session Protocol) [네트워크: WAP]
  WTP (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네트워크: WAP]
  WDP (Wireless Datagram Protocol) [네트워크: WAP]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네트워크: Web]
  UBcN (Ultra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네트워크: BcN]
  NGcN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네트워크: BcN]
  OXC (Optical Cross Connect) 광회선분배 [네트워크: BcN]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동기식 디지털 계위 [네트워크: BcN, SONET]
  IPNG (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 [네트워크: IPv6]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네트워크: Web, Ubiquitous, u-City]
- IPv4에 이어서 개발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표현 방식의 차세대 버젼으로 기존 32bit에서 128bit로 주소체계 확장
-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 특정한 패킷 인식을 통한 높은 품질의 서비스 제공, 헤더 확장을 통한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의 보장 등도 대표적인 장점
  CoA (Care of Address) [네트워크: Mobile IP]
  PML (Product Markup Language / Physical Markup Language) [네트워크: USN]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SN, RFID, Ubiquitous, u-City, SoC]
-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micro)의 전자적(electro), 기계적(mechanical) 요소들이 결합된 장치(system)
- 기계, 전기, 공학, 생물적인 기능, 또는 이들의 복합적 기능을 갖는 소자들로 이루어진 초소형 시스템을 통칭
  OTDM (Op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광 시분할 다중화 [네트워크: 광 다중화]
  OFDM (Optic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광 주파수 분할 다중화 [네트워크: 광 다중화]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고밀도 파장분할 다중 [네트워크: 광 다중화]
  OLT (Optical Line Terminal) [네트워크: FTTH]
  RN (Remote Node) [네트워크: FTTH]
  AON* (Active Optical Network) [네트워크: FTTH, BcN]
전원이 필요한 스위치를 가입자에 위치시키는 FTTH의 한 유형
  PON* (Passive Optical Network) [네트워크: FTTH, BcN]
전원이 불필요한 수동소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FTTH의 한 유형
  PTP (Point To Point) [네트워크: FTTH]
  ONU (Optical Network Unit) [네트워크: FTTH]
  FTTO (Fiber To The Office) [네트워크: FTTH]
  FTTC (Fiber To The Curb) [네트워크: FTTH]
  OEPP (Optical Ethernet Provisioning Platform) [네트워크: Metro Ethernet]
  FN (Fiber Node) [네트워크: HFC]
  MCU (Multipoint Control Unit) [네트워크: VoIP]
  PBX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교환기 [경영정보: VoIP, Call Center, Voice Portal]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접속 설정 프로토콜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VoIP, H.323]
- 인터넷 전화 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설정, 수정, 종료할 수 있는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
- 인터넷 상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이 목적이며, 확장성이 우수하고 구현이 간단 용이함
  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국제전기통신연합-전기통신 [네트워크, 협회: VoIP]
  MGC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네트워크: VoIP, MEGACO(H.248)]
PSTN망과 IP망을 연결해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MG(Media Gateway)를 Call Connection Agent가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
  MGC* (Media Gateway Controller)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VoIP, MGCP, MEGACO(H.248), SIP, H.323]
호 처리, 라우팅, 프로토콜 변환, MG(Media Gateway) 제어, 소프트 스위치(Soft-switch)라고도 함
  MEGACO*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H.248 [네트워크: VoIP, MGCP]
MG(Media Gateway)와 MGC(Media Gateway Controller)의 관계 및 제어 프로토콜, H.248로 알려져 있음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VoIP, IP-TV, DTV, RTCP, ALM]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화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 계층 통신 규약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VoIP, RTP, RTCP, H.323]
- on Demand 형식으로 리얼타임 미디어 전송을 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 인터넷 상에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안으로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
- 대규모 그룹들에게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
  RTCP* (Real-Time Control Protocol)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VoIP, IP-TV, DTV, RTCP, ALM]
인터넷을 통한 영상이나 음성의 스트리밍용 프로토콜인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
  Home PNA* (Home Phoneline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 Home Network]
가정내의 컴퓨터와 여러 가전제품, 시설 등을 전화선을 이용해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이러한 것들을 인터넷 가입자 망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네트워크: Home Network]
- 전력선을 통신선으로 사용하여 전원과 통신신호를 다중화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유선 통신 기술
- 1 Mbps 정도의 통신속도와 500m 정도의 통신거리로 홈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적합
- 별도의 통신선 구축 없이 가정내의 전원 콘센트와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
  Home RF* (Home Radio Frequency) [네트워크: Home Network]
IEEE 802.11 무선랜 방식을 홈 네트워크로 변형, Voice Signal 및 Data Signal과의 호환성을 초점으로 개발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통신 [네트워크: Home Network]
-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기술
- 안테나가 없고 하드웨어가 작으며 대용량 정보 전송이 가능하고 저렴하여 각종 디지털 기기 및 휴대폰에 채택되는 등 대중화 추세
- 빠른 통신속도와 통신거리 1~5m 정도, 전파 간섭이나 잡음 우려 없고, 모듈비용 1$내외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네트워크: Bluetooth]
ITU-T에서 통신용도가 아닌 산업, 과학, 의료 분야를 위해 예약이나 사전 허가 없이 사용 가능한 공용 주파수 대역(433-434MHz)
  CAP (Computer Aided Planning) [디지털서비스: PLM]
  HAVi* (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네트워크: Home Network]
소니, 톰슨, 필립스, 도시바, 샤프, 히타치 등 8개 가전업체가 함여한 가전 호환을 위한 표준
  JINI* (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네트워크, 시스템구조: Java, Home Network]
- 분산된 장치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자바 기반의 제어 프로토콜
- Java RMI 기반의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 Home Network]
- 분산된 장치와 서비스 간에 편리한 통신을 위한 PnP 확장 기술
- TCP/IP, DHCP를 이용하고 자동 접속과 확장성이 용이
  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네트워크: Home Network]
  UWB* (Ultra Wide Band) [네트워크: WPAN, Home Network]
- 기존 무선 전송 방식의 잡음 대역 정도에 기존 주파수에 방해 없이 고속 전송 가능한 무선 전송 방식
-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0~500Mbps 정도로 매우 좋고, 높은 보안성, 정확한 거리 측정 등의 장점
- 단거리 구간에서 저전력으로 넓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네트워크: WPAN]
  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주파수 도약방식 [네트워크: Bluetooth]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네트워크: Zigbee, Wi-Fi, WLAN]
- CSMA/CD의 변형, 장치들은 항상 네트워크의 반송파를 감지하고 있다가, 네트워크가 비어있을 때 목록에 등재된 자신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 만큼의 시간을 기다렸다가 데이터를 보냄
- 목록 내에서 장치들 간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를 재설정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직접확산방식 [네트워크: Zigbee]
  USB (Universal Serial Bus) [시스템구조: Communication]
  Ubibot* (Ubiquitous Robot)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과 통신하며 음성인식, 음성 합성 등의 인공지능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
- 언제 어디서나 함께 하는 생활 파트너로서의 로봇
  RMI* (Remote Method Invocation) [시스템구조: Java]
- 자바가 제공하는 분산 객체들 간의 메서드의 호출로 서로 다른 호스트에 있는 자바 객체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법
- Stub/skeleton 기반의 Java 객체 통신 프로토콜을 JRMP라 부르고, 이를 기반으로 rmi registry 및 rmi server 등을 구현한 아키텍쳐
  mCRM (mobile CRM) [경영정보: CRM]
  WPS (WiFi Positioning System) [디지털서비스: WiFi, GPS]
  C.I.A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보안: 정보 보안]
  TCSEC* (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 [보안: 정보 보안 / 평가 기준 / Product]
미국의 NCSA에서 만든 보안시스템 평가 기준으로, HW, SW 등에 대하여 기술적 측면에서 보안 평가기준 및 방법론 제공(7등급: D,C1,C2,B1,B2,B3,A1)
  ITSEC*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 Criteria) [보안: 정보 보안 / 평가 기준 / Product]
유럽 4개국에서 만든 보안시스템 평가 기준(7등급: E0~E6)
  CC* (Common Criteria) 국제공통 평가기준 표준 [보안: 정보 보안 / 평가 기준 / Product]
- 국가별 서로 다른 정보보호시스템 평가기준을 연동하고 평가결과를 상호 인증하기 위해 제정된 국제표준 평가기준(7등급: EAL1~EAL7)
- TCSEC(미국)과 ITSEC(유럽)의 보안 표준을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보호시스템(VPN, IDS, Firewall 등)의 평가에 관한 국제기준
  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정보보안 관리시스템 [보안: 정보 보안 / 평가 기준 / Process]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보안: 암호화]
64bit 평문을 64bit 대칭키를 이용하여 64bit 암호문으로 만드는 미국 표준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보안: 암호화]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NIST)가 제정한 데이터 암호화 표준(DES)의 차세대 국제 표준 암호로, 순서 공개형의 대칭키 암호 방식이며, 블록 길이는 128비트, 키의 길이는 128/192/256 비트 중에서 선택이 가능함
  RSA* (Rivest, Shamir, Adleman) [보안: 암호화]
소인수분해 문제 해결의 높은 난이도 사용,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은 것이 검증되어 전자서명, PKI에 사용됨
  ECC* (Elliptic Curve Cryptosystem) [보안: 암호화]
- 이산대수에서 사용하는 유한체의 곱셈군을 타원곡선군으로 대치한 암호체계로서 다른 암호체계에 비하여 짧은 키 사이즈로 대등한 안전도를 가짐
- 빠른 속도 및 짧은 키로 저처리 능력 기기에 적합: 무선, 이동통신, IC 칩 등
  PMI*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권한체계 관리기반구조 [보안: PMI]
- 사용자 권한, 지위, 임무 등에 관한 사용자의 속성(Attribute)을 정의하고 관리하기 위한 권한 인증 체계
- 권한 관련 자원과 이의 소유자간의 관계를 신뢰기관이 보증하고 유지하는 구조
  KMI* (Key Management Infrastructure) 키 관리 기반구조 [보안: PMI]
사용자의 전자서명 비밀키의 이동성 보장을 위한 키로밍 서비스 제공
  PP (Protection Profile) 보호프로파일 [보안: CC]
  ST (Security Target) 보안목표명세서 [보안: CC]
  CEM (Common Evaluation Methodology) 평가수행지침 [보안: CC]
  CCRA (Common Criteria Recognition Agreement) CC상호인정협정 [보안, 협회: CC]
  CAP (Certificate Authorizing Participants) 인증서발행자 [보안: CC]
  CCP (Certificate Consuming Participants) 인증서수용자 [보안: CC]
  NCSC (National Computer Security Center) 국립컴퓨터보안센터(미국) [보안, 협회: TCSEC]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자율적 접근제어 [보안: TCSEC]
  MAC (Mandatory Access Control) 강제적 접근제어 [보안: TCSEC]
  TCB (Trusted Computing Base) [보안: TCSEC]
  EAL (Evaluation Assurance Level) 평가보증등급 [보안: CC]
  BSI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영국표준협회 [보안, 협회: BS7799]
  BCP*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업무지속계획 [보안, 시스템구조: BS7799, Fault Tolerant System]
발생가능한 재해와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조직, 정책 및 절차의 수립과 대체 시설의 확보를 통하여 조직의 업무가 지속적으로 유지죌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계획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국제 표준화 기구 [SW공학, 협회: 표준화, 품질 / 인증]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 [SW공학, 협회: 표준화, 품질 / 인증]
  SSE-CMM (Systems Security Engineering-Capability Maturity Model) [보안: BS7799]
  ISSEA (International Systems Security Engineering Association) [보안, 협회: SSE-CMM, BS7799]
  ARIA* (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보안: 암호화]
- 국정원에서 개발한 대칭키를 사용하는 128비트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스마트 카드 등의 초경량 환경 및 고성능 서버 환경 등에서 SEED에 비해 상대적인 장점 가짐
- 경량 환경 및 하드웨어에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대부분의 연산은 XOR과 같은 단순한 바이트 단위 연산으로 구성됨
- ARIA는 개발팀이 Academy(학계), Research Institute(연구소), Agency(정부 기관)로 구성되었음을 의미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ch Institut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 협회: SEED]
  DSA (Digital Signature Algorithm) 전자 서명 표준 [보안: 전자서명, DSS(DSA)]
  LSB (Least Significant Bit) 최하위 비트 [보안: 스테가노그래피 / Image]
  MSB (Most Significant Bit) 최상위 비트 [보안: 스테가노그래피 / Image]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디지털서비스, 보안, 협회: 스테가노그래피, 압축]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산코사인변환 [디지털서비스, 보안: 압축, 스테가노그래피, JPEG, MPEG]
  CA (Certificate Authority) 인증기관 [보안: PKI]
  RA (Registration Authority) 등록기관 [보안: PKI]
  CRL* (Certificate Revocation List) 인증서폐지목록 [보안: PKI]
가입자 이름과 인증서의 현재 상태로 구성된 목록인데, 폐기 사유와 인증서 발급일, 발급기관 등의 정보도 포함
  GPKI (Government PKI) 정부공개키 [보안: PKI]
  NPKI (National PKI) 국가공개키 [보안: PKI]
  OCSP* (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온라인 인증서 상태 프로토콜 [보안: PKI]
사용자가 서버에 접근을 시도하면 인중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하며, 인증서 상태를 관리하고 있는 서버는 유효성 여부에 관한 응답을 즉시 보내주고, 이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측 응용프로그램 간의 통신 구문을 정의함
  DSS (Digital Signature Standard) 디지털 서명 표준 [보안: 전자서명, DSA(DSS)]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국 표준기술원 [보안, 협회: DSS]
  SHA (Secure Hash Algorithm) [보안: 전자서명, DSS]
  KCDSA* (Korean Certificate-based Digital Signature Algorithm) [보안: 전자서명]
국내 전자서명 표준 알고리즘, 이산대수 문제의 어려움에 기반, 서명 크기가 작음(256bit)
  MAC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보안: 인증, SSH]
  GCC (Government Computer Center) 정부전산정보관리소 [보안, 협회: GPKI]
  AFIS (Automatic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자동 지문인식 시스템 [보안: 지문인식]
  AFAS (Automatic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자동 지문검증 시스템 [보안: 지문인식]
  FAR* (False Acceptance Rate) 오인식률 [보안: 생체인식]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시스템의 오류로 인하여 접근 허용되는 비율
  FRR* (False Rejection Rate) 오거부율 [보안: 생체인식]
허가된 사용자가 시스템의 오류로 인하여 접근 거부되는 비율
  EER (Equal Error Rate / CER) [보안: 생체인식]
  CER (Crossover Error Rate / EER) [보안: 생체인식]
  FER* (Failure to Enroll Rate) 등록실패율 [보안: 생체인식]
하나의 생체 원시 데이터 레코드를 등록할 수 없는 사용자가 발생할 비율
  EAM* (Enterprise Access Management) 전사적접근관리 [보안]
- 사용자 싱글 사인온(SSO) 기능과 관리자에게 다양한 접근 제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통합 인증 및 권한 관리 솔루션
- 기업 자원과 정보에 대한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는 물론 개별화 기능, 정보와 지식에 대한 체계적 관리, 그룹웨어, 지식 관리 시스템(KMS), 경영진 정보 시스템(EIS), 공급 사슬 관리(SCM), 기업 자원 관리(ERP) 등에 대한 단일화 창구 제공과 같은 도입 효과
  SOA (Source Of Authority) [보안: PMI]
  AC (Attribute Certificate) [보안: PMI]
  AA (Attribute Authority) [보안: PMI]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인증, 권한검증, 계정관리 [보안: PMI, BcN]
인증(Authentication), 권한검증(Authorization), 계정관리(Accounting)의 구현 및 분산 보안을 위한 중앙 인증용 프로토콜 또는 서비스
  RADIUS* (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 [네트워크, 보안: PMI / AAA, WPA, EAP, Authentication]
접속해온 사용자들을 인증하고, 요청된 시스템이나 서비스에 관해 그들에게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중앙의 서버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및 AAA 인증 서버
  E2E (End To End) [보안: PMI / AAA / DIAMETER]
  IPSec* (Internet Protocol Security) [보안: PMI / AAA / DIAMETER, VPN]
네트워크나 네트워크 통신의 패킷 처리 계층에서의 보안을 위해, 지금도 발전되고 있는 표준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PMI / AAA / DIAMETER]
SSL/TLS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인증 및 암호화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침입방지시스템 [보안: IPS]
  DPI (Deep Packet Inspection) [보안: IPS]
  PPTP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지점간 터널링 프로토콜 [보안: VPN]
  L2TP (Layer 2 Tunneling Protocol) [보안: VPN]
  VTP (VLAN Trunking Protocol) [보안: VPN]
  VLAN (Virtual LAN) 가상랜 [보안: VPN]
  IKE (Internet Key Exchange) [보안: VPN]
  IDP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보안: Secure OS]
  DoS (Denial of Service) [보안: Secure OS]
