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트럭 차량은 짐싣고 오르막 올라가면 힘이 많이 필요합니다.
기어단이 세분화 되어야, 엔진의 최대 출력에 기어비를 맞추어 최대의
힘과 속력을 낼 수 있도록 기어가 여러가지 있습니다.
흔히 우리나라에 있는 볼보, 스카니아, 만, 이베코, 현대, 대우, 아시아 등을 보면
기어가 전진 8단, 10단, 14단, 16단 등의 미션(transmission)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렇다 보니 14단 이상의 경우 하이/로우(high/low) 레버가 두개 있지요..
하나는 "고속/저속"기어 단의 레버 버튼이고,
또 하나는 세분화 시킨 "반 단 기어"라 불리는 "하이/로"레바 버튼이지요...
10단은 기아손잡이의 기어 넣는 기어 단의 홈 모양이 HH 모양이고,
하이/로 버튼으로 1,2,3,4,5(low)/6,7,8,9,10(high) 조절하여 기어를 변속하거나,
1단(하이/로), 2단(하이/로), 3단...5단(하이/로)로 되어 있지요
하이로 버튼은 위/아래(앞/뒤)의 위치로 누르고, 클러치를 밟으면 변속이 되지요
그러나 14단 이상의 경우 일반적인 기아손잡이가 HHH 모양으로, 14단 이상을
변속하기엔 좀 구분이 힘들겠지요.
그래서 HH모양으로 "하이/로" 버튼과 "고속/저속" 버튼이
같이 있습니다.
고속과 저속으로 버튼을 설정한 후 그 기어에서 (하이/로)가 다시 적용되지요
ZF미션의 경우 저속/고속으로 기어변경을 한후
똑같은 위치의 기어손잡이 홈에
저속의 1,2,3,4 단 / 고속의 5,6,7,8 단이 있지요
여기에 각각의 하이/로 버튼으로 세분화 하여,
1단의(하이/로), 2단의(하이/로), ... 8단의(하이/로) 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진 16단이 되지요...
초보분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부분인데요 이튼,통일,zf 미션을 쉽게 설명하자면 이튼은 패스 ^^ 통일은 1-5단에 하이,로우라는 스위치를 단거구요(굳이 따지자면 후진2단 후진10단) zf는 통일미션을 8개로 좀더 세분하게 나눈겁니다 중립기어가 2개로 보시면 됩니다. 중립에서 좌측으로 한번치면 저속기어(후진,1-4단)4단하이로 가다가 중립으로 바꾸고 우측으로 한번치고 승용차 3단 넣듯 앞으로 밀면 5단이 들어 갑니다. 예를들어 중립에서 우측(고속기어)으로 한번치면 5-8단밖에 못넣습니다. 후진이나 1단-4단을 넣으려면 중립기어에서 좌측으로 한번 쳐주고 넣어야 합니다.
해볼때는 공차일경우 4H-6H-7L-7H-8L-8H 순서로 하고 다녔는데...낼부터는 roadstar님 말씀대로 하겠습니다...^^ 스카니아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전 차세대 ZF인데요. 같은 차종이라도 상태에 따라 토크가 다르기때문에 기어를 어떻게 넣으라는 공식은 없습니다.다만 평길에서 20톤 정도 풀이라면 3단L 공차시엔 4단L을 기본으로 출발한다 생각하시고 그 다음은 차고나가는 정도에따라 변속하시면 됩니다. 다른 미션에 비해 기어단수가 많아 한단이 차지하는 RPM대역이 작기때문에 반단변속을 그다지 많이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그보다 정말 주의 하실것은 7~80Km 이상의 고속에서 기어봉을 저단기어 (1,2,3,4단)쪽으로 치지 않도록 하세요. 어제도 카고차 기사중에 그렇게 해서 미션 쪼개먹고 오신분 봤습니다. 내리막 고속주행중엔 아주 잠깐이면 작살내고 7~8백 날아갑니다.
