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활성) 디스크란 레이드 체제등 서버용에서 효율성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그리 큰 사용이유는 없습니다.

기본 디스크 전환 방법입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혹은 실수로 제어판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 에서
뭘까 궁금해서 '파티션을 활성화로 표시' 버튼을 눌러 보거나
하드를 새로 추가했을때 나오는 창들에
신경쓰지 않고 예(Y) 를 계속 연타해 동적(활성) 디스크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동적 디스크가 되면 다른 컴퓨터에서  읽히지 않는 등 일반적인 개인 컴퓨터 사용자로서는
별 필요없고 짜증만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기본 디스크 형식으로 바꾸어 주어야 문제가 없다.

그런데 이 경우 보통 윈도우 외의 다른 프로그램(mbrwiz,testdisk)을 깔아서 기본 디스크로 바꾸어야 하거나
그게 불가능한 경우는 파티션을 지웠다가 다시 만드는(포맷만으론 안된다) 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사실 윈도우 자체에 더 간단하고 빠른 복구 방법이 있다.

여기에 윈도우 기본에 내장된 diskpart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XP 이상만 가능,FDISK는 NTFS 비지원)
동적 디스크를 기본 디스크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Diskpart 는 윈도우에 기본으로 내장된 파티셔닝 툴인데,
커맨드 콘솔로 가서 (시작버튼-> 실행 -> cmd 입력) diskpart 라고 입력하면 파티션 툴이 실행된다.

list disk 라고 입력하면 현재 가지고 있는 디스크의 목록이 뜬다.
그중 자신이 원하는 디스크를 찾고 (아래의 예는 disk 0 로 설명한다.)
select disk 0 을 입력하면 디스크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엔 list partition 을 입력하면 선택한 디스크의 파티션 목록이 나온다.
나온 목록에서 활성(동적)을 비활성으로 바꾸고 싶은 파티션을 찾고 (아래의 예는 partition 1 로 설명한다.)
select partition 1 을 입력하면 파티션을 선택하게 된다.

이제 inactive 라고 입력해주고 몇초정도 기다리면 비활성화가 된다.
*** 옮긴이 주석 ->  "convert basic"인듯 합니다.  inactive하면 비활성화가 되어 부팅이 안될듯합니다.

작업이 끝난 후 기본 디스크로 바뀌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어판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로 가 디스크의 상태를 확인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