  BOF (Buffer Over Flow) [보안: Secure OS]
  NFS (Network File System) [보안: Network Storage / NAS, 해킹]
  ISS (Internet Security Scanner) [보안: 해킹]
  SATAN (Security Administrator Tool for Analyzing Networks) [보안: 해킹]
  XKMS (XML Key Management Specification) [보안: XML]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디지털서비스, 보안: XML, Web Service, SSO]
사용자인증 정보 교환에 대한 프레임워크
  XACML (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 [보안: XML]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서비스, 보안: 디지털 콘텐츠, e-Book, e-Learning]
- 디지털 형태로 만들어진 각종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의 위치추적, 내용변경 등을 규명하기 위한 정보기술
- 디지털 콘텐츠를 적법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근거로 과금할 수 있게 하는 관리 기술
  SRM (Software Rights Management) [보안]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디지털서비스, 보안: 디지털 콘텐츠, MPEG-21, DRM]
Prefix와 Suffix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부여하는 고유 식별체계
  XrML* (eXtensible Rights Markup Language) [디지털서비스, 보안: XML, 디지털 콘텐츠, MPEG-21]
콘텐츠 및 서비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디지털 권한 언어, 디지털 콘텐츠와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자원과 관련된 권리 및 조건들을 보안적으로 규정하고 관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어떤 수준(개인, 그룹, 단체)의 권리 및 조건을 가진 단일 티어(tier)나 다중 티어에서도 사용 가능, 또한 권한과 조건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뢰 환경을 규정
  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보안: 디지털 콘텐츠 / 방송, IP-TV, DTV, STB, POD]
- 수신자격을 가진 가입자만 방송시청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하는 시스템
- 가입자가 시청료를 내고 이에 걸맞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입장권’ 개념
  CPS (Copyright Protection System) 저작권보호체계 [보안: 디지털 콘텐츠 / 방송]
  SPOF (Single Point Of Failure) [보안: SSO]
  N-IDS (Network-based IDS) [보안: IDS]
  H-IDS (Host-based IDS) [보안: IDS]
  ITA/EA*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Enterprise Architecture) [경영정보: ITA/EA / BPR]
- 비즈니스 업무, 관리활동, 정보기술간의 관계를 현재와 향후 추진해 나갈 모습에 대해 명확히 묘사해 둔 청사진
- 기업의 주요 비즈니스, 정보, 응용시스템, 기술전략 등의 요소가 사업과 업무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등을 총괄적으로 표현한 조감도
  BAA (Business Area Analysis) 분석 [경영정보: ISP, BPR]
  BSD (Business System Design) 설계 [경영정보: ISP, BPR]
  PIP (Partner Interface Process) [경영정보: RosettaNet]
  EJB* (Enterprise Java Beans) 서버측 컴포넌트 모델 [SW공학, 시스템구조: Java, CBD, 분산시스템]
- 객체 지향 분산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분산배치를 위한 컴포넌트 아키텍쳐
- 서버에서 실행되는 텀포넌트 모델로 어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감추고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전념할 수 있게 미들티어 어플리케이션을 단순하게 해주는 컴포넌트 아키텍쳐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 데이터베이스 접속 [DB, 시스템구조: Java]
  J2EE* (Java 2 platform, Enterprise Edition) [시스템구조: Java, 분산시스템]
- Enterprise 환경 구성을 위한 분산 응용 프로그래밍 환경하에서 개발하는 서버 사이드 자바기술 플랫폼
- J2EE = 웹 브라우저 + J2EE 서버 + 데이터베이스
  SQL (S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 질의어 [DB: SQL]
  OO* (Object Oriented) 객체지향 [SW공학: 방법론]
- 실세계의 개체(Entity)를 데이터(Attribute)와 함수(Method)를 결합시킨 형태로 표현하는 개념
- 객체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시스템을 구성함
  ADO (ActiveX Data Objects) [디지털서비스, DB: .NET]
  BA (Business Architecture) [경영정보: EA]
  AA (Application Architecture) [경영정보: EA]
  DA (Data Architecture) [경영정보: EA]
  TA (Technichal Architecture) [경영정보: EA]
  BRM (Business Reference Model) [경영정보: EA]
  SRM (Service Reference Model) [경영정보: EA]
  ARM (Application Reference Model) [경영정보: EA]
  DRM* (Data Reference Model) [경영정보: EA]
- ITA/EA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공통의 기준을 정의한 것으로, ITA/EA의 일관성 및 통일성, 상호 운용성 확보하기 위한 도구
- EA를 정의할 때 공통으로 참조할 수 있는 참고서 또는 사전의 역할
  SI (System Integration) [경영정보: Outsourcing]
  SM (System Management) [경영정보: Outsourcing]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 정보관리 책임자 [경영정보: IT Governance]
  CASE (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 [SW공학: 자동화도구, RAD]
  3R* (Reverse Engineering, Reengineering, Reuse) 역공학, 재공학, 재사용 [SW공학: 생산성]
레파지토리를 기반으로 역공한, 재공학, 재사용을 통해 소프트웨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기법
  PEIM (Professional Engineer of Information Management) 기술사 [경영정보: PEIM]
  CMM (Capability Maturity Model) [SW공학: 품질평가]
  RAD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SW공학: SDLC]
  JRP (Joint Requirement Planning) 정의/분석 [SW공학: RAD]
  JAD (Joint Application Design) 설계 [SW공학: RAD]
  XP* (eXtreme Programming) [SW공학: Agile]
짧은 개발주기(Iteration)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우선 구현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위험을 줄이는 프로그래밍 중심의 개발방법론
◇ 용기(Courage), 단순성(Simplicity), 의사소통(Communication), 피드백
▶ 짧은 릴리스, 게임 계획, 메타포, 테스트, 리팩토링, 간략한 디자인, 공동 책임, 점진적 통합, 페어 프로그래밍, 주 40시간, 고객 상주, 코드 표준
  4GT (4th Generation Techniques) 4세대 기법 [SW공학: 방법론]
  4GL (4th Generation Language) 4세대 언어 [SW공학: 4GT]
  PL (Procedural Language) [SW공학: 4GT]
  SDLC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W공학: SDLC]
  OMG (Object Management Group) 객체 관리 그룹 [SW공학, 협회: OO]
  COTS (Commercial Off The Shelf) 기성품 [SW공학: CBD]
  I-CASE (Integrated CASE) 통합 CASE [SW공학: CASE]
  OOM (Object-Oriented Methodology) 객체지향 방법론 [SW공학: 방법론]
  PIM (Platform Independent Model) [SW공학: MDA]
  PSM (Platform Specific Model) [SW공학: MDA]
  MDA* (Model Driven Architecture) [SW공학: UML 2.0]
- 컴포넌트 플랫폼에 독립적인 기본설계 모덜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원하는 플랫폼에 맞는 컴포넌트 S/W를 생성하는 컴포넌트 기술의 표준구조
- 모든 컴포넌트 기술 요소의 메타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구성요소를 정의함으로써 호환성 및 시스템간 자동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OMG에서 제안한 소프트웨어 개발기술
- 설계모델을 플랫폼에 독립적인 모델(PIM)로 기술하고 플랫폼에 종속적인 모델(PSM)은 PIM 매핑을 통하여 변환, 생성하여, 구현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
  SDL (Specification Description Language) [SW공학: UML 2.0]
  MSC (Message Sequence Chart) [SW공학: UML 2.0]
  OCL (Object Constraint Language) [SW공학: UML]
  RUP* (Rational Unified Process) [SW공학: UML, CBD]
UML 모델링 언어를 기초로 정의된 Unified Process를 Rational사에서 커스터마이징하고, 개발도구와 통합하여 개발한 객체지향 방법론
  CBSE (Components Based Software Environment) 콤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환경 [SW공학: CBD]
  CD (Component Development) [SW공학: CBD]
  COM (Component Object Model) [SW공학: CBD, CORBA]
  IDL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SW공학: CBD]
  MDD (Model Driven Development) [SW공학: MDA]
  MOF* (Meta Object Facility) [SW공학: OMG / MDA]
- 다른 메타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메타-메타 모델로 UML과 SWM은 MOF 기반 메타모델, MOF는 모델 저장소 역할
- 객체 지향 모델 작성에 사용되는 UML 메타 모델의 필수 요소와 문법 구조를 정의하는 메타 모델 객체 및 컴포넌트 기술의 핵심을 정형화한 모델
  CWM* (Common Warehouse Metamodel) [SW공학: OMG / MDA]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시키마 변환 모델, OLAP, 데이터 마이닝 모델에 대한 표준화된 방법 제공
  XMI* (XML Metadata Interchange) [SW공학: OMG / MDA, UML]
- 메타모델 정의 언어(MOF) 기반 모델을 XML로 맵핑하기 위한 표준
- 프로그래머들과 다른 사용자들이 메타데이터에 관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XML 형식의 표준
  CCM (CORBA Component Model) [SW공학: MDA]
  DCOM (Distributed COM) [SW공학: CBD / COM]
  CBSD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콤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SW공학: CBD]
  DSDM (Dynamic Systems Development Method) [SW공학: Agile / XP]
  FDD* (Feature Driven Development) 기능 중심 개발 [SW공학: Agile / XP]
전체적인 객체 모델 작성, Feature 항목 작성, Feature에 따른 계획 수립, Feature에 대한 설계, Feature에 대한 구현의 다섯 가지 절차로 구성
  TDD (Test 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중심 개발 [SW공학: Agile / XP]
  QAO (Quality Assurance Officer) [SW공학: SDLC]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 [SW공학: SDLC / Project]
  PDCA* (Plan Do Check Act) 품질관리 기법 [SW공학: SDLC / PM]
- 품질 개선을 위해 계획을 세워서, 실행을 하고, 그 결과를 점검하여, 다시 조치를 위하는 과정, 품질관리의 ABC
- PDCA 과정이 일회성이나 단타성이 아니고 연속성을 가지고 계속 진행된다는 뜻으로 PDCA 사이클(Cycle)이라 함
  SPL (Software Product Line) [SW공학: SDLC]
  CMU/SEI (Carnegie Melon University/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SW공학, 협회: CMM, SPL]
  MPM (Master PM) [SW공학: PMO]
  PL (Part Lead) [SW공학: PMO]
  EPM (Enterprise Project Management) [SW공학: PMO]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SW공학: PM / Plan]
프로젝트 계획을 세울 때 이용되는 방법의 하나로, 프로젝트 전체를 세세한 작업으로 분할한 구성도
  OBS (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SW공학: PM / Plan]
  CPM (Critical Path Method) [SW공학: PM / Plan]
  PERT/CPM*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Critical Path Management) [SW공학: PM / Plan, CPM]
- 주어진 일정에 산출물을 납품하기 위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적합한 스케줄 도출을 위해 불확실한 유형에는 PERT, 안정적인 기술을 기초로하는 유형에는 CPM을 사용
-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핵심경로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며,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의한 일정관리로 단위 작업의 선후관계, 착수/종료일, 자원정보 등 단위작업간 상호환계의 파악 용이
  CCB (Change Control Board) [SW공학: PM / Plan / Milestone]
  RAM (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SW공학: PM / Plan / PBS]
  PBS (Project Breakdown Structure) [SW공학: PM / Plan]
  O (Optimistic time) 낙관적 시간 [SW공학: PERT]
  P (Pessimistic time) 비관적 시간 [SW공학: PERT]
  ml (most likely time) 최적 시간 [SW공학: PERT]
  LOC* (Line Of Count)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WBS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원시코드 라인수를 예측하여 비용을 산정
  EVA (Earned Value Analysis) 기성고 [SW공학: PM / 비용]
  COCOMO* (COnstructive COst MOdel)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듈과 서브시스템의 비용합계를 계산하여 시스템의 비용을 산정하는 방식
  FP* (Function Point)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 소프트웨어의 양과 질을 동시에 고려한 규모 및 개발비용 산정 방식
- 정보처리 규모와 기술의 복잡도 요인에 의한 규모 산정 방식으로 기능증대요인의 수 및 요인별 난이도 가중치를 정하여 기본기능 점수 계산
  EI (External Input) [SW공학: FP]
  EO (External Output) EQ+가공 [SW공학: FP]
  EQ (External inQuery) [SW공학: FP]
  ILF (Internal Logical File) [SW공학: FP]
  EIF (External Interface File) [SW공학: FP]
  TCF (Technical Complexity Factor) [SW공학: FP]
  DFP (Development FP) [SW공학: FP]
  EFP (Enhancement FP) [SW공학: FP]
  AFP (Application FP) 응용 기능점수 [SW공학: FP]
  STLC (Software Testing Life Cycle) [SW공학: PM / TEST]
  ISO 12207* (표준 SDLC 프로세스) [SW공학: 품질 / 프로세서 / SDLC]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SDLC) 표준 프로세스로,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획득, 공급, 개발,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해 SDLC 프로세스 표준을 제공함으로써 실무자들이 개발 및 관리에 동일한 언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본틀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
  FTR* (Formal Technical Review) 정형기술검토 [SW공학: PM / Review, 품질관리]
Walk Through, Inspection, Review, RoundRobin, 그리고 소프트웨어에 관한 다른 소단체의 기술적 평가를 포함하는 검토의 부류로, 검토의 끝에서 모든 FTR 참가자들은 제품의 승인, 거절, 잠정적 인정을 결정해야 함
  TR (Technical Review) [SW공학: PM / Review]
  PMR (Project Management Review) [SW공학: PM / Review]
  RTM (Requirement Traceability Matrix) [SW공학: PM / 형상관리]
  QM (Quality Management) 품질관리 [SW공학: PM / 품질]
  QA (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SW공학: PM / 품질]
  QP (Quality Planning) 품질계획 [SW공학: PM / 품질]
  GS (Good Software)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SW공학: 품질 / 제품 / 인증]
  SPIC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ISO 15504 [SW공학: 품질평가 / 표준모델 / 프로세스]
  ISO 15504 (표준 Process 모델) [SW공학: 품질 / 프로세서 / SPICE]
  ISO 12119 (SW 패키지 품질) [SW공학: 품질 / 제품]
  ISO 9126* (SW 품질의 특성과 기준) [SW공학: 품질 / 제품]
사용자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을 정의하고 객관적 측정을 위한 품질 평가 매트릭스를 제공하는 국제 표준
  ISO 14598* (SW 제품 평가 절차) [SW공학: 품질 / 제품]
소프트웨어 제품평가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으로 ISO 9126의 사용을 위한 절차와 기본 상황 및 소프트웨어 평가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
  ISO 9001:2000 (품질보증시스템) 설계, 제조, 설치, 서비스 [SW공학: 품질 / 프로세스 / 범용]
  ISO 25000 (SW 품질평가 통합모델 표준) ISO 9126+14598+12119 [SW공학: 품질 / 제품 / Square]
  MIL-STD-498 (Military-Standard-498) 미 국방성의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절차 [SW공학: ISO 12207]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프로젝트관리 지식체계 [SW공학: ISO 12207]
  FTA (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경영정보, SW공학, 협회: CMMI, IFRS]
  WTO (World Trade Organization) 세계무역기구 [경영정보, SW공학, 협회: CMMI, IFRS]
  CAAT (Computer Assisted Auditing Techniques) 컴퓨터 이용 감사기법 [SW공학: 감리]
  DMAIC*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정의, 측정, 분석, 개선, 관리 [경영정보, SW공학: 6-Sigma]
6시그마 과제추진의 방법론의 하나로 기존으 프로세스를 개선할 때에 적용됨
  ERMS (E-mail Response Management System) 이메일 응답관리 시스템 [경영정보: e-CRM]
  ANI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경영정보: Call Center]
  CoP (Communities of Practice) 지식 공동체 [경영정보: KM]
  KM (Knowledge Management) [경영정보: KM]
  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경영정보: ERP]
  DTMF (Dual-Tone Multi-Frequency) [경영정보: Voice Portal]
  C-Commerce (Collaborative Commerce) [경영정보: e-Business, ERP II]
  QR* (Quick Response) 반응생산 [경영정보: SCM, ECR]
80년대 중반 미국의 의류업계와 유통업체가 상호 협력하여 생산, 유통관계를거래 당사자가 협력하여 소비자에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을 적정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 소비자의 개성화나 가격지향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기업의 거래선과 공동으로 실시하는 리엔지니어링의 개념
  3PL (3rd Party Logistics) 제3자 물류 [경영정보: SCM]
  LTV* (Life Time Value) 고객생애가치 [경영정보: CRM]
고객 한 사람이 죽을 때까지 자사의 상품만을 구매한다고 했을 때의 매출액 혹은 이익을 의미
  BPM (Business Process Manager) [경영정보: B2Bi]
  ECP (Enterprise Collaboration Portal) [경영정보: EP]
  EEP (Enterprise Expert Portal) [경영정보: EP]
  4R (Repository, Reference Worker, Refresh, Reward) [경영정보: KM]
  PL (Profit & Loss) 손익계산서 [경영정보: VBM]
  BS (Balance Sheet) 대차대조표 [경영정보: VBM]
  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요청서 [경영정보: Outsourcing, 발주 프로세스]
- 공식적으로 제안을 요창하는 행위로 발주자가 자사의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기술
- 정보시스템 전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구분됨
  RFI* (Request For Information) 정보요청서 [경영정보: Outsourcing, 발주 프로세스]
- 제안 요청 이전에 개략적으로 자신의 업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아내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절차
- 관련 회사 브로셔나 솔루션 설명서 등 개괄적인 정보 요청
  DFX (Design For X) X: Assembly, Manufacturing, Life-cycle [경영정보: PDM]
  CAPP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 [경영정보: PDM]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품질기능전개 [경영정보: PDM]
  MCAD (Mechanical CAD) 기계설계 CAD [경영정보: PLM]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전자설계 CAD [경영정보: PLM]
  VPDM (Virtual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경영정보: CPC]