저가 현대91A 410마력 몰거든요,,밋션은ZF고요,변속방법은 저속,고속이 있는데,왼쪽으로치면 저속
1~4단,오늘쪽으로치면5~8단들어갑니다.그냥쉽게 말하면 왼쪽으로치면 5개구멍이 열리고 오른쪽으로
치면 또 4개의 구멍이 열리는거죠...
가장 기어가 많은 독일제 제트에프(ZF)미숀을 예로 든다면 전진 8단 후진 1단인데
하이(HI)기어가 8단 로우(LOW)기어가 8단, 후진기어 하이로우 까지 모두 해서 도합 18단입니다.
기어를 쓰는 식은 보통 빈차일 경우 5단로우 출발이나 4단 하이 출발해서 5단로우 출발은 5단하이
6단하이 7단하이 8단로우 8단하이 (평지로서 차가 탄력이 붙는데 아무런 장애도 없는 상태일때) 그
렇게 많이들 씁니다.
통일미션= 총 10단 : 가장 잘 들어가고, 쉬운 조작 방법. 단마다 로우와 하이.
이튼미션= 총 10단 : 1단에서 5단까지는 로우, 6단은 5단에서부터 하이로 하면 6 7 8 9 10 단.
ZF는 죄측이 1~4단이고,중립에서 오른쪽으로 툭치면 5~8입니다. 기어야 익숙하기나름이지 쉽구어려
운건 똑같겠습니다만,, 제생각으로 ZF의 단점이랄가.. 즉,짐싣구 고바위차다가 5단~4단으로 다운시
키기가 타이밍이 좀 애매합니다.. 쉽게말하자면,, 5단에서 4단으로 다운시킬라면,, 5단에서 기어를
빼고,중립상태서 좌측으로쳐주고,4단을넣다보면,, 탄력이 다죽어서,,잘못하면 차세웁니다~`ㅡ` 물
론 익숙해지면야... 저는처음ZF할때 5단에서 아예 탄력죽는거감안해서 3단하이로 다운시키니까 무
난하더군요^^ 참고로,,하이로우포함 16단입니다 ZF는...
zf미션도 알피엠 안맞추면 제대로 잘 안들어가요. 그리고 억지로 밀어넣으면 미션보호차원에서 그
런지 기어봉만 푹 들어가지 기어가 안들어가더군요. 제가 보기엔 zf미션이 더 쉬울듯.. 자기에게
익숙해지면 이튼밋션은 클러치 안 밟아도 기어 쏙쏙 잘 들어간다고 하대요..
통일밋션하고 이튼밋션은 알피엠만 정확히 맞춰주면 스타트 할때 말고는 클러치 안밟아도 변속 잘
됩니다.
저는 차세대인데 넣기는 쉬운것 같아요..단점이라면 4단에서 5단 바뀔때가 시간이 좀길어서 경사로
출발시에 탄력이 좀죽는다는게 단점이라면 단점 아닐까요....
음 기어를 자주 바꿔서 글치... 도어다닐땐 괜찮더라구여! 근데 후진안들어가면 바로손보시길~~ 뺑
이친 아픈 기억이있어서리~~~ㅋㅋㅋ
후진기아가 안들어 갈때에는 클러치를 밣은 상태에서 하나, 둘, 셋 하고 기어를 넣어면 소리없이
들어갑니다.
zf미션 중립이 두개, 좌로치면 R,1,2,3,4 우로치면 5,6,7,8 + 반단스위치
스카니아, 볼보에 있는 기어, 저속.고속단추, 반단단추있고 crawler기어라고 초저속기어가 있음.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1-5, 위로 올리면 6-10, 중간에 스위치는 클러치판을 살짝 멈추게 잡아주는 카운터브레이크, 꾹 누르고 스타트기어 넣어준다.
