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냉동 사이클의 순서
냉동 사이클의 개괄도
냉동 사이클의 자세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 먼저 압축기(4)가 기체 상태의 프레온 가스를 끌어들여서 강한 압력을 가해 압축 프레온 가스로 만든다.
- 압축된 프레온 가스는 밀도가 일시적으로 매우 높아지게 되고 압축 과정에서 분자충돌 현상이 일어나서 열에너지가 발생해 매우 뜨거운 상태가 된다.
- 뜨거운 압축 프레온 가스는 응축기(1)를 지나게 된다. 응축기라고 하면 뭔가 장비 같지만 실제로는 그냥 가늘고 긴 관로가 꼬불꼬불하게 지그재그 모양으로 되어있고 뒤에서 방열팬이라는 선풍기가 돌고 있는 형태다. 라디에이터 맞다. 고밀도로 압축된 프레온 가스는 응축기를 지나는 과정에서 상온에서 응축[16]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응축되는 과정에서 프레온 가스는 주변으로 열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고[17] 방열팬에 의해서 이 열은 실외로 방출된다.
- 열을 계속 방출해서 상온이 된 프레온 액은 '팽창밸브(2)를 지나게 된다. 팽창밸브는 종류에 따라 형태가 여러가지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프레온 액이 지나는 관로가 갑자기 엄청나게 좁아져서 교착 현상을 의도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좁은 관로 이후에 관로가 다시 넓어지면 프레온 액의 밀도와 압력이 일시적으로 매우 낮아져서 반 기체인 안개 상태로 변한다.
- 안개 상태가 된 프레온 액은 '증발기(3)를 지나게 된다. 증발기의 형태는 응축기와 거의 똑같다. 밀도가 매우 낮아진 프레온 액은 이번에는 상온에서 증발[18]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프레온 액이 프레온 가스로 변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데[19] 이때 증발기 주변의 공기는 차가워진다. 이 차가워진 공기를 냉각팬이 실내로 분사하면서 실내의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 그리고 증발기를 지나면서 상온의 기체가 된 프레온 가스는 다시 압축기로 간다.
- 1~6 반복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차선 규정...펌 (0) | 2016.10.12 |
---|---|
노사연 바램 가사...펌 (0) | 2016.08.17 |
heat pump, outdoor unit compressor 1개로...펌 (0) | 2016.08.14 |
멀티 실외기, multi-split vs VRF system...펌 (0) | 2016.08.14 |
히트펌프, 보조히터, 인버터방식...펌 (0) | 2016.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