  5Any (Any-time, Any-where, Any-device, Any-function/service, Any-one/network) [디지털서비스: u-City]
  BT (Biology Technology) 바이오기술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NT (Nano Technology) 나노기술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IT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3I + C (Integrated, Intelligent, Innovative, Convergence) [디지털서비스: u-City]
  UBID* (Ubiquitous Identification) [디지털서비스: RFID, Ubiquitous]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하에서 각 사물이 갖는 ID
- 현재로서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비접촉식 ID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초기의 UBID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UHF (Ultra High Frequency) [디지털서비스: RFID]
  ALE* (Application Level Event) [디지털서비스: RFID]
RFID 태그와 리더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응용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RFID 미들웨어로서 EPC글로벌에서 제정된 표준 규격
  EAN* (European Article Number) [디지털서비스, 협회: RFID / EPC]
바코드중 표준화된 바코드로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코드체계(자리수와 규격 등)가 표준화
  UCC (Uniform Code Council) [디지털서비스, 협회: RFID / EPC]
  GID (General IDentifier) [디지털서비스: RFID / EPC]
  SGTIN (Serialized Global Trade Item Number) [디지털서비스: RFID / EPC]
  SSCC (Serial Shipping Container Code) [디지털서비스: RFID / EPC]
  SGLN (Serialized Global Location Number) [디지털서비스: RFID / EPC]
  NAPTR (The Naming Authority Pointer) [디지털서비스: RFID / onS, DNS, ENU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디지털서비스: SmartCard]
  VHF (Very High Frequency) [디지털서비스: DMB / 지상파]
  4A (Advanced Network, Advanced Computer & Equipment, Advanced Application, Advanced Human Resource) [디지털서비스: Grid]
  BTS (Base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디지털서비스: CDMA, Telematics]
  Telematics* (Telecommunication + informatics) 텔레매틱스 [디지털서비스: Telematics, u-City, ITS]
-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차량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동통신 + GIS + LBS
-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을 주고받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도 검색할 수 있는 오토(auto) PC를 이용
- 자동차 개념 확대: Work Car, Fun Car, Safe Car
  SIIS (Spatial Imagery Information System) 공간영상정보시스템 [디지털서비스: LBS]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측위시스템 [디지털서비스: LBS]
  4S (GIS, SIIS, GNSS, ITS) [디지털서비스: LBS]
  ATC (Advanced Traffic Control) 실시간 교통제어 [디지털서비스: ITS / ATMS]
  AIM (Advanced Incident Management) 돌발상황관리 [디지털서비스: ITS / ATMS]
  ATE (Automatic Traffic Enforcement) 자동 교통단속 [디지털서비스: ITS / ATMS]
  ETC (Electronic Toll Collecting) 자동 요금징수 [디지털서비스: ITS / ATMS]
  HVM (Heavy Vehicle Monitoring) 중차량 관리 [디지털서비스: ITS / ATMS]
  TRIS (Traffic & Road Information Service) 교통정보 제공 [디지털서비스: ITS / ATIS]
  TIS (Traveler Information System) 종합 여행 안내 [디지털서비스: ITS / ATIS]
  RGS (Route Guidance Service) 최적 경로 안내 [디지털서비스: ITS / ATIS]
  PTIS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대중 교통정보 제공 [디지털서비스: ITS / APTS]
  PTM (Public Transportation Management) 대중 교통 관리 [디지털서비스: ITS / APTS]
  FFM (Freight and Fleet Management) 화물 및 화물차량 관리 [디지털서비스: ITS / CVO]
  HMM (Hazardous Material Monitoring) 위험물차량 관리 [디지털서비스: ITS / CVO]
  APA (Accident Prevention and Avoidance) 교통사고 예방 [디지털서비스: ITS / AVHS]
  HCI (Highway Capacity Improvement) 도로용량증대 [디지털서비스: ITS / AVHS]
  XBRL* (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 [경영정보, 디지털서비스: 재무회계, 기업투명성, IFRS, ontology]
- 기업정보 보고를 위한 웹 공시 표준언어이며, 기업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 유통할 목적으로 만든 확장성 표준언어
- 엔론 등 회계부정사건으로 기업 경영자료의 투명성 요구 증대로 XBRL 등장
  PCC (Proteur Created Contents) [디지털서비스: Web 2.0 / UCC]
  AICC (Aviation Industry CBT Committee) [디지털서비스, 협회: e-Learning / SCORM]
  IMS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 [디지털서비스, 협회: e-Learning / SCORM]
  EBM (Evidence Based Medicine) 근거중심의학 [디지털서비스: e-Health / EMR]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법 [디지털서비스: e-Health / DICOM]
  CAT (Computerised Axial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디지털서비스: e-Health / DICOM]
  RIS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방사선정보시스템 [디지털서비스: e-Health / PACS]
  GIF (Graphic Interchange Format)) [디지털서비스: 압축, MPEG]
  TIFF (Tag Image File Format) [디지털서비스: 압축]
  FMV (Full Motion Video) [디지털서비스: MPEG-1]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디지털서비스: MPEG-2]
  CDNSP* (Content Delivery Network Service Provider) [디지털서비스: CDN]
CDN 사업을 총괄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자로 전국적으로 수 많은 CDN 서버를 설치하고 설치된 서버들을 Network로 묶어 체계적으로 배치하고 관리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CDN]
CDN 서비스의 가장 중추적인 기술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시 이용자에게 최사의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는 캐시서버를 선정해 연결시켜주는 기술
  IT839 (IT 8대 서비스, 3대 인프라, 9대 신성장동력) [디지털서비스: IT839]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 [네트워크: NMS]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네트워크: OSI]
  NIC (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H/W]
  Wi-Fi* (Wireless Fidelity) IEEE802.11b/g 규격의 다른 호칭 [네트워크: Wireless LAN]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정한 무선랜과 관련한 표준
  IGRP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네트워크: Routing]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네트워크: Routing]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국제전자전기학회 [네트워크, 협회: LAN / 표준]
  MUX (Multiplex) 다중화 [네트워크: Communication Network]
  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communication) 국제전기통신연합-전파통신 [네트워크, 협회: IMT-2000]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네트워크: IMT2000 / USIM]
  UICC (Universal IC Card) 범용 IC카드 [네트워크: IMT2000 / USIM]
  EV-DV (Evolution-Data and Voice) [네트워크: Mobile / 4G, IMT-2000 / CDMA-2000]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Wireless LAN, WLAN]
  GSM MAP (GSM Mobile Application Part) [네트워크: HSDPA / Core Network]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양방향 [네트워크: Wireless LAN / TDD]
  IWF (Interworking Function) [네트워크: CDMA, Wireless Internet]
  BSC (Base Station Controller) [네트워크: CDMA]
  MSC (Mobile Switching Center) [네트워크: CDMA]
  KVM* (Kilobyte Virtual Machine) [시스템구조: Java / J2ME]
소형 컴퓨팅 장비들을 위한 J2ME 의 가상 머신
  CDC* (Connected Device Configuration) [시스템구조: Java / J2ME]
공용의 고정 단말기, STB, Web Browser 탑재 전화, Car Navigation 등에 대한 명세(Configuration: 언어, 가상머신, 핵심 API 정의)
  CLDC* (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 [시스템구조: Java / J2ME]
개인용 이동단말기, 자원이 한정되어 크기가 작으면서 통신이 가능한 장치(휴대전화, PDA 등)에 대한 명세(Configuration: 언어, 가상머신, 핵심 API 정의)
  MIDP* (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 [시스템구조: Java / J2ME]
CLDC 명세(Configuration)를 기반으로 설계된 자바 클래스 라이브러리에 대한 명세(Configuration: 기기별, 응용별)
  HA (Home Address) [네트워크: Mobile IP]
  3A (FA, OA, HA) 공장자동화, 사무자동화, 홈오토메이션 [디지털서비스: Automation]
  DoA (Degree of Assurance) 보장 수준 [보안: 정보 보안]
  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개인정보 영향 평가 [보안: 정보 보안 / 보안 평가]
  BS7799* (British Standard 7799) [보안: 정보 보안 / 평가 기준 / Process]
- 영국표준협회(BSI) 주관으로 산업계의 보안관련 표준을 수렴하여 재정한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규격
- 보안 경영체계에 대한 인증으로 조직의 운영 및 경영시스템에 대한 보안평가기준
  3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dministration) 인증, 권한관리, 사용자관리 [보안: EAM]
  UTM (Unified Threat Management) 통합위협관리 [보안: Firewall, IDS, Viruswall]
  DMC (Digital Media Center) [보안: 디지털 콘텐츠 / 방송]
  SaaS* (Software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Cloud Computing, ASP, XaaS, Utility Computing]
- 소프트웨어를 제품 형태가 아닌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는 것으로 SW업계에서 주목 받는 트랜드
-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공급 업체가 원격지에서 보유/제공/관리하는 SW를 뜻하며 하나의 플랫폼을 통하여 다수의 고객에게 SW를 제공하고 고객은 사용한 만큼 댓가를 지불하는 개념(가트너)
  SISO (Stored, Integrated, Shared, Operational Data) DB 특성 (저장, 통합, 공유, 운영) [DB]
  DBS (DataBase System) DB + DBMS [DB]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
  ACID* (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원자성, 일치성, 고립성, 내구성 [DB: Transaction / Attribute]
트랜잭션의 특징
  2PC* (2 Phase Commit) [DB: Transaction]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원자성을 보장하기 위해 분산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있는 메커니즘으로 모든 노드가 Commit 하지 않으면 Rollback 처리함
  2PL* (2 Phase Locking) [DB: Transaction, 동시성제어, 병행제어]
- 트랜잭션이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그 트랜잭션의 읽기 집합(Read Set)과 쓰기 집합(Write Set) 미리 선언
- 모든 트랜잭션들이 Lock과 Unlock 연산을 확장 단계와 수축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
- 트랜잭션이 접근하려는 모든 항목들에 Lock을 획득, 교착 상태(Dead lock)이 발생하지 않는 프로토콜
  DBA (Database Administrator) 데이터베이스관리자 [DB]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DB]
- 데이터와 데이터간의 관계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 구조를 만드는데 사용: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들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구문 (Create 문, Alter 문, Drop 문 등)
  DML (Data Manu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DB]
  PK (Primary Key) 기본키 (유일성, 최소성) [DB: 데이터 무결성]
  FK (Foreign Key) 외래키 [DB: 데이터 무결성]
  MMDB* (Main Memory DataBase) 메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DB: MMDB]
-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에 상주하여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저장공간으로 주기억 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MRDB (Memory Resident DataBase) [DB: MMDB]
  IPX/S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Sequenced Packet Exchange) [네트워크: OSI / Network]
  SGA (System Global Area) [DB: Oracle]
  LOB (Large OBject) [DB: Multimedia DB]
  BLOB (Binary Large OBject) [DB: Multimedia DB]
  CLOB (Character Large Object) [DB: Multimedia DB]
  OODB (Object Oriented DataBase)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DB: OODB]
  ORDB (Object Relational DataBase) 개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DB: OODB]
  ODMG (Object Database Management Group) [DB, 협회: OODB]
  SyncML (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DB: Mobile DB]
  DTD* (Document Type Definition) 문서 형식 정의 [DB: XML DB]
XML의 Element, 문서구조 정의
  XLL* (XML Linking Language) [디지털서비스: XML, XML DB]
- XPath: XSLT에서 사용하는 XML 검색 기술
- Xpointer: 문서의 한 조각에 대한 참조
  XQL (XML Query Language) [DB: XML DB]
  SAX* (Simple API for XML) [디지털서비스, DB: XML, XML DB, DOM]
- 이벤트 기반 구문분석기로 문서를 순서대로 읽어 들이면서 해당 메소드를 처리, 파서가 간단, 응용프로그램은 복잡
- 구문분석기와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API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표준화된 범용 표시 언어 [DB: XML DB]
  OMT* (Object Modeling Technique) 객체 모델링 기법 [SW공학: UML]
데이터와 처리 프로시저를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여 실세계와 동일한 관점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기법: Rumbaugh
  NF (Normal Form) 정규형 [DB: 정규화]
  BCNF (Boyce Codd Normal Form) [DB: 정규화]
  ODBC (Open DataBase Connectivity) [DB: Web DB]
  OLE-DB (Object Linking and Embedding-DB) [DB: Web DB]
  PL/SQL (Procedural Language/SQL) [DB: SQL / Oracle]
  DBWR (Database Writer) [DB: 튜닝]
  MARC (MAchine Readable Cataloging) [DB: Metadata]
  MVC (Model, View, Controller) [SW공학: 방법론]
  SOW* (Statement Of Work) 업무 기술서 [경영정보: Outsourcing / SLA, SLM]
SOW → SLA → SLM
  PICS (Platform for Internet Content Selection) 인터넷 내용선별 체계 [디지털서비스: Web Content, Metadata]
  MDX* (MultiDimensional expressions) 다차원 표현식 [경영정보: OLAP]
- OLAP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쿼리 언어로, RDB의 SQL과 같은 역할을 함
- OLAP 큐브에 저장된 다차원 데이터에 대한 쿼리 및 처리를 위한 기법을 제공
  EII (Enterprise Information Integration) 전사적 정보 통합 [경영정보: RTE]
  ISAM* (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 색인 순차 접근 방식 [DB: DW, SAM, VSAM, Hash]
- 자료를 순서대로 처리할 수도 있고 특정 항목을 색인으로 하여 순서에 관계없이 처리할 수도 있는 방법을 제공
- ISAM을 적용하는 파일은 색인부, 주저장부, 오버플로부 등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
- 장점은 자료를 무순으로 저장해도 순서대로 읽거나 색인으로 처리를 할 수있어 정보관리가 편리하다는 점이지만, 저장용량이 많이 들고, 재편성이라는 작업이 필요하며, 재편성을 적절히 하지 않으면 점차 처리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VSAM* (Virtual Storage Access Method) 가상 기억장치 접근 방식 [DB: DW, SAM, ISAM, Hash]
- 대형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파일 관리 시스템으로, 입력 순서에 의한 검색, 검색 키에 의한 검색 등을 제공
- 기본 데이터 구역과 오버플로 구역을 구분하지 않음
  SAM* (Sequential Access Method) 순차 접근 방법 [DB: DW, ISAM, VSAM, Hash]
- 파일 생성시에 자료들이 연속적, 순차적으로 기록되며, 판독하는 경우에도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형식
- 순차 파일의 갱신:순차 파일은 임의의 자료검색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개별적인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대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이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일괄처리가 적합
  SMP (Symmetric Multi Processing)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 MIMD]
  MPP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 MIMD]
  NUMA (Non-Uniform Memory Access)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 MIMD]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AC (ACcumulator) 누산기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MQ (Multiplier Quotient)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ALU (Arithmetic and Logic Unit) 산술논리연산장치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PC (Program Counter)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PCU (Program Control Unit) 프로그램 제어 유닛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MBR (Memory Buffer Register)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MAR (Memory Address Register)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IR (Instruction Resister)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IBR (Instruction Buffer Register)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PSW (Program Status Word)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SISD (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SIMD (Single Instruction Multi Data)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MIMD (Multiple Instruction Multi Data)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MISD (Multi Instruction Single Data)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병렬처리]
  MMI (Man Machine Interface)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입출력 장치]
  HCI (Human Computer Interface)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입출력 장치, Ubiquitous]