쌍용 이튼미션이죠..정확하게(EATON) 통상 인턴미션이라는데 정확하게 이튼사에서 만든 이튼미션.... 제가 아는대로 알려드리죠... 그럼 훨씬 조작이 부드러울껍니다.. 카운터 샤프트 브레이크는 젤 처음 스타트할때 기어 치합이 부드럽게 하기위해 미션자체의 공회전 속도를 줄여주는것이죠.. 현재 있는 쌍용이튼미션차량은 거의 대부분 카운터샤프트브레이크(이하 카운터..)가 다 닳아서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죠.. 정비공장가서 카운터 갈면 훨씬 성능이 나아지죠... 가격은 대략 2~3만원정도 .. 다음 기어 치합은 짐실었을때 3-5-7-8-9-10순이고 빈차일경우는 4-6-7-8-9-10순으로 통상 변속하는데요... 도로상황에 따라 틀리죠.. 가장 중요한것은 더블클러치를 사용하고 다음 변속단수로 변속했을때의 RPM보다 약200RPM 높게 RPM을 맞추면 가장 변속이 용이합니다.. 그렇게 정확히만 맞으면 클러치를 밟지 않고도 기어가 쏙 들어가죠.. 근데 노클러치는 왠간하면 쓰지 마세요.. 그렇게 RPM을 정확하게 맞추기가 쉽지 않거든요. 예를 들면 3단 스타트 다음 변속단수 5단 3단 스타트했을때의 최고 RPM1800~2000까지 올라가면 다음 4단같은경우로 변속할때는 1500~1600정도 맞춰야 되지만 5단으로 변속할때는 1100~1200사이 3단 기어빼고 빠르게 더블클러치 밟고 5단 넣으면 그냥 쏙.. 한템포 늦었다싶으면 악세레이터 페달 살짝밟아서 1100~1200사이로 맞춰서 쏙...
10단 고속주행중 오르막길을 만나 탄력이 줄면 통상 80키로 1600~1700정도에서 속도가 줄어 1200~1300정도 떨어지면 10단빼고 RPM약 1600~1700정도 올려서 9단넣으면 쏙.. 이때 악세레이터 페달은 2번정도 나눠서 올려주면 더 잘들어가죠.... 기억할것은 다음 단수로 변속할때 이 차량의 RPM이 어느정도 일까를 미리예측해야 가장 쉽게 들어갑니다.. 이것만 아시고 열심히 연습하세요.. 그럼 많이 수월하죠.. 항상 더블클러치를 쓰기 때문에 다른 차량에 비해 시내길 오래 하면 도가니가 좀 아픈게 흠이죠... 저도 그래서 본선하다 장거리 다녀요.. 기어 넣기 짱나서.... 담번엔 꼭 오토로 차바꿔야지.아~~부러버라.. 도움이 됐나모르겠네요.
쿨매니아님 답변확실합니다... 이튼은 고속도로에서는 쓰기수월한데 시내에서는 많이지치죠
참고로 카운트 브레이크는 정지시 첫 기어 넣을때만 사용합니다 주행중에 사용금지, 실수로 사용하면 소모가 빨리오지요, 카운트가 많이 닳으면 첨 기어넣을때 잘 안들어가지요, 그리고 고장났을땐 진짜 안들어가고요 이때는 시동을 끄고 스타트기어 넣어놓고 클러치 밟고 시동후 출발하면 됩니다 (응급조치일뿐,,,)
쿨매니아님 좋은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안전운전 하시구요, 건강하세요.
형님 ㅎㅎ 보통 카운터는6개월정도면 교체하시는게...글구 제가수리했을땐 10만원했었는데...쿨매니아님께선 3만원.. 아무튼 청개구리님말씀처럼 실수로눌루면 빨리닳아요..글구 한번에 눌러서 팅기듯이...글구잘안들어가면 그냥 클러치밟고 한10초정도지나서 기어넣으면 들어가져요쉽게
글구 시내운행땐 완전히 정지해서는 신호바낄때쯤해서 미리 클러치밟고있음 기어넣기편해요...카운터 안쓰고..글구 카운터는 중립에서 첨기어넣을때 한번만....
