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7 홈프리미엄에 원격데스크탑 활용하기 (TightVNC 소프트키보드 내용포함)

http://looi.egloos.com/3274925

////////////////////////////////////////////////////
서론
/////////////////////////////////////////////////////////////////////

항상 노트북만 쓰다가 이번에 데스크탑 본체를 하나 잠깐 쓰게 되었습니다.

이녀석을 활용해서 인코딩하는데만 쓰려하는데, 여유분의 모니터와 키보드는 없고, 책상에 노트북 이상 올려놓긴 싫고, 해서
생각한것이 원격 데스크탑 입니다.
뭐 처음 설치할땐 필요하겠지만, 일단 원격 데스크탑만 해놓으면 앞으로는 본체를 밖에 내놓고 랜연결만 해놓으면 되니까 참으로 편해졌지요.

활용도는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이런저런 서버도 될테고요

모니터와 키보드가 없다고 해도, 초기엔 없어선 안되더군요...
뭐 키보드는 마우스로 어떻게 해결이 되더라도, 모니터는 연결전까진 꼭 필요합니다.





TightVNC


일단 모니터 있는곳에서, tightVNC라는프로그램을 설치했습니다(www.tightvnc.com)
뷰어가 아닌 토탈용을 설치했지요. 이녀석은 간단합니다. 설정도 필요없고, ip주소만 알면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스샷은 비밀번호 정해주는 곳입니다. 설정 및 접속 비밀번호니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설치 하셨으면 컨트롤 할 컴퓨터로 http://해당 ip주소:5800 로 접속해 주시면 됩니다.
포트를 열어주지 않으면 외부에선 안되니까 내부망에서 해야겠지요. 예를들면 http://168.126.213.3:5800이 되는겁니다
포트를 꼭 써주셔야 연결이 됩니다.
5800이라는 포트는 tightVPN의 기본 웹포트 입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어플등으로 접속하는경우는 5900이더군요..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며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TightVNC이야기입니다...

참고로 전 TightVNC설치 후 모니터 분리했습니다. 바로 들고왔지요;;


/////////////////////////////////////////////////////////////////////////////////////////

/////////////////////////////////////////////////////////////////////////////////////////



원격데스크탑연결


TightVNC로도 되는데 굳이 원격 데스크탑을 활용하려 한 이유는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이었습니다.

원격데스크탑을 활용하려면, 윈도우7가 홈프리미엄까지 안되는 것같았습니다.
이 이상은 되는데 왜 안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쉽게도 이번에 구한 데스크탑이 하필 홈프리미엄이었던지라, 방법을 강구하던중...
Concurrent_RDP_Patcher.zip
이런 프로그램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녀석을 까니 접속이 되더군요.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저 옵션에 2개블럭에 체크를 둘다 하고 패치를 했습니다.
재밌는건 패치 한건가? 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변화가 없습니다.
된거 맞아? 라고 걱정 하실 필요 없습니다. OS info에 unpatched가 patched로 바뀌어 있으면 패치 된겁니다.

홈 프리미엄인지라 원격제어에 별다른 항목이 없습니다. 그래도 체크는 해주어야 합니다.


예시로 원래는 아래와 같은 창이 떠야 합니다.


뭐 다르더라도 딱히 상관은 없습니다. 분명 접속은 됩니다.

다음으로 방화벽을 열어주어야 합니다. 얼티메이트에는 분명 원격데스크톱연결이라고 항목이 있습니다만...
홈 프리미엄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강제로 열어주어야 합니다.

여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windows 방화벽에 들어가면 고급설정이라고 있습니다.
들어가시면.. 왼쪽 인바운드 규칙항목에서 오른쪽 새규칙을 선택하시고...규칙종류는 포트
열려는 포트는 3389
앞으로 나오는 화면에서는 연결 허용. 다음 화면에서 3개 전부체크 하시고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면 본인이 알아보기 쉬온 이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자 이제 방화벽도 열었습니다.







지금까지는 원격데스크톱연결의 서버쪽 컴퓨터 세팅이었습니다.