  DMA (Direct Memory Access) [시스템구조: 컴퓨터 구조 / 기억 장치]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컴퓨터는 주로 90%의 간단한 명령어와 10%의 복잡한 명령어 수행한다는 개념하에 복잡한 명령어는 제거, 간단한 명령어는 하드웨어화한 구조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단순한 명령 처리에서 복잡한 명령 수행까지 하나의 명령 집합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명령어를 가진 구조
  VLSI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 RISC]
  SPARC (Scalable Processor ARChitecture)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 RISC]
  MIPS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 RISC, CPU]
  HP-PA (Hewlett Packard-Precision Architecture)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 RISC]
  EPIC* (Explicitly Parallel Instruction Computing) [시스템구조: 시스템 아키텍쳐 / RISC]
- HP와 Intel이 공동으로 정의하고 설계한 64bit 마이크로프로세서용 명령어 셋
- 32bit CISC 및 RISC 마이크로 프로세서 아키텍처의 32bit 레지스터, 분기예측, 메모리지연, 암시적 병렬처리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계 방식
- 추론적인 적재와 예측을 사용하며, 계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명시적인 병렬처리 제공
- 병렬처리 과정이 SW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명확하게 지정된 병렬 처리 명령어 사용
  FCFS* (First Come First Service)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대기큐에 도달하는 순서에 따라 CPU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일괄처리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며 작업완료 시간의 예측이 용이함
  SJF* (Shortest Job First)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CPU 점유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 CPU를 먼저 할당하는 방식의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http://blog.naver.com/jjaiwook79/30069179687
  HRN* (Highest Response-ratio Next)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 대기 프로세스 중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긴 작업과 짧은 작업 간의 지나친 불평등을 어느정도 보완한 기법
- 짧은 작업이나, 대기시간이 긴 작업은 우선순위 상승 (SJF의 약점 보완)
- 응답률 (Response Time)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TSS (Time Sharing System) 시분할방식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 Round Robin]
  PCB (Process Control Block) [시스템구조: Deadlock]
  LWP (Light Weight Process) 경량 프로세서 [시스템구조: Process, Thread]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 [시스템구조: Process, DCOM]
  LPC (Local Procedure Call) [시스템구조: Process]
  FLOPS (FLoating-point Operations Per Second) [시스템구조: CPU]
  SMT (Segment Map Table) [시스템구조: Virtual Memory]
  PMT (Page Map Table) [시스템구조: Virtual Memory]
  CAM (Content Associative Memory) [시스템구조: Virtual Memory]
  LRU* (Least Recently Used) [시스템구조: Cash, Virtual Memory]
-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항목(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며, 시간 기록 및 처리에 필요한 오버헤드가 발생
- Cache 및 Virtual Memory의 항목(페이지) 교체에서 가장 선호되는 기법
  LFU* (Least Frequently Used) [시스템구조: Cash, Virtual Memory]
사용빈도가 가장 작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으로, 최근 주기억장치 또는 캐쉬에 적재된 페이지 또는 항목이 교체될 수 있는 단점이 있음
  FIFO* (First In First Out) [시스템구조: Cash, Virtual Memory]
주기억장치 또는 캐쉬에 가장 오래있었던 페이지(항목)을 교체하는 기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가 교체될 단점이 있음
  PFF (Page Fault Frequency) [시스템구조: Virtual Memory]
  DRAM (Dynamic RAM) [시스템구조: Cache Memory]
  SRAM (Static RAM) [시스템구조: Cache Memory]
  MESI (Modified, Exclusive, Shared, Invalid) [시스템구조: Cache Memory]
  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 [시스템구조: Kernel]
  CPI (Cycle Per Instruction)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VLIW* (Very Long Instruction Word)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 CPI, 병렬프로세서]
- 프로세서내에 여러 개의 기능유닛을 포함하여 인출과 해독은 하나의 회로에서 수행하고 실행사이클만 여러 개의 기능 유닛으로 나누어져 동시에 처리
- 컴파일러가 동시에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찾아서 하나의 명령어 코드내에 재배열
  FI (Fetch Instruction) 인출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DI (Decode Instruction) 복호화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EI (Execute Instruction) 수행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WB (Write Back) 쓰기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ILP (Instruction Level Parallelism) [시스템구조: Parallel Process]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전원장치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DRP (Disaster Recovery Plan) 재난복구계획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 Center]
  BIA* (Business Impact Analysis) 업무영향분석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 Center, BCP, DRS, RMS]
복구 우선 순위 파악, RPO/RTO를 사전에 파악하고 솔루션 및 DR Center로의 이동 및 Distance를 고려함
  RTO* (Recovery Time Objective) 복구 목표 시간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 Center]
Down-time을 허용할 수 있는 최대시간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복구 목표 시점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 Center]
서비스 복구시 유실을 감내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 허용 시점
  HA* (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시스템구조: HA]
- 두 대 이상의 시스템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어서 한 시스템의 장애시 최소한의 클로스터 내의 다른 시스템이 신속하게 서비스를 FailOver하는 기능
- 컴퓨터시스템 구성요소들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인 SPOF(Single Point of Failure)에 대비하는 기술
  WAS (Web Application Server) [시스템구조: HA]
  ECC (Error Correcting Code) [시스템구조: RAID]
  HBA (Host Bus Adapter)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 SAN]
  SCSI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CIFS (Common Internet File System)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 NAS]
  IP-SAN (Internet Protocol-Storage Area Network)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FC (Fiber Channel)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FCIP (Fiber Channel over IP)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 IP-SAN]
  iFCP (internet Fiber Channel Protocol)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 IP-SAN]
  iSCSI (internet SCSI)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 IP-SAN]
  DSR (Disaster Recovery System) 재난복구시스템 [시스템구조: Network Storage / IP-SAN]
  SLED (Single Large Expensive Disk) [시스템구조: RAID]
  LUN (Logical Unit Number) [시스템구조: Storage Virtualization]
  RTOS* (Real Time OS) 실시간 운영체제 [시스템구조: RTOS]
-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되어 온 운영 체제로, 전형적으로 임베디드 응용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
- 주어진 특정 시간 내에 인터럽트를 처리하도록 보장하는 운영체제로서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이 제한 시간에 영향을 받는 응용이나 H/W를 제어하기에 적합한 운영체제
- 지정된 시간 제한 내에 확실한 출력을 보장하는 작고 빠른 운영시스템으로 매우 작은 메모리에서 운영
- 임의의 정보가 시스템에 입력되었을 때 주어진 시간안데 작업이 완료되어 결과가 주어져야하는 실시간 시스템에서, 주어진 작업을 정해진 시간 안에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
  TCB (Task Control Block) [시스템구조: RTOS]
  POSIX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시스템구조: RTOS]
  TRON (The Real-time Operating-system Nucleus) [시스템구조: RTOS]
  JNDI* (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 [시스템구조: Java]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Remote Application,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전체 네트워크에 공유
  JMS* (Java Message Service) [시스템구조: Java]
기존 MOM(Message Oriented Middle) 기능인 메시지 처리 API 제공
  JTA* (Java Transaction API) [시스템구조: Java]
분산된 트랜잭션의 수행을 지원하는 J2EE에 포함되어 있는 API
  RMI-IIOP (Remote Method Invocation-Internet Inter-ORB Protocol) [시스템구조: Java]
  IIOP* (Internet Inter-ORB Protocol) 인터넷 객체 요구자간 프로토콜 [시스템구조: CORBA, Java]
인터넷상에서 객체 요구 매개자(ORB)간의 통신을 규정하는 프로토콜
  GNU* (GNU's Not Unix!) [시스템구조: OS]
리처드 스톨만이 완전한 공개 운영 체제인 GNU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한 프로젝트
  GPL* (General Public License) [시스템구조: GNU]
자유소프트웨어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이 자신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한 뒤, 이러한 권리를 전제로 한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공유 및 수정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이선스
  LGPL*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시스템구조: GNU]
FSF가 일부 Library에 GPL보다 다소 완화한 형태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전략적 차원의 License
  BSD*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시스템구조: OS]
197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에서 개발한 유닉스 계열의 컴퓨터 운영체제
  OSI* (Open Source Initiative) [시스템구조: OSS]
공개소프트웨어의 주요 정책을 조정하는 단체
  PSP* (Personal Software Process) [SW공학: 품질관리, CMM]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개개인에 할당된 과업에 대한 품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에 목적을 둔 정량화된 개발 훈련 체계
- TSP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개인의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세스
  TSP* (Team Software Process) [SW공학: 품질관리]
- PSP 개발자들이 팀을 이루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한 세부 절차, 활동 등을 제시하기 위한 체계
- PSP를 발판으로 CMM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팀 차원에서 적용함으로써 품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
  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 일정성과지수 [SW공학: EVM]
SPI = EV / PV, 1보다 크면 일정 단축, 1이면 계획된 일정, 1보다 작으면 일정 지연
  EVM* (Earned Value Management) [SW공학: EVM]
시간과 비용을 통합한 종합적인 원가관리 체계로써 각종 지수를 활용하여 프로젝트의 진척 현황 및 향후 진척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시스템
  CPI* (Cost Performance Index) 원가성과지수 [SW공학: EVM]
CPI = EV / AC, 1보다 크면 원가 절감, 1이면 계획된 원가, 1보다 작으면 원가 증가
  OOD* (Object Oriented Design) [SW공학: UML]
객체지향 분석 단계에서 이루어진 객체 모델링, 동적 모델링, 기능 모델링을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 Booch
  메타포어* (Metaphor) [SW공학: 개발방법론 / XP]
정보의 전달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개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법
  DRS* (Disaster Recovery System) [경영정보: BCP/DSR]
정보시스템 기반 구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재해가 발생한 곳과 다른 위치에 구축하고 재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복구하여 비즈니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제반 계획 및 시스템
  BRS* (Business Recovery System) [경영정보: BCP/DSR]
핵심업무 프로세스 복구, 기업의 연속성 위한 중요한 업무 복구, BCP의 부분 개념
  COSO* (Committee of Sponsoring Organization) [SW공학: COBIT]
기업 내부통제의 목적을 운영의 효과성 및 효율성, 재무보고의 신뢰성, 법률 및 규정의 준수 등 포괄적으로 정의
  IRM*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경영정보: ITAM]
경영자가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보 자산을 평가하고 개발해내는 것을 돕기 위해 나타난 경영원리
  IT Compliance* [경영정보: IT Compliance]
- 기업의 투명성 강화, 리스크 관리 등을 위해 정부와 관련기관의 제시안이나 각종 규제법안을 만족할 수 있도록 IT관점에서 시스템을 정비하는 의무 활동
- 기업, 정부기관 등 정보시스템 사용자가 고객정보보호, 자료 보관, 재무보고서 공시 등과 관련하여 반드시 따라야 하는 규정, 지침 등의 규제를 준수하는 과정
  IT Governance* (IT 거버넌스) [경영정보: IT Governance]
IT가 기업의 중요한 분야가 됨에 따라, 경영자 입장에서 IT Resource(자원)와 프로세스를 통제, 관리하는 체계
  CPM* (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경영정보: SEM]
SEM의 확장 개념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론, 매트릭스, 프로세서, 시스템의 조합
  SA* (Software Architecture) [SW공학: Software Architecture]
- 시스템에 대한 기본 조직 체계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와 이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 이 구성요소들과 주변 환경 사이의 관계, 시스템의 설계와 진화 방향을 지배하는 원칙들로 실체화된 모델
-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복잡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 다양한 관점(Perspective)으로 모형화한 소프트웨어 청사진
- 구현할 시스템에 대한 Top-down View이며,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인 명세서이자 청사진
  IT 투자평가* [경영정보: IT 투자평가]
- 기업, 조직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정보화 투자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고 정보화 투자의 적정성을 판정하는 IT투자효과 분석
- IT Cost와 Value를 토대로 사전 타당성 검토와 사후 평가를 수행하는 활동
  IRR* (Internal Rate of Return) 내부수익률 [경영정보: IT 투자평가]
- 당초 투자에 소요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가 그 투자로부터 기대되는 현금수입액의 현재가치와 동일하게 되는 할인율
- 예상되는 투자액의 현재가치와 현금 유입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주는 할인율(자본수익률)에 의해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평가
  IT-BSC* (IT-Balanced Score Card) [경영정보: BSC, 성과평가]
- 기존 BSC 기법을 기반으로 IT 투자 성과평가를 정량적 산출, 관리하여 전략경영 효율화를 돕는 IT 측면의 BSC 기법
- IT 투자성과평가에 BSC 개념을 도입하여 기업에의 공헌도, 사용자 관점, 프로세스,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관리를 측정함으로써 IT가 기업의 전략적 콕표달성에 기여하도록 하는 성과관리 도구
  BPI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경영정보: BAM, BI]
  CEP* (Complex Event Processing) [경영정보: BAM]
간단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DA: Event-Driven Architecture)를 활용해 비즈니스 통찰력과 상황 인식을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제공하는 시스템
  BEP* (Business Event Processing) [경영정보: BAM / CEP]
비즈니스 통찰력을 갖고 시장의 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해 시스템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즉각적 조치를 행하는 시스템
  BRMS* (Business Rules Management System) [경영정보: RBMS, BAM]
기업의 업무규칙이나 절차 등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분리해 별도의 규칙기반 시스템에서 관리함으로써 비즈니스와 전략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CPIC* (Capital Planning and Investment Control) [경영정보: IT 투자평가]
연방정부 내 전반적인 IT 투자관리 체계, 이를 토대로 IT 사업의 타당성 검토, 우선순위 결정 및 예산 배분 실시
삼단계 구성: 선정(Select) / 점검(Control) / 평가(Evaluate)
- 선정 단계: 과제의 우선순위 결정 및 예산 지원여부 결정
- 점검 단계: 계획 대비 비용, 일정, 성과의 추진현황을 점검하여 계속 지원 여부 및 예산 지원 규모 등을 결정
- 평가 단계: 사업 종류 후 계획 대비 성과 평가
  BRE* (Business Rule Engine) [경영정보: RBMS, BRMS, BPM, BAM]
- 비즈니스 룰을 추출하여 정의하고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에서 비즈니스 룰을 분리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즈니스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 규칙기반 정보시스템 구축은 기업의 의사결정 및 비즈니스 최적화를 통해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RTE 경영환경의 기반 마련
  SLM* (Service Level Metrics) 서비스 수준 관리 지표 [경영정보: Outsourcing / SLA, SLO]
서비스 제공 영역별로 서비스 수준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성과지표
  XaaS* (Everything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SaaS, Cloud Computing, Utility Computing, ASP]
- 소프트웨어(SW)를 넘어 플랫폼,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등 거의 모든 IT 요소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AaaS, BaaS, PaaS, DaaS, SaaS, FaaS, HaaS, IaaS, IDaaS, CaaS)
- 불필요한 자원(유지보수, 인력 운영, 인프라 공유)을 낭비하지 않고 원하는 서비스들을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확장성,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오프라인 접속 기능 제공 등이 고려된 온디멘드 서비스
  AaaS* (Architecture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Virtualization Technology 같은 기술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BaaS* (Business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비즈니스(경영, 마케팅, 제조, 인사, 프로세스, 재무) 전반에 걸친 기능들을 서비스로 제공