인튼 미션 아주튼튼합니다 타차량같으면 벌서 박살났을 겁니다 알피엠과 주행속도가 딱맞아야 들어갑니다 그러니깐 알피엠을 맞추시려면 후까치를 밟으며 기어는 계속밀고 있어보세요 그렇게 해서 잘들어가는 알피엠에 넣으면 처음하시는 분들은 숙달이 빨라요 ....초보일땐 울고 싶을 정도일겁니다 ... 차체가덜커득하고 느낌이 올정도로 기어를 넣어도 미션 안박살납니다 더블크러치밟으면 훨신 낮죠 ...
클러치 사용안해도 무방합니다
저는 예전에 현대 5톤 타고다닐때도 그랬고...저희집 삼성카고도 그랬고...클러치 잘 안쓰고 그냥 RPM맞춰서 타고다닙니다...^^;;;;노클러치는 레이싱 기술로도 쓰이는데...제대로만 맞추면...클러치판 내구성도 살리고...여러모로 좋죠...^^아...그리고 메뉴얼등에서 빠지는게 당연할겁니다...더블클러치 용도는 두번밀어줌으로써 좀더 깊게 밀어줍니다...역시 클러치작동에는 좋으나...더블클러치는 차량에 손상위험이 없습니다만..노클러치는 정확한 방법을 모르면...싱크로에 타격도 클뿐더러 기어부에 손상이 가기때문에 레이싱 교본 빼고는 본적이 없는거같습니다...^^;;;
더블클러치는 엔진측과 구동측 기어의 회전수를 맞춰주는 싱크로시스템이 없거나 차량의 노후와 함께 싱크로 매쉬등이 마모되어 제기능을 못하게 되어 기어변속이 원활하지 못할때 인위적으로 양측 기어의 회전수를 맞춰주는 테크닉입니다. 오래된 차량으로 조수생활부터 시작하신 분들은 대부분 맞아가며 익혀왔지만 최근엔 차량의 성능개선으로 인해 운전경력이 많지 않으신 분들은 모르거나 잘못 알고 계신 경우가 많습니다. 시프트 다운시에 주로 쓰며 방법은 일단 클러치 밟고 기어를 뺀 다음 클러치 놓고 순간적으로 알피엠을 올린 후 변속 후 예상되는 알피엠 대역에 이르렀을때 다시 순간적으로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넣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변속 시간도 길고 서툴겠지만 습관이 되다보면 별 생각없이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손각락 두개로만 기어봉 잡고도 이루어집니다.변속기어 자체가 망가지지 않은 한은 이 방법으로 변속되지 않는 밋션은 없습니다. 특히 10여년 쯤 나이를 먹거나 오래된 이튼밋션을 쓰는 차량은 반드시 필요한 테크닉이며 회전수 맞추기가 능숙해지면 나중에는 클러치를 밟지 않고 기어를 변속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하이 로우는 안되고요. 통일밋션에 비해 이튼이나 ZF는 좀 더 숙련기간이 요구됩니다.
쌍용18톤축개조차에달린 이튼밋션10단입니다...
짐실렸을때 변속은 보통 3단>5단>하이올리고6단(로우1단자리)>7단>9단>10단 순서로변속하구요
빈차일때는 5단로우출발>하이올리고7단>8단>9단>10단순서로합니다...
참고로 윗사진의 기어는 예전에저희아버지차였습니다...
쌍용 이튼 미션차량의 기어 치합요령에 대해서 잘 아시는분???
어떤분은 노클러치로 조작한다 그러고 어떤분은 더블 클러치사용한다 그러고....
왜 이튼사에서는 기어를 이런식으로 만들어 놓았을까요.
시내길 차가 복잡한곳에서는 기어 치합에 제대로 안되거나 한템포가 늦어서 애먹을때가
간혹있는데 쌍용트랙터에 올라가있는 이튼미션차량 기어 치합을 예술적으로 부드럽게
힘안들이고 하실수 있는분은 자세히 글좀 올려주세요...
글구,,, 혹 미션을 개조를 한다거나 해서 잘 치합되도록 하는 방법아시는분은
안계신가요...
저도 이튼밋션은............ ㅠ,ㅠ 울고 싶포요... 제칭구눈 보니깐 노클러치 사용 하든데... 억수로 스므스 하게...
