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26. 혈압약의 작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십시오 http://www.newscience.co.kr/sub/01_08_11.php 자료.
이뇨제 (diuretics)
교감신경차단제 (adrenergic inhibitor, alpha and beta blocker)
칼슘길항제 (calcium antagonist)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 inhibitor)
직접 혈관확장제 (direct vasodilator)
이뇨제 (diuretics)
이뇨제는 수분과 염분을 신장을 통해서 체외로 배설하는 것을 촉진하는 약입니다. 순환혈장의 양을 줄여서 혈압을 낮추나 혈장량은 그 후 회복되므로 그 이후의 혈압강하의 기전은 자세히는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혈류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압력(혈압) = 저항(혈류저항) x 흐름(혈장량)' 입니다).
신장 기능이 유지되고 (혈청 크레아티닌 2.0 mg/dl 이하) 고혈압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 단독으로 쓰입니다. 순환혈장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다른 고혈압치료제에 보조적으로 같이 쓰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뇨제 (특히 thiazide 계열) 는 저칼륨혈증, 당내성의 저하, 고요산혈증, 고칼륨혈증, 고지질혈증 등 생화학적 부작용을 일으키나 대부분 심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뇨제는 크게 싸이아자이드 (thiazide) 계열, non-thiazide 인 설폰아미드 (sulfonamide- related) 계열, 루프 이뇨제 (loop diuretics), 칼륨보존성 이뇨제 (potassium- sparing agent) 로 나뉩니다. thiazide 계열인 hydrochlorothiazide 가 가장 널리 쓰이는 이뇨제이며 매우 저렴하다는 (개당 보험약가 10 원 미만) 장점이 있습니다. non-thiazide 계열인 indapamide 는 가격은 비싸나 생화학적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loop diuretics 로는 furosemide 가 대표적이며 이뇨효과가 매우 강력하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어도 효과를 발휘하므로 신부전환자의 고혈압 치료에 중요한 약제입니다. pottasium-sparing agent 로는 spironolactone 이 많이 쓰이며 이뇨 효과 외에 thiazide 나 loop diuretics 등 다른 이뇨제에 의한 요중 칼륨 손실을 막기 위하여 흔히 함께 처방됩니다.
교감신경차단제 (adrenergic inhibitor)
교감신경에는 혈관의 긴장상태나 심장의 박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호는 신경들이 연결되는 장소인 시냅스에서 신경전도 물질에 의하여 전달되며 신경전도물질의 수용체 (receptor) 에는 alpha 와 beta 두 가지가 있습니다. 교감신경차단제는 이 alpha 나 beta 수용체 (receptor) 에 작용하여 신경전도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1) beta 차단제 (beta blocker) : 혈압을 낮추는 작용 외에 급성심근경색증 등 관상동맥질환에서 심장을 보호하고 항부정맥 효과가 있는 등 심장에 좋은 작용이 많아 널리 쓰이게 된 혈압강하제입니다. 또한 alpha 차단제와 달리 졸음, 구갈(목이 마름), 임포턴스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심장에 특이적인가 (beta 수용체에는 beta-1 수용체와 beta-2 수용체가 있으며 심장에는 주로 beta-1 수용체가 있습니다), 차단작용 외에 교감신경자극작용 (ISA, intrinsic sympathetic activity) 도 있는가, 지질용해성이 어떤가에 따라서 몇 가지로 분류됩니다.
beta 차단제는 beta 수용체를 차단하는 작용에 따라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beta 수용체는 호흡기계에서는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천식 등 호흡기질환에서 beta 차단제를 사용하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 beta 수용체는 혈관에서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동맥 경화 등으로 말초혈관이 좁아진 경우 이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에 좋은 작용이 많으나 심장의 수축력과 박동수를 모두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심부전이 심한 경우에 사용하면 오히려 심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저혈당 상태에서 혈당을 증가시키는 기전에 교감신경계의 작용이 중요한데 beta 차단제가 이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질환에서 beta 차단제가 금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http://www.newscience.co.kr/sub/01_08_11.php 자료.
beta 차단제는 중성지방 수치를 높이고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당장은 문제가 안되어도 장기적으로는 혈청 지질을 악화시켜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등의 부작용을 낳을 우려가 있습니다. 교감신경자극작용 (ISA, intrinsic sympathetic activity) 이 있고 심장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beta 차단제는 이러한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되어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보다 좋은 약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alpha 차단제 : 혈압을 낮추는 작용외에 전립선과 방광의 긴장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노인 등 전립선비대가 있는 고혈압 환자에 특히 좋은 약입니다. 그 외에 beta blocker 와 달리 심장에 대하여 억제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육체적인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혈청 지질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잇점 등이 있습니다.