이젠 컨트롤할 컴퓨터의 세팅입니다.

라고해도 딱히 할건 없습니다.

사용자 자격증명이 조금 귀찮긴 한데, 여러번 시행착오를 거친 결과 정말 별거아닌...
그냥 서버쪽의 유저이름을 쓰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노트북의 경우는 looiz이고, 서버쪽 데스크탑은 USER이었는데
USER을 쓰고 접속하면 되더군요.
비밀번호도 설정이 안되어있어 그러나 딱히 안써도 되었습니다.

강행하다보면 아래와 같은 뭔가 불길한 창이 뜨는데 무시하시면 됩니다. 과감히 "예"를 누릅니다









////////////////////////////////////////////////////////////////////////////////////////////

////////////////////////////////////////////////////////////////////////////////////////////

여담


여기까지 이네요.
집안 공유기의 문제인지 정말 뭐 이렇게 안되는게 많은지...
홈 공유도 안되고, 이유를 몰라 이런저런 시간만 버리긴 했지만,
확실히 VNC보다 훠~~~~~~~얼~~~~~~~~~~~~~~~~~~~~~씬 빠르고 좋습니다.
단점이라면 종료 버튼이 안보인다는건데 뭐 여러방법이 있지요. 작업관리자를 열어 끈다던가..

공유기 포트만 열어주면 외부에서도 컨트롤이 되는것같은데, 저희는 NAS가 있어서 두 컴퓨터 포트열긴 불가능한 것 같았습니다.
가능하기만하면 좋을텐데 말이죠;;


추가로 혹시 공유기에서 내부망 ip주소를 바꿔버릴까봐 강제로 잡았습니다.
1부터 20까지 랜덤으로 잡는 공유기였기때문에 10으로 강제잡아버렸지요;
20은 NAS가 쓰고있기에;;;

투컴쓴적이 없기때문에 지금까지 무시했던 기능이지만;
의외로 참으로 활용도가 많은 기능인 것 같습니다.
나중에 서버를 활용하게 되면 이런식으로 활용하는게 전기도 적게먹고 좋겠지요;
본체 외에는 전기사용이 없으니;;



TightVNC는 소개안해도 되는데 굳이 한 이유는..
원격접속이라는게 정말 언제 어떻게 안될지 모르는 문제이기 때문에 모니터가 없는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는 보험 같은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거기다가 저는 아이폰의 wyse pocketcloud라는 어플을 가지고 있는데 이녀석을 설치하면 TightVNC는 자동설치되는데다, 아이폰으로는 언제 어디서든지 접속이 가능하거든요. 구글계정으로 접속하는 녀석이니까요;




///////////////////////////////////////////////////////////////////////////////////////////////////////

/////////////////////////////////////////////////////////////////////////////////////////////////////


소프트키보드


추가적으로 키보드가 없고 마우스만 있는경우 초기에 글자입력하기가 심히 어렵습니다.
이때는 윈도우기본기능인 스마트키보드를 활용하면 되는데
이녀석이 뭔지 아실겁니다. 이녀석 오른쪽아래의 화살표를 누르면 소프트 키보드가 있습니다.

자 이제 새로뜬 소프트키보드를 클릭하면 아래와같이 키보드가 뜹니다. 마우스로 눌러주기만 하면되는것이지요.
원격조정에서 가끔 필요할 수 있는 기능이라 소개했네요;
맨위에서 키보드는 딱히 없어도 되더라 라고한 이유가 이것때문이었습니다.

덧글|덧글 쓰기

  • 영호충2012-03-02 15:15
    윈도우7 홈 프리미엄에서 원격접속이 되게 하는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 님이 작성하신 내용으로 해결하였습니다. 며칠씩 고민했던 부분인데 해결되어 속이 쉬원합니다..ㅎㅎ 항상 건강하세요..^^
  • psy1172012-04-23 18:29
    윈도우7 홈 프리미엄쓰는데 원격 데스크탑 써본다고 고민하던차 님께서 쓰신데로 작업하니 잘되더군요 ㅎ ㅎ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