  PaaS* (Platform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 벤더들이 플랫폼을 서비스하는 것 처럼 개발, 테스트, 커스텀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호스팅 등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과 서비스 제공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
  DaaS* (Data-center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 전체 수명 주기에 걸쳐 고객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포괄적인 기능 제공
- 기업의 사업모델에 따라 필요한 컴퓨팅 파워와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 센터
- IT 인프라 지원과 함께 데이터 최적화, 안정된 정보시스템 서비스 제공
  FaaS* (Framework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프레임워크들을 사용법, 실체 등을 제공하여 서비스 구성에 도움 줌
  HaaS* (Hardware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신생 업체들이 온디멘드 컴퓨팅 서비스를 런칭할 수 있도록 제공: 컴퓨팅 파워(EC2), 저장 장치(S3), 데이터베이스(Simple DB) 등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서버, 소프트웨어, 데이터 공간들을 온 디맨드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 제공
  IDaaS* (IDentity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Identity 관련 서비스 제공
  CaaS* (Communications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 기간 사업자가 아닌 부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 기존 통신망 대신에 인터넷 망을 통해 음성을 실어주는 기업용 인터넷 폰 서비스
- IP망을 기반한 음성 기반 전화로 부가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 인터넷폰(VoIP) 기반 사업으로 통신 비용 절감이 큰 장점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과금 광고 [경영정보: 온라인 광고, CPM]
온라인 광고를 본 이용자가 배너 등의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기준으로 매체사에게 광고비를 지불하는 광고 단가 산정 기법
  CPM* (Cost Per Millennium) 월정액제 광고 [경영정보: 온라인 광고, CPC]
최초 의미는 1000번 노출에 따른 가격을 책정, 요즘은 일반적으로 월정액제 광고라는 의미로 사용
  5-Force* (잠재적 경쟁자, 대체상품, 기존기업간 경쟁, 공급자, 구매자) [경영정보: 경영환경분석, 외부환경분석, SWOT, 7S]
잠재적 경쟁자, 대체상품, 기존기업간 경쟁, 공급자, 구매자의 산업 구조적 특성 및 기업 구조 가치를 분석하는 방법
  7S* (Shared-value, Strategy, Structure, System, Staff, Skill, Style) [경영정보: 경영환경분석, 내부환경분석, SWOT, 5-Force]
전체적인 시각에서 기업 조직의 변화대처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7가지 요소로 전략 수립 및 실행, 평가
  4C* (Customer, Competitor, Company, Channel) [경영정보: 경영환경분석, 내/외부환경분석, SWOT, 7S, 5-Force]
경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반드시 분석해야 하는 항목 4가지: 고객(Customer), 경쟁자(Competitor), 기업(Company), 채널(Channel)
  4P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경영정보: 마케팅, SWOT, 4C, CMS]
  FAW* (Forces At Works) 외부경영환경 [경영정보: 경영환경분석, 외부환경분석, SWOT]
사업을 둘러싼 주요 외부환경 요인과 그 영향력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방법
  Value Chain* 가치사슬 [경영정보: 경영환경분석, Value Chain II]
- 기업의 가치 창조 매카니즘: 주가치활동(Primary Activities)과 지원가치활동(Support Activities)으로 구성
- 가치활동에 의한 가치가 가치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능가하면 기업의 이윤 발생
  Value Chain II* 가치사슬 II [경영정보: 경영환경분석, Value Chain]
Value Chain에 핵심활동(Core Activities)과 활동기반(Activity Base) 요소를 추가한 새로운 가치 장조의 개념
  SPOT (Strategy, Process, Organization, Technology) [경영정보: ITSM]
  Governance* (거버넌스) [경영정보: Governance]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 및 의사결정 구조
  AOA* (Activity on Arrow) [SW공학: Network Diagram]
이 방식은 ADM(Arrow Diagramming Method)라고도 불리며, 활동을 화살표 위에 표시하는 방식
  AON* (Activity on Node) [SW공학: Network Diagram]
이 방식은 PDM(Precedence Diagramming Method)라고도 불리며, AOA 방식과는 달리 활동들이 노드(Node)상에 표시되며 화살표는 활동들 간의 논리적인 연관관계를 표현
  Gantt Chart* (간트차트) [SW공학: PERT/CPM]
세로축에는 WBS에서 도출된 프로젝트의 활동을 나열하고 가로축에는 활동별 시작일자와 종료일자를 막대(Bar)형태로 연결하여 프로젝트의 일정을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Milestone Chart* (마일스톤 차트) [SW공학: PERT/CPM]
프로젝트 단계별로 준수해야 하는 중요한 사안들에 대한 내용만을 표현하는 차트
  Fast Tracking* [SW공학: PERT/CPM]
프로젝트 일정을 단축하기 위해 활동간의 연관관계를 조정하여 병행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
  Crashing* [SW공학: PERT/CPM]
활동을 수행할 자원을 투입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단축하는 기법
  Resource Leveling* (자원평준화) [SW공학: PERT/CPM]
자원이 과부하 걸린 기간 동안 수행하는 활동 중 일부를 다른 기간으로 변경하는 기법, 일반적으로 자원평준화를 실행하면 프로젝트 기간의 연장이 발생
  PV (Planned Value) 계획가치 [SW공학: EVM]
  AC (Actual Cost) 실제원가 [SW공학: EVM]
  EV (Earned Value) 획득가치 [SW공학: EVM]
  SV (Schedule Variance) 일정 변이 (SV = EV - PV) [SW공학: EVM]
  CV (Cost Variance) 원가 변이 (CV = EV - AC) [SW공학: EVM]
  BAC (Budget At Completion) 완료시점예산 [SW공학: EVM]
  EAC (Estimate At Completion) 완료시점 산정치 (= AC+(BAC-EV)/CPI = BAC/CPI) [SW공학: EVM]
  TCPI (To Complete Performance Index) TCPI = (BAC-EV)/(BAC-AC) [SW공학: EVM]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Te = (O + 4M + P) / 6 [SW공학: PM / Plan, CPM]
  ORPC* (Object Remote Procedure Call) [시스템구조: DCOM]
DCOM에서 사용하는 객차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JRMP* (Java Remote Method Protocol) [시스템구조: Java / RMI]
자바에서 자바로 원격호출 하기위한 프로토콜
  Semantic Web* (시맨틱 웹) [디지털서비스: WWW, Web]
- 컴퓨터가 정보자원의 뜻을 이해하고,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웹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언어로 표현해 기계들끼리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지능형 웹
- 현재의 인터넷과 같은 분산환경에서 리소스(웹 문서, 각종 화일,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의미 정보(Semanteme)를 기계(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화된 기계(컴퓨터)가 처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자 기술
- 온톨로지 기반의 의미 메타데이터 작성을 통해 문서에 포함된 의미들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지식화/공유화 시킬 수 있는 체계
- 컴퓨터가 정보의 의미를 이해하고 의미를 조작할 수 있는 웹
- 웹이 제공하고 있는 정보를 잘 정의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표현함으로써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APP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고 있는 APP도 온톨로지를 통해 상대방의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가 가능
  SOA 2.0*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W공학: SOA, Web Service]
기존의 SOA에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DA: Event Driven Architecture)를 합한 개념
  EDA* (Event Driven Architecture)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디지털서비스: SOA 2.0, Web Service]
모듈화, 캡슐화, 분배 가능한 컴포넌트화 된 기능들이 특정 이벤트에 반응해 본산된 환경에서 수행되는 기술
  Web Service* (웹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SOA]
- SOAP 표준의 XML 메시지를 통해 플랫폼과 응용프로그램에 종속되지 않고 Client와 Server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 XML, SOAP, WSDL, UDDI 등의 표준 웹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영성을 극대화하는 정보시스템 구현기술
  WS-Security* (Web Service-Security) WSS [디지털서비스: SOA, Web Service]
- WSS로 불려지는 통신 프로토콜로 Web Service에 보안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
- WSS 프로토콜은 SAML, Kerveros, 전자서명 등의 자세한 사용 방법을 제공
- SOAP 메시지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통해 보안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개선 사항을 기술
  Mashup* (매쉬업) [디지털서비스: Web 2.0, Open API]
- 각각의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
- 여러 정보원으로부터 새로운 정보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
- 여러 소스들을 가지고 한 개 이상의 웹 페이지를 구성하거나, 여러 기능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연계 또는 통합한 서비스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디지털서비스: Web 2.0, Mashup]
- 특정 사이트의 데이터나 서비스에 대한 API를 외부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
- 사용자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한 데이터나 서비스를 쉽게 제어 가능
  Web 2.0* (참여, 개방, 공유) [디지털서비스: WWW, Web]
-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
- 제공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웹 환경
- 분산화되고 사용자 중심의 커뮤니티에 의존하는 동적인 열린공간으로서 웹이며 비즈니스 모델
- 주요 기술: AJAX, DHTML, RSS, Open API, LAMP, Flex, Widget, REST, Mashup, RIA, X-Internet
  X-Internet* (eXcutable Internet / eXtended Internet) [디지털서비스: Web 2.0, RIA]
- 실행 가능한(eXcutable), 확장 가능한(eXtended) 인터넷이라는 의미
- 실시간 양방향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클라이언트 서버(CS)환경에 버금가는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 상에서 제공하는 기술
- Web Application의 편리한 배포, 관리, 저렴한 유지보수 비용 등의 장점과 Desktop Application 수준의 사용자 편의성, 효율적인 데이타 통신, 견고한 아키텍처 구현 등의 장점이 합쳐진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
- 빠른 속도, 화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클라이언트/서버(CS) 방식의 장점을 살린,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차세대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환경
  Flex* (플렉스) [디지털서비스: Web 2.0, RIA]
- 데스크탑의 풍부함과 웹의 광범위함을 접목시킨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UI 개발을 태그 및 스크립트로써 구현하는 솔루션
- 정적이고 수동적인 웹환경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Web 2.0 기술 구현을 쉽게 해주는 스크립트 언어
  WS-BPEL* (Web Services-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 웹서비스를 사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조정 및 실행하는 언어
- 프로세서 플로우에 참여하는 웹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로직을 기술하는 XML 기반의 문법 제공
- 여러가지 상이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프로그램을 정의하는데 이용되는 워크플로 언어를 위한 표준
  WS-Transaction*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 분산된 서비스 상에서 트랜잭션이 어떻게 조정되는지를 정의
- WS-Coordination을 기반으로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웹 서비스 사양
- 유형: 단일 트랜잭션(WS-Automic Transaction), 비즈니스 트랜잭션(WS-Business Activity)
  WS-Addressing*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 WS-Routing과 WS-Referral의 기술을 대체하는 표준
- SOAP Envolope에 From, To 헤더를 추가하는 보다 편리한 방식 제공
  WS-Reliable Messaging*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 수신측에서 재 송신하면서 그 메시지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메시지 전송
- 전송될 메시지가 오직 한번만 전송되는 것을 보장하는 메시지 교환 표준
  MaaS* (Mashup as a Service) [디지털서비스: XaaS]
Mashup 서비스 제공
  Ontoloty* (온톨로지)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 사람들이 세상에 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하여 합의를 이룬 바를 개념적이고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로,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조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한 기술
- 공유된(shared) 개념화(conceptualization)에 대한 형식화(formal)되고 명시적인 명세(explicit specification)
- 도메인 내 지식을 개념화하고 명세화함으로써 이기종 환경에서 도메인 지식을 공유하고 재사용하기 위한 어휘사전
  Semantic Web Services* (시맨틱 웹서비스) SWS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Web Service]
시맨틱 웹과 웹서비스가 갖고 있는 특징을 집합
  DAML-S* (DAML+OIL Services)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Service, ontology]
시맨틱 웹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컴포넌트로 DARPA에 의해 개발된 DAML+OIL 기반의 서비스 기술을 위한 온톨로지 언어
  DAML (DARPA Agent Markup Language)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Service, ontology, 인공지능 Markup Language]
  OIL (Ontology Inference Layer)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Service, ontology, 인공지능 Markup Language]
  SHOE (Simple HTML ontology Extensions)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Service, ontology, 인공지능 Markup Language]
  N3 (Notation 3)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Service, ontology, 인공지능 Markup Language, W3C]
  WSMF* (Web Service Modeling Framework)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Web Service, ontology]
  IRI (International Resource Identifier) [디지털서비스: Semantic Web, Unicode]
  XTM* (XML Topic Map) [디지털서비스: ontology, Semantic Web]
- 지식 표현 방식의 국제 표준
- 비 구조화되고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
  LAMP* (Linux, Apach, MySQL, PHP) [디지털서비스: Web 2.0]
S/W 각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받은 오픈소스 제품(Linux, Apach, MySQL, PHP)
  Widget* (위젯) [디지털서비스: Web 2.0]
웹이나 데스크탑 상에서 작은 기능을 하는 화면의 한 요소
  SNS* (Social Network Service) [디지털서비스: Web 2.0]
인맥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의미하는 용어로 국내의 싸이월드, 미국의 마이스페이스가 대표적인 서비스
  파레토 법칙* (80대 20 법칙) [디지털서비스: 법칙]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
  Long Tail 법칙* (롱테일 법칙) [디지털서비스: 법칙]
역 파레토법칙으로, 80%의 사소한 다수가 20%의 핵심 소수보다 뛰어난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
  Mobile Web 2.0* [디지털서비스: Web 2.0, Mobile]
웹 2.0의 기본 개념과 원칙을 모바일로 확장하여 멀티디바이스 상에서 개인화되고 사용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또는 개념
  TPC (Transaction-processing Performance Council) [DB: DBMS 성능]
  XSL* (eXtensible Style Language) [디지털서비스: XML]
확장 가능한 스타일 표현 언어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 언제 어디서나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을 지칭
- 모든 장소에 컴퓨터가 있어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간단하고 안전하게 얻을 수 있는 제 3 공간의 개념
- 5 Any 지향 (Any-time, Any-where, Any-network, Any-device, Any-service)
- 모든 사물에 초소형 컴퓨터가 내장되어 언제 어디서나 Network에 연결되어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차세대 정보기술 환경
- 컴퓨터가 도처에 편재하여 센싱을 통해 장소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화된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환경
  u-City* (ubiquitious-City)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 유비쿼터스 컴퓨팅,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 전반의 영역을 융합(Convergence)하여, 통합되고(Integrated), 지능적이며(Intelligent), 스스로 혁신되는(Innovative) 도시
-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도시 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USP (Ubiuquitous Strategic Planning) [디지털서비스: u-City]
  UMC (u-City Management Center) 도시통합운영센터 [디지털서비스: u-City]
  u-City Service* (ubiquitous-City Service) [디지털서비스: u-City]
유비쿼터스 도시 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행정, 교통, 복지, 환경, 방재 등 도시의 주요 기능별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정보 또는 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Wearable Computer* (착용식 컴퓨터) [디지털서비스: Ubiquitous, u-City, WPAN, WBAN]
옷을 입듯이 몸에 착용할 수 있는 특수 컴퓨터
  Grid Computing* (그리드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가상화, Distributed Computing(분산 컴퓨팅)]
- 분산된 고성능 컴퓨터, 대용량 저장장치, 첨단장비 등의 자원을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해 상호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디지털 신경망 서비스
- 모든 컴퓨팅 기기를 하나의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컴퓨터의 계산능력을 극대화한 차세대 디지털 신경망 서비스
- 사례: SETI@Home(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Grid* (그리드) [네트워크: 가상화]
기존의 인터넷과 차세대 인터넷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마치 하나의 신경조직처럼 작동할 수 있게 제어하는 가상 슈퍼컴퓨터
  WLAN* (Wireless LAN / IEEE 802.11) [디지털서비스: LAN, u-City, Home Network]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선 없이 연결한 상태로, 무선으로 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
  Bluetooth* (IEEE 802.15.1) 블루투스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u-City, WLAN, Home Network]
-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규격
- 저가격, 저전력, 소형화를 목표로 한 2.4 GHz 대력의 무선 통신 기술
  OTS* (Object Traceability Service) 객체 이력관리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Mobile RFID]
분산된 OIS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합하여 볼 수 있는 이력관리 서비스를 제공
  ENUM* [디지털서비스: ENUM, RFID]