전에 한 4개월 이튼밋션 운전 했는데 두개 번갈아 가면서 사용 해보았습니다. 더블 클러치 밟아도 되고 노클러치로 해도 되고. 단 rpm만 확실히 맞추어 진다면 가능 합니다. zf보다가는 힘이 좀 딸리지만 일반 통일밋션보다가는 백배 좋은거 같습니다..저의 4개월동안의 짧은 소견이었습니다..
저도 이튼 사용해봤는데 뭐가 잘못되었는지 통일보다 더 잘들어 가더라구요.
이튼 밋션은 저단 1~5단 고단 6~10단 입니다,, 처음에는 밋션 부서지는거 같아 맘대루 하지두 못해 망설이다가 차세우죠,, 21살떄 경험으로 ㅡㅡ;; 이튼밋션은 rpm 만 맞추시면 됩니다,, 고단으로 올릴때는 1700 에서,, 저단으로 내릴때는 1400 이렇게 생각 하시면 되구요
고단으로 올릴때 3단 출발,, 알피엠1700에서 클라치 밣구 빼구 다시 클러치 밣으면서 5단으로 5단에서 일단 고단으로 바꾼담 알피엠 1700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7단 ~~ 8단 ~~~ 9단~~~ 10 단 입니다 1700에서 변속 되니까 조금 오바 해서 밣으시면 타이밍 마추시기 쉬울것입니다,
빈차일때는 4단 출발 6단.,8단,,9단,,10단 입니다,, 저단 변속시, 10단에서 알피엠이 1400으로 뜰어 지면 클러치 밣구 기아 중립,,악셀 밣아서 알피엠 1700 까지 올려서 다시 클러치 밣구 9단,,, 이런 식으로 낮추시면 됩니다,,어려운가 ㅡㅡ;; 글솜씨가 없어서,,
그냥, 편하게 낮출때는 알피엠 올릴때 악셀 꾹 밣아서 1700보다 조금더 올라가게 해서 하시면 잘들어 가구요 노 클러치로 기어 올릴때나 내릴떄 넣는거는 알피엠 1800~1700 사이에 밀으면 들어 갑니다, 글구 손에 익으시면 이튼 만큼 편한게 없습니다,전 zf 대우차 하는데요 가끔 이튼 타면 더 편해요,
이튼밋숀!굿인데??한탬포 천천~히해보셔요..
이튼밋숀을 안해보신분들을 무시하는것이 아닙니다.첨해보신분들은 좀 따라댕겨야합니다.쪽팔리다생각마시구요 첨해보신분들은 따라다니세요...
이튼.....ㅡ.ㅡ 울고싶을정도로 정떨어지는.....차버리고 도망고픈적이 한두번이 아님...
ㅎㅎㅎ..이튼 정말 좋지요 편하구...지금 머 오토가나오니그런데 노클러치 장거리다닐땐 환상이지요...첨 배울때가 상당히 어렵지만요...전 3개월만에 노클러치로 타다가 미션내렸지요... 손에익으면 어떤밋션이라두 다 되지요...
참 글구 노력없이 이튼을 알려구한다면 좀 무리겠지요...젤루어려운건데...운행하시면서 속력이 얼마일때는 몇단에 알피엠얼마라는걸 보시구 그알피엠속도기어단수를알고있어야되요...참고하세요...제가볼땐 다소 고생좀하셔야 익숙해질거예요......
*스플리터변환스위치 H, L
레이지스위치 L 1-4, H 5-8
* 저단기어 1~4단은 속도가 어느정도 붙었을때 쓰면 미션 다 나감.
'자동차와면허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화물과 지입... 이삿짐센터... (0) | 2007.05.01 |
---|---|
버스 밧데리 위치... (0) | 2007.05.01 |
더블클러치? (0) | 2007.04.28 |
화물차운전 먹고살만한건지? 펌. (0) | 2007.04.28 |
대형차량운전, 운행에대한 Q&A... 펌. (0) | 2007.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