3) 중추신경 alpha 차단제 : 중추신경계의 alpha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계 전체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methyldopa 는 혈압강하작용 외에도 교감신경계의 억제에 의한 졸음, 구갈(입이 마름), 임포턴스 등의 부작용이 있으나 태아에 가장 안전한 혈압약으로 생각되므로 임신중의 고혈압 환자에 쓰입니다. clonidine 은 hydralazine 보다 부작용이 적습니다.
4) alpha/beta 차단제 : labetalol 은 alpha 와 beta 수용체를 모두 차단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carvedilol 도 같은 기전입니다.
칼슘길항제 (Calcium antagonist)
혈관과 심장의 세포막의 칼슘 채널 (calcium channel) 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춥니다. 이러한 혈관에 대한 작용 외에 심장에 작용하여 심장의 수축력을 억제하고 박동수를 낮추는 작용도 있습니다.
칼슘길항제 중 혈압약으로는 널리 쓰이는 것은 nifedipine, amlodipine, felodipine 등 dihydropyridine 계열 약제입니다. nifedipine 은 반감기가 짧으며 (반감기가 긴 제형도 있습니다) 하루 세 번 정도 자주 복용할 필요가 있으나 혈압을 급히 낮출 필요가 있을 때 경구투여로 효과를 발휘하므로 유용하게 쓰이는 약입니다. 비교적 새로운 약제인 amlodipine 과 felodipine 은 nifedipine 보다 심장에 대한 억제작용이 적고 작용기간이 길어 널리 쓰입니다.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이 약의 효능을 검증한 연구에서 작용기간이 짧은 칼슘길항제는 오히려 해가 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아직 확실하게 검증되지는 않았으나 현재 이 결과에 따라서 nifedipine 등 작용기간이 짧은 칼슘길항제는 급성심근경색 등 허혈성심장질환 환자에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verapamil 은 혈관에 대한 작용은 적고 심장의 박동수 및 수축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한 약으로서 맥이 빠른 부정맥의 치료에 쓰입니다. diltiazem 은 효능이 verapamil 과 dihydropyridine 계열의 중간에 위치하는 약입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심장이나 혈관에 직접 작용하지는 않고,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 (renin - angiotensin - aldosterone) 이라는 인체에서 혈압을 올리고 염분과 수분을 축적시키는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제입니다. 고혈압에서 심장과 신장에 대하여 보호작용이 있으며 또한 심부전에도 도움이 됩니다.
주된 부작용은 마른 기침으로 약 10-20% 에서 나타납니다. 기침 때문에 이 약을 쓰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직접 혈관확장제 (direct vasodilator)
칼슘 길항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도 혈관확장제에 속하나 hydralazine 과 minoxidil 은 말초혈관에 직접 작용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혈압이 떨어짐에 따라 반사적으로 체액이 축적되고 심장박동수가 증가하므로 이뇨제나 교감신경차단제를 같이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hydralazine 은 현재는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minoxidil 은 신부전 환자에 효과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며 털이 많이 나는 부작용 덕분에 발모제로 쓰이기도 합니다.
http://www.newscience.co.kr/sub/01_08_11.php 자료.
이뇨제 (diuretics)
교감신경차단제 (adrenergic inhibitor, alpha and beta blocker)
칼슘길항제 (calcium antagonist)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 inhibitor)
직접 혈관확장제 (direct vasodilator)
이뇨제 (diuretics)
이뇨제는 수분과 염분을 신장을 통해서 체외로 배설하는 것을 촉진하는 약입니다. 순환혈장의 양을 줄여서 혈압을 낮추나 혈장량은 그 후 회복되므로 그 이후의 혈압강하의 기전은 자세히는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혈류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압력(혈압) = 저항(혈류저항) x 흐름(혈장량)' 입니다).
신장 기능이 유지되고 (혈청 크레아티닌 2.0 mg/dl 이하) 고혈압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 단독으로 쓰입니다. 순환혈장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다른 고혈압치료제에 보조적으로 같이 쓰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뇨제 (특히 thiazide 계열) 는 저칼륨혈증, 당내성의 저하, 고요산혈증, 고칼륨혈증, 고지질혈증 등 생화학적 부작용을 일으키나 대부분 심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뇨제는 크게 싸이아자이드 (thiazide) 계열, non-thiazide 인 설폰아미드 (sulfonamide- related) 계열, 루프 이뇨제 (loop diuretics), 칼륨보존성 이뇨제 (potassium- sparing agent) 로 나뉩니다. thiazide 계열인 hydrochlorothiazide 가 가장 널리 쓰이는 이뇨제이며 매우 저렴하다는 (개당 보험약가 10 원 미만) 장점이 있습니다. non-thiazide 계열인 indapamide 는 가격은 비싸나 생화학적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loop diuretics 로는 furosemide 가 대표적이며 이뇨효과가 매우 강력하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어도 효과를 발휘하므로 신부전환자의 고혈압 치료에 중요한 약제입니다. pottasium-sparing agent 로는 spironolactone 이 많이 쓰이며 이뇨 효과 외에 thiazide 나 loop diuretics 등 다른 이뇨제에 의한 요중 칼륨 손실을 막기 위하여 흔히 함께 처방됩니다.