팩스, 전화, 이메일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 주소체계를 전화번호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개념
  Mobile RFID* [디지털서비스: RFID]
휴대폰에 소형 RFID 리더를 탑재하여 RFID 태그를 인식하도록 한 후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통신망으로 제공하는 기술
  IP-USN* (Internet Protocol-Ubiquitous Sensor Network) IP + USN [디지털서비스: IP, USN, Ubiquitous]
-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 USN (IEEE 802.15.4) 기술과 IP 기술을 결합해 센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 (6LoWPAN)
- IP 인프라와 USN 인프라 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해 센서 노드에 IP를 찹재하여 광범위한 확장성과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 기존 IP 인프라 기반 + 센서노드 + 게이트웨이 및 싱크노드 등 USN 네트워크를 통합해 광범위한 확장성과 이동성을 보장하는 기술
  Zigbee* (IEEE 802.15.4) [디지털서비스: IP-USN, Home Network]
- 저전력, 저가격, 초소형을 목표로 개발된 근거리 무선 센서 네트워크(USN)의 대표적 기술 중의 하나로 IEEE 802.15.4 표준의 PHY층과 MAC층을 기반으로 상위 프로토콜(Protocal)과 응용을 규격화한 기술
- ZigBee는 저전력 무선 근거리 표준 통신 기술을 의미.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크기와 프로그램이 작으며, 근거리에서 속도가 크게 빠르지 않고, 네트워크 사용 빈도가 드문 경우 가장 적합하며, 일반적인 배터리로도 1년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전송속도는 2.4GHz 대역에서 최대 250 Kbps, 칩의 가격은 $1 정도이며, 네트워크에 최대 65,536개의 노드를 붙일 수 있고, Star, Cluster Tree 및 Mesh 네트워크 망 까지도 지원 함
  6LoWPAN* (IPv6 Low-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IPv6 기반 저전력 무선 개인네트워크 [디지털서비스: USN, WPAN, IPv6]
IEEE 802.15.4 MAC/PHY 상위 계층으로 IP 및 TCP/UDP 등의 기존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환경에 IPv6를 적용하기 위한 규격
  e-Science* (e-사이언스) [디지털서비스: Grid]
- Grid 기반의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연구자, 고성능 컴퓨터, 첨단 연구장비, 대용량 데이터 등의 연구자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연구개발 환경
- 사이버 상에서 자유롭게 고성능컴퓨터와 첨단 연구장비, 대용량 데이터, 연구인력 등을 동시 활용함으로써 연구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주는 첨단 연구환경
  Coul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Cloud Computing]
- 소형 컴퓨터, 개인용 PC 등에 저장된 자료 및 소프트웨어를 특정 컴퓨팅 영역에 저장하고, 이를 가상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패러다임
-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하나의 서비스로서 방대한 IT 능력을 제공하는 컴퓨팅 스타일
-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탑이나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 벽걸이 컴퓨터, 휴대용 기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패러다임
-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은 효율성으로, 합리적인 방식(온디맨드, 실시간, 저렴한 비용)으로 모든 것(여러 단일 시스템과 대규모의 IT 리소스)을 하나로 묶어 배치하고 이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해줌
  Pervasive Computing* (퍼베이시브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Pervasive Computing]
- PC의 핵심 기능들이 다른 종류의 기기에도 널리 퍼지는 컴퓨터 관련 기술을 의미
-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수한 기기들로부터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액세스가 가능해지고 e-비즈니스까지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목표
  SBC* (Server Based Computing) [디지털서비스: Cloud Computing, ASP, SaaS]
- 모든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를 서버에 두고 100% 서버에서 실행되도록 하며 클라이언트는 단지 서버의 실행 결과만을 보여 주는 컴퓨팅 환경
- 명령을 처리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서비스 제공 파트(서버)와 명령을 보내고 결과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파트(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분리
-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 저장하고, PC나 기타 단말기(클라이언트)로 필요시 불러쓰는 Thin Client 컴퓨팅
- 어플리케이션이나 IT 정보 자원의 배포,관리,지원 그리고 실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운영이 100%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신개념 컴퓨팅 아키텍처
  SoD* (Software on Demand / on-demand Software) [디지털서비스: SaaS, ASP, Cloud Computing, Utility Computing]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에 접속해 사용하는 주문형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라이선스 비용이 비싸 구입이 곤란하거나 잠시만 사용할 경우, 또는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가 어려운 소규모 기업체에서 최신 버전을 원할 경우에 유리
  SW Streaming*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SSoD(On-demand Software Streaming) [디지털서비스: SoD, ASP, Utility Computing, Cloud Computing, Virtualization]
운영 체계(OS)의 가상 메모리 개념을 확장하여 인터넷 서버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모듈을 클라이언트 PC에서 내려받으면서 실행시키는 기술
  OGSA* (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Grid, Cloud, OGSI]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를 위한 그리드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
  OGSI* (Open Grid Service Infrastructure)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Grid, Cloud, OGSA]
- OGSA 구조를 기반으로 한 그리드 서비스에 대한 기본 인프라를 정의하고 있으며, 그리드 서비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정보를 교환하는 것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기술적 사항을 명확히 정의
- OGSA를 통해 정의된 그리드 서비스 개념의 표준 기술 명세서로, 확장성있고 상호운용성을 높여 다른 서비스와의 연동 및 통합을 쉽게 함
  DNA Computing* (DNA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DNA Computing]
전통적으로 쓰여 왔던 실리콘 기반의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DNA, 생화학, 분자생물학을 사용하는 컴퓨터 처리의 한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분자 컴퓨팅으로도 불림
  Seamless Computing* (심리스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Seamless Computing, Pervasive Computing]
일반 사용자들이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이동, 출장 등 언제 어디서나 빈틈 없는 기술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팅 환경
  Monolithic Kernel* (단일형 커널) [시스템구조: Kernel, Micro Kernel, Hybrid Kernel]
- 전통적인 운영체제 설계 방법으로 프로세스관리, 메모리관리, 파일시스템같은 커널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커널에 들어가있고 모두 커널모드에서 실행
- 운영체제 개발자 입장에서 유지 보수가 일반적으로 더 어려우나 성능이 좋음
- 사례: Solaris, AIX, HP-UX, Linux
  Micro Kernel* (마이크로 커널) [시스템구조: Kernel, Monolithic Kernel, Hybrid Kernel]
- 커널이 가져야하는 핵심적인 기능만을 구현한 최소커널로써 나머지는 서비스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는 커널
- 사례: Windows NT/2000
  Hybrid Kernel* (혼합형 커널) [시스템구조: Kernel, Monolithic Kernel, Micro Kernel]
성능 향상을 위해 추가적인 코드를 커널 공간에 넣은 점을 제외하면 많은 부분은 순수 마이크로커널과 비슷하며, 수정 마이크로커널이라고도 함
  SETI@Hom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At Home) [디지털서비스: Gri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분산 컴퓨팅)]
SET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분산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이용해 외계 지적 생명체를 탐구하는 프로젝트
  Distributed Computing (분산 컴퓨팅/Grid Computing) [디지털서비스: Grid Computing]
  Autonomic Computing* (자율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Autonomic Computing]
인간의 신경망(ANS: Autonomic Nervous System)처럼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율(자동화) 컴퓨팅
  Context-aware Computing* (상황인식 컴퓨팅) [디지털서비스: Context-aware Computing, Ubiquitous]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Needs를 판단하여 자율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환경
  RTMS* (Real Time Locating System)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 [디지털서비스: LBS, USN]
공장이나 사무실 같은 실내 및 야적장, 공원과 같은 제한적인 범위의 실외에서 특정 사물과 사람의 위치를 찾아주거나 이를 기반으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POD* (Point of Deployment) [IP-TV, CAS, DTV]
- 케이블TV방송의 수신 제한 시스템(CAS)과 같은 가입자 정보를 담은 칩
- 유료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를 위해 가입자 인증과 과금 기능을 지원하는 CAS를 내장한 셋톱 박스에서 분리된 장치로서, 가입자가 임의로 구입한 디지털 송수신용 장치인 셋톱 박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사업자가 공급하는 장치
  PVR (Personal Video Recorder) 개인용 디지털 녹화기 [디지털서비스: IP-TV, DTV]
  Mobile IPTV* [디지털서비스: Mobile IPTV]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을 통해 가정의 TV 와 연결, 영상, 소리를 수신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자신이 원하는 방송 및 동영상 파일, MP3 파일등 개인 소장 미디어를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시청 할 수 있는 서비스
  H.323* [디지털서비스: VoIP, SIP, RTSP]
- QoS를 보장하지 않는 LAN에서의 영상회의 시스템 프로토콜 권고안
-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스트림에 대한 코덱 표준을 따르며 코덱에 관계없이 터미널에 설정된 환경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프로토콜 사용
- 적당한 크기의 그룹간에 화상회의를 하기 위해 설계
  SCTP*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디지털서비스: VoIP, PSTN]
전화망(PSTN) 신호(Signaling Message)를 IP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전송 프로토콜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디지털서비스: SIP]
  SAP (Session Advertise Protocol) [디지털서비스: SIP]
  SIGTRAN* (Signaling Transport) [디지털서비스: VoIP, PSTN, SCTP, MGCP, MEGACO(H.248)]
PSTN 망의 메시지를 IP 망에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Home Network* (홈 네티워크)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Home Network]
- 가정 내 디지털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 가정 내에 설치되어 각종 기기들을 연결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
  IEEE 1394*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Home Network]
직렬버스 방식 표준규격으로 개선된 속도가 3,200Mbps에 달하며 최대 63개의 장비 연결 가능하고 PC 및 다양한 가전과 연결 가능
  Ethernet* (IEEE 802.3) 이더넷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Home Network]
LAN을 위해 개발된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로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디지털서비스, 네트워크: Home Network]
- 운영체제,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미들웨어 프레임워크로 표준화되었으며, 컴포넌트 구조 및 분산 네트워크 서비스에 최적화 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해주는 서비스 플랫폼
- 자바의 플랫폼 독립성과 실행코드의 네트워크 이동성을 활용하는 Open API
  Directory Service* (디렉토리 서비스) [디지털서비스: Directory Service]
- 정보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 단순하며 가장 대표적인 디렉토리 서비스는 DNS(Domain Name Service)
  B2Bi* (Business To Business integration) [경영정보: EAI, BPM]
- 상호 이질적 환경의 기업간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솔루션
- EAI를 웹 환경의 기업 외부로 확장하여 기업간 애플리케이션과 비즈니스를 통합하여 B2B 트랜잭션을 자동화한 통합 솔루션
  e-Learning*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SCORM]
- 인터넷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에서든 자신이 얻고자 하는 지식과 정보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환경
-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교수와 학습을 실시하는 교육 환경
  Digital Textbook*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SCORM]
학교와 가정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기존 교과서, 참고서, 문제집, 용어사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이를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과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생용의 주된 교재
  u-Learning* (e-Learning + Web 2.0)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Web 2.0]
기존 e-Learning에서 블로그, 팟 캐스팅(Podcasting), 미디어 공유, 소셜 네트워킹 등의 웹 2.0 요소기술들과 결합한 e-Learning
  WBT* (Web Base Training) [디지털서비스: e-Learning, iBT, CBT]
-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학습하는 환경을 말하며, 콘텐츠는 웹 서버를 통해 배포
- 뛰어난 웹환경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등을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 제공, 학습 성취도 및 학습 이력 관리
  HSM*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디지털서비스: ILM, VTL]
- 고가격의 스토리지와 저가격의 스토리지 간에 자동적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데이터 저장 기술
- 기업 데이터 벌크를 더 낮은 액세스 속도의 장치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에 Hard Disk 등의 더 빠른 장치에 복사하여 사용
  VTL* (Virtiual Tape Library) [디지털서비스: ILM, HSM]
디스크를 테이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크를 테이프 라이브러리로 애뮬레이션한 솔루션으로 백업, 복구의 성능 및 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백업 장치
  Data De-duplication* (데이터 중복제거) [디지털서비스: ILM, HSM]
- 오직 고유한 데이터만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도록 중복되는 파일, 데이터 블록 등을 제거 혹은 이동시키는 과정
- 데이터 백업 방식에는 전체 파일들을 그대로 저장하는 풀백업(Full Backup)과 변화된 내용이 있는 파일만을 저장하는 증분백업(Incremental Backup)이 있음
- 증분백업은 내용이 일부만 바뀌어도 파일 전체를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을 활용하면 파일의 변경된 해당 내용만을 저장하여 저장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CAS (Content Addressable Storage) [디지털서비스: Storage, CAS, FCS]
  FCS (Fixed Content Storage) [디지털서비스: Storage, CAS, FCS]
  CDP** (Continuous Data Protection) [디지털서비스: ILM, HSM, VTL]
- 변경되는 데이터를 실시간 캡쳐하여 운영 스토리지와 독립된 별도의 공간에 저장한 뒤 과거의 어느 시점으로든 복원할 수 있는 방법론
- 복구지점이 유연하고 복원시간이 신속하여 비즈니스 연속성도 보장
  .NET* [디지털서비스: .NET, 분산시스템]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시한 차세대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Servlet* [디지털서비스: Java]
기존 CGI의 단점을 보완한 서버측 프로그램, Multi-thread 지원,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사용
  ASP.NET* [디지털서비스: .NET]
개발자 작성코드로 비즈니스 로직만 집중, 세션관리 등 하부구조를 서비스
  u-Health* [디지털서비스: e-Health]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보호환자의 위치 추적, 의료장비 및 기기의 관리, 치료시점에서 진료/처방 정보 관리, 원격진료, 응급상황 경보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환자의 안전성 확보 및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 다양한 유비쿼터스 기술을 헬스케어 영역에 적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u-Health 서비스의 기본틀
  e-Health* [디지털서비스: e-Health]
정보통신 기술을 의료 시스템에 적용하여 의료정보 및 관련 서비스와 상품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유무형의 모든 신산업
  Index* [DB: 인덱스, Index]
데이터 레코드에 접근하기 위해 해당 인덱스를 찾아서 그 인덱스가 가리키는 주소를 따라가 원하는 레코드를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DAM* (Direct Access Method) 직접 접근 방식 [DB: DB, ISAM, VSAM, SAM, Hash]
디스크 임의의 위치에 레코드를 저장하는 방법,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레코드를 저장할 위치를 결정
  데이터베이스 설계* (Database Design) [DB: Design]
현실 세계를 DB로 표현하기 위해 개념적인 구조, 논리적인 구조를 거쳐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인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
  데이터 모델* (Data Model) [DB: DB 설계]
DB 설계 과정에서 컴퓨터에 저장할 데이터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능적 도구
  함수적 종속성* (Functional Dependency) [DB: 정규화, NF]
어떤 Relation R에서 속성 X의 값 각각에 대해 속성 Y값이 하나만 연관되어 있다면, 속성 Y는 속성 X에 함수적으로 종속되었다고 하며, R.X→R.Y와 같이 표현됨
  연결 함정* (Connection Trap) [DB: ER 모델]
데이터 모델링 시 개체와 개체 사이에 부여하는 관계성 집합의 의미가 모호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거나 향후 업무 처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ER 모델의 문제점
  정규화* (Nomalize) [DB: DB 설계, NF, 정규화, 함수적 종속성, 이상 현상]
- 애트리뷰트들 간의 종속관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으로 분해하여 이상을해결하는 과정
- 데이터처리의 입력이상, 수정이상, 삭제이상을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의 함수적 종속성이나 조인종속을 이용하여 분리, 통합하는 방법
- 속성(Attribute)들 간의 종속성(Dependency)을 분석하여 기본적으로 하나의 종속성이 하나의 릴레이션(Relation)으로 표현되도록 분해해 나가는 과정
  이상 현상* [DB: DB 설계, 정규화, 함수적 종속]
- 데이터의 중복성으로 인해 릴레이션을 조작할 때 발생하는 비합리적 현상
- 여러가지 종류의 사실들을 하나의 릴레이션으로 표현하려고 하기 때문에 발생
- 속성들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종속 관계에 대해 정규화를 실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음
  반정규화* (Denormalization) [DB: DB 설계, 정규화, 비정규화]
- 정규화된 DB모델을 성능향상 및 단순화를 위해 정규화에 위배되는 변경을 가함으로써 질의응답 시간단축 효과를 내는 기법
