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트럭 16단 반단, 고단에 대해 궁금증... | ★질문&답변

2015.05.13 10:21 | 수정 | 삭제

 

퍼스나콘/아이디 영역
주말 준비생(mail****)
일반회원

대형트럭 16단기어(8단*반단) 변속을 한번도 실제로 본적도 없고 조수도 하기가 쉽지않아서 이렇게 온라인으로 질문드립니다.

처음 출발때만 저단 3,4단으로 출발해서 주행때는 주로 5,6,7,8단만 사용한다고 그러더군요(온라인검색).

반단이나 1,2단은 무거운 중량짐으로 출발할때와 언덕길에서 토끼반단으로 올라가다 기어내릴때 반단으로 기어봉조작없이 단시간으로 내릴때 쓴다고 들었습니다.

1. 그럼 실제로는 거의 정차수준의 서행이 아니라면 5단 주행도 승용차 3단정도로 서행이 가능한거겠죠?

2. 그리고 언덕길 오를때 낮은반단(8단거북이)이라면 어차피 기어내릴려면 반단변화없이 그냥 8단->7단으로 옮기는거죠?  따로 반단스위치로 8단거북이 -> 7단토끼일 필요는 없는거죠?

3. 짐이 무거워서 1,2단이나 3,4단반단사용을 하는 경우가 많나요? 엄청 실었을때겠죠?

질문이 너무 원초적이고 유치해서 죄송합니다.

직접 현장에서 조수를 해야하는데 당장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자유론꿈
EDIT

 

덧글 13 new | | 조회수 154
|
  • 반단의 의미는 중요한게 아니구요
    8*2 = 16 이것중에 속도에 맞게 변속하면 되구요
    1. 서행중에는 보통 4~6 사이에서 다니구요
    2. 언덕의 경사에 따라 다르죠 평지에서 급경사 만났을때 8->7 내리면 힘달려서 못올라가구요 8에서 6정도로 내려야합니다

  • 답변 고맙습니다.

  • 요즘 스카니아는 모르겠는데 520스카니아 덤프 0.5단 있는것도 타봤습니다

  • 0.5단이란게 반단스위치 말씀하시는거겠죠?

  • 주말 준비생 1단밑에요 지반이 약한곳에서 출발할때 살짝 쓰는겁니다

  • 안산시주민5T윙극초장 1단 밑에 0.5단이 있군요. 크롤인가 기어간다는 그 단수인 모양이네요. C... 답변 감사드립니다.

  • Z16단 잘쓰고 숙달되면 중량에 좋죠 처음 수입시 대우 풀카에 65t상차하고 이화령 느긋하게 올라왔죠

    고바우 상태에따라 하아는 포기하고 로우로만 올라감니다
    8단 로우에서 6단,4단단 로우로 들어감니다 만만한 고개일때.. 그러나 아리랑이나 장흥고개 투바이 일때는 8에서 4로 변속할때도있죠 그때 삼발이 조심해야하고 짐 결박 조심해야합니다

  • 지금은 길이 좋아져서 크게 변속이없어 그럴 경우는 많지않지만 그래도 숙달되야합니다 세미는 또 다름니다

  • 답변감사합니다. 8단에서 4단... 중립으로 확실히 가져와야겠군요. 저단스위치로의 전환은 중립으로 가기전에 해놓아도 되겠죠?

  • 주말 준비생 중립에 미리 넣으면 신주기어 나가요

  • 늘즐겁게 1톤 확실히 중립으로 가서 저단으로 내리고 4단넣어야겠군요. 정확히 빠르게... 느긋하면 멈추겠죠? 답변 감사드립니다.

  • 2015/05/13 12:18 답글

    신고

    그냥 오토로 ~~~

  • 신차를 산다면 AMT가 하는 세미오토로 사야겠더군요. 12단. 근데 중고수동때문에... ㅠㅠ

  • 당진추레라25T
    2015/05/13 22:45

    대략 중량10톤 미만 또는 기어변속이 서툴면
    반단안써도 됩니다
    그냥 토끼 놓고
    8단만 써도 가능해요~

    반단이 대략 알피엠300차이 나요
    말뚝기어는 600이구요

    대형차 스틱은 속도만큼이나
    알피엠 중요한거 알죠??

  • 2015/05/14 00:10

    대충은 알고 계신 듯 하네요..

    우선... 공차 주행시는..
    3단/4단 출발하여 7단 로우 까지는 1단으로 변경하며, 7단 로우 부터는 반단(7하이ㅡ8로우ㅡ8하이)로 기어 변경..

    짐 상차시는 통상 2/3단 출발 반단 기어로 상승..

    1~4단은 출발기어로 통상 1~2단 역활을 하고, 이후 5단은 3단, 6단은 4단, 7단은 5단, 8단은 6단의 역활을 한다고 보시면 되며...속도 대비 기어도 그렇게 맞추시면 됩니다.

    경사에서 힘이 딸릴 경우.... 현재 기어가 하이(토끼)라면 로우(거북이)로 한번 쳐 주고... 이후부터는 상황에 따라 한단 또는 한단반 ~ 2단까지 낮추어 올라가야 합니다.

    알피엠이 1400 이하(1200이하가 되면 탄력이 죽음)가 되면 바로 기어를 변경해 주고..
    언덕은 2000알피엠 유지될 수 있도록 기어변경하며...
    힘을 남기며 올라가야 탄력이 죽지 않고 치고 갈 수 있습니다.

    안운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