- 정규화된 릴레이션을 데이터의 접근효율성 및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데이터구조를 조정하는 기법
- 테이블과 속성, 관계를 중복으로 가져가는 방법외에 테이블, 속성, 관계를 추가하거나 분할, 제거할 수도 있음
- 테이블의 조인(JOIN) 최소화(조회조건 충족)
  무결성* (Integrity) [DB: 데이터 무결성, Transaction]
- 데이터의 정확성, 유효성, 일관성, 신뢰성을 위해 무효갱신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
- 개체 혹은 개체간에 적용되는 업무 규칙을 위반하지 않도록 제약(Constraint)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관리방법
  Transaction* (트랜잭션) [DB: Transaction]
- 다양한 데이터 항목들을 처리하고 갱신하는 프로그램의 수행 단위
- 데이터베이스 처리의 논리적 단위를 기술하는 기법을 제공
  병행 제어* (Concurrency Control) [DB: Transaction]
-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여러 트랜잭션들이 성공적으로 동시에 실행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도록 제어
  SRTF* (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최단 잔여시간 우선(선점형 SJF)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Scheduling, SJF]
- 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Shortest Job First Scheduling)은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CPU 점유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 CPU를 먼저 할당하는 방식의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 이 알고리즘은 비선점형와 선점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데, 선점형에 적용되는 SJF 스케줄링을 특별히 SRTF 스케줄링이라 함
http://blog.naver.com/jjaiwook79/30069179687
  DB 튜닝* [DB: DB 튜닝, Tuning]
이미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성늘을 진단해 불합리한 데이터 구조를 제거하거나 재설계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성능과 가용성을 높이는 작업
  성능 데이터 모델링* [DB: DB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 DB 튜닝, 성능모델링]
- 데이터베이스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설계 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정규화, 반정규화, 테이블 통합, 테이블 분할, 조인구조, PK, FK, 등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즉,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부터 성능을 고려한 모델링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구조적인 성능 문제를 가지고 있게 되어 성능개선의 한계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음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 [DB: Data Mining, OLAP, DW]
대용량 데이터에 존재하는 데이터 간의 관계, 패턴, 규칙 등을 찾아내고 모형화해서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의사결정을 돕는 유용한 정보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
  분산 DB* (Distributed Database) [DB: 분산 DB, Distributed Database]
- 하나의 논리적 데이터베이스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 각각의 컴퓨터에는 지역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Local DBMS)과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istributed DBMS)을 내장하고 있음
- 다른 장소에 위치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 주는 분산 데이터 사전(Distributed Data Dictionary) 및 주소록을 가지고 있음
- 투명성(Transparency)를 보장하여 분산된 DB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일 DB를 사용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함
  R-Tree* (Real Tree) [DB: 공간 DB, Spatial DB]
X, Y 등으로 표현되는 지리적 정보와 같은 다차원 공간 정보에 대한 인덱싱을 제공
  T-Tree* [DB: MMDB, 메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Index]
- 메인모메리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로 사용되는 바이너리 트리의 한 종류
- 인덱스와 데이터가 메모리에 함께 있는 경우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인덱스의 한 노드는 데이터의 메모리 포인터만 가지고 있을 수 있음
-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한 회전(Rotation) 연산비용을 메인메모리 구조에 최적화한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 뿐만아니라 데이터 변경에 따른 인덱스 구조 변경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는 인덱싱 기술
  DQM3* (전사적 데이터 품질 관리) [DB: DQM]
- 기업 비즈니스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의 분류, 구조화, 사용 프로세스를 효율화하여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는 프로세스
- 전사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 관리로 데이터 품질 관리를 효율화 할 수 있음
  MDM* (Master Data Management) [DB: DB 통합, MDM, IOD]
- 여러 곳에 분산되고 중복된 기준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으로, 다른 시스템에 각각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곳에 통합하고 클린하게 정제해 하나의 통합된 정보를 분석 및 운영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관리하는 시스템
- 인포메이션 온 디맨드(IOD: Information on Demand) 전략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
  관계대수* [DB: SQL, 관계대수, 질의]
- 어떻게 질의를 수행할 것인가를 명시하는 절차적 언어이며, 릴레이션을 다루는 연산들로 구성
- 상용 DBMS에서 널리 사용되는 SQL의 이론적 기초이며, DBMS의 내부언어로서도 사용됨
  EAP*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네트워크: WLAN, Security, 보안,]
- 인증용 프로토콜로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인증자(Authenticator)와 신청자(Supplicant) 간에 특정 인증 메카니즘에 무관하게 관련 인증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 TLS(Rransport Layer Security), SRP(Secure Remote Password), OTP(One-Time Password), MD5(Message Digest 5) 등 많은 인증용 메커니즘 및 프로토콜과 결합 가능
  TKIP*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네트워크: WPA, WEP, 802.11i, WPA2, WLAN, Security]
무선 랜을 위한 IEEE 802.11i 암호 표준, 802.11 무선 랜 보안에 사용된 WEP키 암호화를 보완한 것으로 패킷당 키 할당, 키 값 재설정 등 WEP를 개선한 것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사람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도 있음
  DIAMETER* [네트워크, 보안]
새로운 보안 정책과 Mobile IP 같은 새로운 기술, PPP와 같은 기존 기술과의 로밍 등에 대해,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확장이 용이하고, Peer-to-Peer 기반의 AAA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보호를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
  MD5* (Message Digest 5) EAP-MD5 [네트워크, 보안: WPA]
입력 데이터 (길이에 상관없는 하나의 메시지)로부터 128 비트 메시지 축약을 만듦으로써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알고리즘
  TTLS (Tunneled Transport Layer Security) [네트워크, 보안]
  PEAP (Protected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PEAP [네트워크, 보안: EAP, WPA]
  Mesh Network* [네트워크: USN, WPAN, WSN, WPAN, Multi-hop]
무선상의 고정 또는 이동 노드로 구성되며 각 노드는 프로세싱 파워와 메모리를 제공하며 라우팅 정보가 공유되어 멀티호핑(Multi-hopping)이 가능한 네트워크
  Adhoc Network* [네트워크: USN, WSN, WPAN, Mesh Network]
- Mesh Network 중 자율적 네트워크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유선노드가 없는 네트워크
- 이동성을 가진 다수의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임시적인 네트워크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네트워크: HSDPA]
전송하는 데이터에 오류가 있더라도 어느 정도 범위까지는 이를 수정할 수 있는 방법
  Fault Tolerant System* 결함 허용 시스템 [시스템구조: Fault Tolerant System]
하드웨어 오동작, 소프트웨어 에러 또는 정보오염이 일어날지라도 주어진 작업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암호화* [보안: 암호화]
- 정당한 사용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평문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기술
- 암호화 알고리즘과 키를 사용하여 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과정,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복호화, 키를 관리하는 일련의 프로세서들이 관련됨
  전자서명* (Digital Signature) [보안: 전자서명, PKI, Digital Signature]
-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의 신원과 당해 전자문서가 그 작성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나타내는 전자적 형태의 서명
- 서명자를 확인하고 서명자가 당해 전자문서에 서명을 하였음을 나타내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당해 전자문서에 첨부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적 형태의 정보
  Hash Function* (해쉬 함수) [보안: 전자서명]
- 하나의 문자열을 원래의 것을 상징하는 더 짧은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함수
- 임의의 유한 길이의 입력값을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으로 바꾸는 함수
  Firewall* [보안: Firewall]
인터넷으로부터 조직의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 네트워크를 격리시키는 등 하드웨어와 소포트웨어의 결합으로 다양한 보안장치와 보안기능을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보안 시스템
  Bastion Host* [보안: Firewall]
-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호스트가 방화벽 역할
- 내부 네트워크 전면에 위치하여 내부 네트워크 전체의 보안을 책임지기 때문에 해커들의 주 공격 목표가 되어 네트워크 관리자는 정기적으로 점검하며 관리 필요
  Water Marking* 원본추적기술 [보안: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 보호기술, Finger Printing]
콘텐츠에 특수정보를 보이지 않도록 삽입하여 원본을 확인할 수 있는 원본추적기술
  Finger Printing* 유통추적기술 [보안: Digital Contents, 디지털 콘텐츠 보호기술, Water Marking]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 유통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유통추적기술
  MPEG-21* (Moving Picture Experts Group-21) [디지털서비스, 보안: 디지털 콘텐츠 보호, Digital Contents]
-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 보안 등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의 모든 MPEG 규격과 W3C, ITU 등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표준까지 포괄하는 차세대 디지털 국제표준
- 전자상거래 환경하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Life Cycle(생성, 유통, 판매, 작동, 재판매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의 콘텐츠 프래임워크(Framework)
  INDECS* (INteroperability of Data in E-Commerce System) [보안: DRM, DOI, Water Marking, 디지털 콘텐츠]
- 전자상거래시스템상에서 상호운용가능한 메타데이터 구조
- 디지털 저작물 및 저작권 거래내역 관리 등 투명한 전자상거래를 보장하고 지적 재산권을 관리, 보호하는 기술
  해킹* [보안: 해킹, Pharming, Phishing]
시스템의 관리자가 구축한 보안망 무력화, 관리자의 권한 획득 등을 통해 다른 시스템에 피해를 주는 일체의 행동으로, 해킹의 목적에는 침입, 서비스 거부, 정보유출 등이 있음
  Phishing* (피싱) [보안: 해킹, Phishing, Pharming]
유명기관을 사칭한 위장 이메일을 불특정 다수 이메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위장 홈페이지로 유인, 인터넷 상에 신용카드 정보나 패스워드 등 민감한 개인의 금융정보를 획득하는 사회공학적 기법을 사용한 범죄
  Pharming* (파밍) [보안: 해킹, Phishing, Pharming]
- 합법적 소유의 도메인 탈취나 DNS를 속여 실제 사이트로 오인을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도용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기 기법
- 이용자 정보의 불법적인 수집을 위한 Phishing의 기술적 고도화된 기법
  컴퓨터 포렌식* (Computer Forensic) [보안: 컴퓨터 포렌식, 법적 증거]
컴퓨터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범죄 행위에 대한 법적 증거 자료 확보를 위하여 자료를 수집, 보관, 분석, 보고 등의 절차를 통하여 법적 증거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
  생체인식* [보안: 생체인식, Biometrics]
- 사람의 생체적, 행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학문 또는 기술
- 살아있는 사람의 신원을 생리학적으로 또는 행동 특징을 기반으로 인증하거나 인식하는 자동화된 기법
  개인정보* [보안: 개인정보]
-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일체의 정보
- 개인에 대한 사실, 판단, 평가 등 개인에 관한 정보
  폰노이만 아키텍쳐* (Von Neumann Architecture) [시스템구조: 폰노이만 컴퓨터, Von Neumann Computer]
단일 저장장치(메모리)에 연산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명령어(Command)와 연산에 필요한 또는 연산의 결과로 생성된 데이터를 함께 수용하는 Computing Machine 모델(반대 개념: Harvard Architecture)
  AOP (Active Oriented Programming)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SW공학: OOP]
  ADL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 [SW공학: SA]
  ATAM* (Architecture Trade-off Analysis Method) [SW공학: SA / 평가]
아키텍처가 품질속성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뿐만 아니라 품질속성들이 서로 어떻게 상충하면서 상호작용 및 Trade-off 정보까지 밝히는 평가 방법
  Object* (객체) [SW공학: 객체지향 설계, OOP]
소프트웨어를 Data와 Process로 분리하지 않고 실세계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간이 이해하는 방식 그대로 시스템으로 구현하는데 적용하는 기술
  객체지향* (Object Oriented) [SW공학: 객체지향 설계, OOP]
- 실세계의 개체(Entity)를 데이터(Attribute)와 함수(Method)를 결합시킨 형태로 표현하는 개념
- 객체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시스템을 구성
  추상화* (Abstraction) [SW공학: 객체지향 설계]
객체의 본질에 집중하여 상세내역을 없애 가는 과정, 객체의 속성 중에서 공통 속성을 추출, 종류에는 기능, 자료, 제어 추상화 등이 있음
  ADR (Architecture Design Review) [SW공학: SA]
  IEEE 1471* [SW공학: SA]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키텍처 명세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아키텍처 패턴/스타일* [SW공학: SA]
아키텍처 설계에서 반복해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아키텍처가 만족시켜야 하는 시스템 품질속성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정리된 문서
  상속성* (Inheritance) [SW공학: 객체지향]
상위 클래스의 속성(Attribute)와 메소드(Method)를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없이 물려 받아 사용하는 개념
  디자인 패턴* (Design Pattern) [SW공학: Design Pattern, 재사용, Reengineering]
-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반복해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경험을 모아 정리한 Problem Domain에 최적화된 디자인
- SW 설계에서 만날 수 있는 공통적인 문제들의 해법을 제시한 설계 참조자료
- 클래스와 객체의 상호작용을 정형화된 형태로 기술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겸험 즉, 프로그래머들이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일반적인 상호작용 방법들을 모은 목록
  리팩토링* (Refactoring) [SW공학: Refactoring]
- 소프트웨어의 외부 기능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내부 구조를 바꾸는 기술(SW시스템 변경 프로세서)
- 소프트웨어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겉으로 보이는 동작의 변화없이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것
  Test Harness* (Automated Test Framework) [SW공학: 테스트, Test]
-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테스트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건들을 변화시키면서 포그램의 수행과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일체의 소프트웨어 및 테스트 데이터의 집합
-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 테스트 실행 엔진(Test Execution Engine)과 테스트 스크립트 저장소(Test Script Repository)
-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거나 프로그램의 입력을 받아들이거나 빠진 컴포넌트의 기능의 대신하거나 실행 결과와 예상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동원된 소프트웨어 도구
  Mutation Test* (뮤테이션 테스트) [SW공학: 테스트, Test, Bebugging Test]
- 테스트 데이터가 프로그램의 작은 오류에 얼마나 민감한지 보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프로그램을 변경시켜 준비된 테스트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기법
- 의도적으로 프로그램에 약간의 수정을 가해 시험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정한 것을 오류로 판단하는지 확인
  Bebugging Test* (비버깅 테스트) [SW공학: 테스트, Test, Mutation Test, 뮤테이션 테스트]
의도적인 오류를 포함하여 시험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오류를 감지하는지 확인
  Smoke Test* (스모크 테스트) [SW공학: Test, 테스트]
- 본격적인 테스트의 수행에 앞서, 시스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 테스트 대상이나 제품의 빌드(제품 설치 패키지)가 구축된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주요 모듈이나 시스템을 간단하게 확인하는 테스트
- 개발팀이 제작한 주요 단위 모듈이나 시스템 모듈을 제3자 테스트팀 또는 개발팀 내의 테스트팀이 주체가 되어 테스트 케이스 없이 시행
  발주 프로세스* [SW공학: 발주 프로세스]
발주자의 제안요청사항(RFP)에 대한 분석, 이해 및 제안 타당성 검토에서부터 제안서 작성 및 제출에 이르는 전과정
  제안서* (Proposal) [SW공학: 발주 프로세서, RFP]
발주자가 요청한 RFP에 대해 응답하는 것으로 사업 응찰자의 기술력과 사업수행 능력을 기술한 문서
  제안견적* [SW공학: 발주 프로세스]
프로젝트 계획의 핵심활동으로 경영층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의 규모(Size), 자원과 일정을 Estimation하는 프로세스
  BMT* (BenchMark Test) 벤치마크테스트 [SW공학]
컴퓨터의 부품 등의 성능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여 점수를 내는 결과
  개발비용 산정*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소프트웨어 규모파악(양적인 크기, 질적인 수준)을 통해 소요공수와 투입자원 및 소요기간을 파악하여 실행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비용을 산정
  COCOMO II*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 개발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사용의 강화나, 컴포넌트를 이용한 조립개발과 같은 최근의 개발환경을 반영하여 개발됨
- 프로젝트 규모, 각종 환경변수, 재사용 모델 등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비용을 예측하는 모델
- 구조적 방법론 적용(COCOMO) → 객체지향/컴포넌트기반 개발방법론 지원(COCOMO II)
- Object Point, Function Point, LOC 등의 값을 기반으로 COCOMO와 같은 방식으로, 경험상에서 도출된 상수들을 사용하여 개발비용을 도출
  DET (Data Element Type) ILF, EIF의 필드 갯수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 FP]
  RET (Record Element Type) 테이블의 갯수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 FP]
  FTR (File Type Referenced) ILF, EIF의 갯수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산정 / FP]
  UFP* (Unadjusted FP) [SW공학: FP]
미조정기능점수(UFP) = ∑ (기능유형 x 가중치)
  TDI* (Total Degree of Influence) [SW공학: FP]
총영향도(TDI) = ∑ {시스템특성(14개) x 영향도(0~5)}
  VAF* (Value Adjustment Factor) [SW공학: FP]
조정인자(VAF) = 0.65 + 0.01 x 총영향도(TDI)
  AFP* (Adjusted FP) [SW공학: FP]
조정기능점수(AFP) = 미조정기능점수(UFP) x 조정인자(VAF)
  일정관리* [SW공학: 프로젝트 관리(PM), 일정관리]
제한된 시간안에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을 확보하면서 시간을 준수하기 위해 개발기간을 단계별로 철저히 계획하고 수립하는 과정으로 개발단계가 일정계획에 준해 잘 진행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 제공
  프로젝트 위험* (Project Risk) [SW공학: 프로젝트 관리 / PMBOK, 위험관리]
프로젝트 목표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사건이나 조건
  프로젝트 위험관리* (Risk Management) [SW공학: 프로젝트 관리 / 위험관리]
- 프로젝트 위험에 대해서 식별하고, 분석하고, 대응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 구조, 기능, 구성
- 프로젝트의 목표에 영향을 주는 불확실한 사건이나 조건을 식별하고 분석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활동
  PI Matrix* (Probability Impact Matrix) [SW공학: 위험관리 / 위험분석]
위험노출도(Risk Exposure) = 위험영향도(Risk Impact) x 위험발생가능성(Risk Probability)
  소프트웨어 품질* (Software Quality) [SW공학: 프로젝트 관리 / 품질관리, 품질보증]
- 주어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및 특성(IEEE)
- 요구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특성의 정도(DOD)
-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필요를 만족시키는 능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특성 및 특징의 전체(ISO/IEC 9126)
  품질관리* (Quality Management) [SW공학: 프로젝트 관리, 품질보증]
- 소프트웨어 표준 또는 품질 속성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품을 측정하는 과정
- 제품의 결함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여 결함이 없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관리 활동으로써 개발자에 의해서 제품에 대해서만 검토를 수행하는 활동
- 소프트웨어 개발 활동 중 시스템 검토나 소프트웨어 시험 활동은 품질 관리에 속함
  Agile* (애자일) [SW공학: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 e-Biz 시장 및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등 주위 변화를 수용, 능동적 대응하기 위한 기민하고 유연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 사람 중심(고객포함), 아키텍처설계, 프로토타이핑에 적합
  자크만 프레임워크* (Zachman Framework) [경영정보: ITA/EA]
- EA 수립시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준 EA Framework (개발 및 문서화에 사용)
- 기본프레임: 조직의 정보체계에 대한 관리 및 기술적인 설명을 분류하고 조직화하며, 진행상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역할
- 컨트롤판넬: 아키텍처 수립 구축 후 평가하는 역할
  COBIT Framework* [경영정보: COBIT]
- 경영 목적이나 요구사항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검토하고, IT 프로세스를 통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는 IT 자원들을 적용한 결과로 생성된 정보를 검토하는 IT 통제관리모델
- COBIT의 IT 통제모델 정의, IT 거버넌스를 위한 IT 통제 프레임워크
  정보자원관리(IRM)*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경영정보: ITA/EA]
- 정부기관의 임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자원을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
- 관리대상인 정보자원에는 정보 자체와 관련 자원(인력, 장치(Equipment), 기금(Funds), 정보기술 등)이 포함
- EA기반정보자원관리가이드.pdf (행정자치부)
  CSI (Customer Satisfaction Index) 고객만족도 [경영정보: IT 투자평가]
  NPV* (Net Present Value) 순현재가치법 [IT 투자평가]
투자사업으로부터 사업의 최종년도까지 얻게되는 순편익 비용의 흐름을 현재가치로 계산하여 이를 합계한 것
  UBR (UDDI Business Registry) [디지털서비스: Web Service / UDDI]
  TV 2.0* [디지털서비스: IPTV, DTV]
-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와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웹 2.0으로 일컫는 변화와 같이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로 IPTV, DTV, DMB, Mobile IPTV 등의 TV 서비스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능동적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서비스
  VAD (Voice Activity Detector) [디지털서비스: VoIP / QoS]
  Directory* (디렉토리) [디지털서비스: 디렉토리 서비스, Directory Service]
- 네트워크에 산재되어 있는 자원들을 모든 호스트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네트워크 자원공유 서비스
- 실세계의 객체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의 집합체 수단을 제공하는 것
- 네트워크상의 자원에 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중앙 서버
- 단순하며 가장 대표적인 디렉토리 서비스는 DNS(Domain Name Service)
  웹 마이닝* (Web Mining) [DB: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인터넷 상에서 발생하는 고객 행위 분석과 특성 데이터를 추출, 정제, 적재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마이닝 기법
  공간 DB* [DB: 공간 DB]
- 공간데이터 + 비공간데이터의 값으로 표현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공간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Vector와 Raster 모델이 있음
- 문자나 숫자 등으로 표현되는 비 공간 데이터와 공간 객체의 좌표 값으로 표현되는 공간 데이터의 집합
- 정렬이 불가능한 데이터를 위한 새로운 색인, 연산을 사용(R-Tree Index)
  raster* [DB: 공간 DB]
격자 모양으로 분할된 공간에서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로, 실세계 현상을 Cell의 집합으로 정의하거나 표현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 표현이 가능함
  vector* [DB: 공간 DB]
크기와 방향을 가지며 일반적인 좌표를 기초로 한 자료의 구성방법으로, 실세계 현상을 0,1,2차원 공간형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기하학 정보, 위상구조, 메타데이터로 구성됨
  Anycast* [네트워크: IPv6]
- 그룹내의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말하며, IPv6에 추가된 주소 종류
- IPv4: uni/multi/broadcast, IPv6: uni/any/multicast
  Stateless Auto Configuration* [IPv6]
IPv6의 PnP 방식의 주소자동부여 기능으로, DHCP를 통하지 않고, 라우터레벨에서 주소자동부여
  ALL-IP망* [네트워크: IPv6]
이동통신망 구조와 프로토콜을 모두 IP 기반화: 데이터와 시그널링 전송을 모두 IP 기반의 기술 사용하며,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 지원
  Smart Antena* (스마트 안테나) [네트워크: BcN]
- 각 단말기 방향으로 독립된 빔패턴을 제공하여 통신 용량을 증대시키고 통신 품질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지능형 기지국을 실현하는 기술
- 배열된 안테나의 위상을 제어하여 특정 신호(원하는 방향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고 간섭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통신 품질을 향상
  802.11n*
2009년 9월 11일에 최종 표준안이 제정되었으며,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을 사용하며 최고 300Mbps 까지의 속도를 지원하며, 차세대 WLAN을 지원하고, OFDM과 MIMO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802.16e* (Mobile WiMAX (WiBro)) [네트워크: WLAN]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USN 미들웨어* (USN Middleware) [네트워크: USN]
- 센서노드 하드웨어와 USN 응용 시스템의 중간에 위치하여 이 둘간의 연계를 유연하게 지원하는 시스템
- 다양한 센서노드 하드웨어 사양에 독립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추상화 컴포넌트와 다양한 USN 응용 시스템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open API 컴포넌트를 제공
- 센서노드와 게이트웨이 수준에 위치하여 in-network 질의처리를 지원하는 in-network 미들웨어와 서버 수준에 위치하여 응용 시스템을 지원하는 server-side 미들웨어로 나뉘어서 구성
  MICS (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인체이식용 무선의료통신(402-405MHz)
  전자봉투* [보안: 전자서명]
송신자가 송신 내용을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할 비밀키(대칭키)를 수신자만 볼 수 있도록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식
  ACL (Access Control List) 접근통제목록 [보안: DRM]
  FIRST* (Forum of Incident Respose Security Teams) [보안, 협회: CC]
세계각국에서 발생하는 침해사고 정보의 신속한 교환 및 국제적 협력(인터넷 보안 기술 등 기술정보의 공유)을 위해 미국 기술표준 연구소를 주축으로 설립
  웹 접근성* (Web Content Accessibility) [디지털서비스: 웹 접근성]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함
  웹 표준* [디지털서비스: 웹 표준]
- 다양한 접속 환경을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정보에 소외되지 않고, 모두가 동등하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글로벌 표준에 따라 웹을 개발하는 것을 말함
- 웹 표준 적용은 단지 W3c 표준을 지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웹 접근성 고려, 크로스 브라우징 고려, 구조/표현/동작의 분리까지 했을 때 웹표준을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고 할 수 있음
  Locality* (지역성) [시스템구조: Locality]
- 기억장치 내의 정보를 어느 한 순간에 특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특성
- 프로세스는 국지적인(Local) 부분을 참조한다는 개념하에 적은 용량의 고속메모리에서 데이터 적중률(Hit-rate)을 높이기 위한 원리
- 프로그램은 최근에 사용했던 데이터나 명령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CPU 스케줄링* (CPU Scheduling)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 쓰레드가 어떤 우선순위로 CPU를 얼마만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수행하는 과정
- 프로세스 수행작업을 위해 언제 어느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작업
  Context Switing* (문서교환)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실행도중 CPU의 사용권이 넘어갈 때 현 프로세스의 작업 내용을 보관하고 새 프로세스의 정보를 적재하는 과정
  Round-Robin* [시스템구조: CPU 스케줄링 / 선점(Preemptive)]
- 들어오는 순서대로 같은 크기의 시간 할당을 할당하는 구조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
- 시간 할당 크기가 크면 FCFS, 작으면 빈번한 문맥교환이 발생할 수 있음
  가상메모리* (Virtual Memory) [시스템구조: Virtual Memory]
- 프로세스 전체를 메모리에 적재하지 않고, 필요시에 메모리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메모리관리기법
- Multi-Programming을 위하여 한정된 메인 메모리에 많은 프로세스들을 동시에 유지하기 위한 기법
  Thrashing* [시스템구조: Thrashing, Virtual Memory]
- 멀티프로세싱, 멀티프로그래밍 역기능으로 페이지 부재가 자주 일어나 프로세스가 실행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보내는 시간이 더 많게 되는 현상
- 연속적 Page Fault 발생으로 CPU가 프로세스 실행보다 페이지 교체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비정상적인 현상
  Page Fault* [시스템구조: Virtual Memory]
요청한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는 경우
  파이프라이닝* (Pipelining) [시스템구조: 병렬프로세서]
하나의 연산처리 과정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들을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유니트를 별도로 구성하여 동시에 여러 명령어를 처리하는 병렬처리 기술
  슈퍼파이프라이닝* (Super Pipelining) [시스템구조: 병렬프로세서]
파이프라인의 단계를 더욱 세분화 한 것으로, 각 단계를 두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하여 수행시간 단축
  슈퍼스칼라* (Super Scalar) [시스템구조: 병렬프로세서]
- 프로세서 내에 파이프라인된 기능 유닛을 여러 개 포함시켜서 매 사이클마다 한 개 이상의 명령어들이 동시에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 동시에 처리되는 명령어들 사이에 데이터 의존성이 존재하지 않아야 함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 [시스템구조: HA]
평균 고장 간격 (MTTR + MTTF)
  MTTR* (Mean Time To Repair) 고장 복구 시간 [시스템구조: HA]
문제가 발생한 시점부터 복구한 시점까지의 평균 시간(= Down time)
  MTTF* (Mean Time To Failure) 정상 가동 시간 [시스템구조: HA]
  Embedded OS* (임베디드 OS) [시스템구조: 임베디드 OS]
- RTOS와 거의 유사하며, RTOS에 비해 실시간 운영 능력이 떨어지나 시스템 구성 환경이 우수
-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
-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
  Java Chip* [시스템구조: 임베디드 OS]
- Java 코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직접 실행해서 프로그램의 수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만든 프로세서로 picoJava, microJava, UltraJava 등이 있음
- picoJava는 PDA, 스마트폰, 저전력 가전 디바이스 등에, microJava는 저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PDA, 전기 통신 기기, 게임기 등에, UltraJava는 웹 PC 등의 데스크탑 환경의 시스템에 사용됨
  WAVE* (Wireless Access for Vehicular Environments) [디지털서비스: ITS]
차량에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목표로 북미에서 진행 중인 표준 방식이며 기존의 무선랜 표준인 802.11에서 차량 통신 환경을 고려한 MAC/PHY 표준인 802.11p와 상위 프로토콜 계층 표준인 IEEE 1609를 포함
  Embedded DB* (임베디드 DB) [시스템구조: Embedded System]
제한된 컴퓨팅 능력과 자원을 가진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총칭
  Embedded SW*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구조: Embedded System]
특정 기능(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COMET* (Concurrent Object Modeling and architectural design mEThod) [시스템구조: Embedded SW]
-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동시 설계 및 동시 진행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 전 과정으로 피드백이 불가능하거나 많은 위험요소를 내포할 수 있어, 이러한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기위해서 고안된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시 설계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간에 모형 주택과 같은 의미의 폐기형 프로토타이핑(throwaway prototyping) 기법을 적용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간의 역할 분담 등을 개발 초기 단계에서 명확히 하며, 개발 중간 단계에서는 점증적 프로토타이핑(특히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법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최종 버전까지 반복하여 개발
  데스크탑 가상화* [시스템구조: 가상화]
가상화 에이전트가 설치된 데스크탑을 모두 연결하여 하나의 거대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시스템 안에 각 데스크탑을 위한 가상 공간 부여하여 독립된 데스크탑을 사용하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개념
  QoE* (Quality of Experience) 체감 품질 [디지털서비스: IPTV, QoS]
- 서비스 이용자가 각자의 기대값(expectation)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총체적인 허용도
-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한 서비스에 대하여 기대하는 기대값을 근거로 규정하는 품질 척도로, 품질은 좀 낮아도 요금이 싼 서비스가 최고 품질의 서비스보다 QoE가 높을 수 있음
  JMF* (Java Media Framework) [디지털서비스: IPTV]
기존의 자바 프로그래밍에서의 가장 취약했던 멀티미디어 제어관련 API 및 SDK를 보강한 것으로 MPEG, AVI, MOV 등의 비디오 기술과 더불어 H.261, H.263 등의 영상 회의 코덱 표준을 지원하고, G.721, G.723 등의 오디오 코덱도 더불어 제공하며, 실시간 동영상과 음성 전송을 위해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을 지원함
  Java TV API* [디지털서비스: IPTV]
- 대화형 TV 서비스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동작하는 기타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 가장 중요한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방송 네트워크 기술과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게 하도록 하는 것
  MHP* (Multimedia Home Platform) [디지털서비스: IPTV]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되는 쌍방향 어플리케이션 환경의 근간이 되는 플랫폼을 규정한 스펙
  P4P* (Proactive network Provider Participation for P2P) [디지털서비스: IPTV]
ISP와 P2P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협력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최적 P2P 연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
  SVC* (Scalable Video Coding) [디지털서비스: IPTV]
- 하나의 동영상을 우선 순위별로 나누어 여러 개의 비트스트림으로 나누어 인코딩하는 것을 말함
- 기본 계층(Base Layer)은 가장 기본적인 품질의 동영상을 재생하는데 사용하며, 여기에 향상 계층(Enhancement Layer)이 더해지면 더욱 좋은 품질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음
  IMS* (IP Multimedia Subsystem) [디지털서비스: IPTV]
-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등의 멀티미디어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며, 신속한 서비스 개발 및 변경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범용의 인터넷 기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가격 경쟁력 향상을 꾀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세션관리 기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3rd party 애플리케이션과 손쉬운 연동을 가능케 하며, 서비스간 글로벌 연동을 통해 사업 영역의 확장을 가능케 하는 IP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시스템
- All IP기반의 차세대 통신 플랫폼으로 통신 사업자는 다양한 서비스(다자간 통화, 인스턴트 메시징,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구현 가능
  Shared Services* [경영정보: Shared Service]
- 기업의 여러 사업조직(Business Unit)에 각각 존재하던 경영지원부문 [인사, 재무, 정보시스템, 노무관리 등]과 비전략적 활동의 일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별도의 독립 채산화한 핵심 Business Unit 조직으로 운영하는 기업변혁시스템
- 사업조직은 전략적 활동에만 집중하고, 지원부문이나 비전략적 활동은 Shared Services 조직에 맡기는 것으로 외부의 서비스 제공업자가 아닌, 기업 내부의 다른 조직에게 Outsourcing하는 것이라 하여 인소싱[Internal + Outsourcing]이라고도 함
  멀티모달* (Multimodal Interface) [디지털서비스: 가상현실]
- 인간과 기계의 통신을 위하여 음성, 키보드, 펜, 동작 등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기계로의 입력을 위해서는 음성명령, 펜, 글씨 및 키보드 타이핑을 사용하고 기계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음성, 오디오, 비디오를 사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MyTopic - Freeware / Created by 김재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