교감신경차단제 (adrenergic inhibitor)
교감신경에는 혈관의 긴장상태나 심장의 박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호는 신경들이 연결되는 장소인 시냅스에서 신경전도 물질에 의하여 전달되며 신경전도물질의 수용체 (receptor) 에는 alpha 와 beta 두 가지가 있습니다. 교감신경차단제는 이 alpha 나 beta 수용체 (receptor) 에 작용하여 신경전도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1) beta 차단제 (beta blocker) : 혈압을 낮추는 작용 외에 급성심근경색증 등 관상동맥질환에서 심장을 보호하고 항부정맥 효과가 있는 등 심장에 좋은 작용이 많아 널리 쓰이게 된 혈압강하제입니다. 또한 alpha 차단제와 달리 졸음, 구갈(목이 마름), 임포턴스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심장에 특이적인가 (beta 수용체에는 beta-1 수용체와 beta-2 수용체가 있으며 심장에는 주로 beta-1 수용체가 있습니다), 차단작용 외에 교감신경자극작용 (ISA, intrinsic sympathetic activity) 도 있는가, 지질용해성이 어떤가에 따라서 몇 가지로 분류됩니다.
beta 차단제는 beta 수용체를 차단하는 작용에 따라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beta 수용체는 호흡기계에서는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천식 등 호흡기질환에서 beta 차단제를 사용하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 beta 수용체는 혈관에서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동맥 경화 등으로 말초혈관이 좁아진 경우 이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에 좋은 작용이 많으나 심장의 수축력과 박동수를 모두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심부전이 심한 경우에 사용하면 오히려 심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저혈당 상태에서 혈당을 증가시키는 기전에 교감신경계의 작용이 중요한데 beta 차단제가 이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질환에서 beta 차단제가 금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http://www.newscience.co.kr/sub/01_08_11.php 자료.
beta 차단제는 중성지방 수치를 높이고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당장은 문제가 안되어도 장기적으로는 혈청 지질을 악화시켜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등의 부작용을 낳을 우려가 있습니다. 교감신경자극작용 (ISA, intrinsic sympathetic activity) 이 있고 심장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beta 차단제는 이러한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되어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보다 좋은 약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alpha 차단제 : 혈압을 낮추는 작용외에 전립선과 방광의 긴장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노인 등 전립선비대가 있는 고혈압 환자에 특히 좋은 약입니다. 그 외에 beta blocker 와 달리 심장에 대하여 억제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육체적인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혈청 지질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잇점 등이 있습니다.
3) 중추신경 alpha 차단제 : 중추신경계의 alpha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계 전체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methyldopa 는 혈압강하작용 외에도 교감신경계의 억제에 의한 졸음, 구갈(입이 마름), 임포턴스 등의 부작용이 있으나 태아에 가장 안전한 혈압약으로 생각되므로 임신중의 고혈압 환자에 쓰입니다. clonidine 은 hydralazine 보다 부작용이 적습니다.
4) alpha/beta 차단제 : labetalol 은 alpha 와 beta 수용체를 모두 차단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carvedilol 도 같은 기전입니다.
칼슘길항제 (Calcium antagonist)
혈관과 심장의 세포막의 칼슘 채널 (calcium channel) 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춥니다. 이러한 혈관에 대한 작용 외에 심장에 작용하여 심장의 수축력을 억제하고 박동수를 낮추는 작용도 있습니다.
칼슘길항제 중 혈압약으로는 널리 쓰이는 것은 nifedipine, amlodipine, felodipine 등 dihydropyridine 계열 약제입니다. nifedipine 은 반감기가 짧으며 (반감기가 긴 제형도 있습니다) 하루 세 번 정도 자주 복용할 필요가 있으나 혈압을 급히 낮출 필요가 있을 때 경구투여로 효과를 발휘하므로 유용하게 쓰이는 약입니다. 비교적 새로운 약제인 amlodipine 과 felodipine 은 nifedipine 보다 심장에 대한 억제작용이 적고 작용기간이 길어 널리 쓰입니다.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이 약의 효능을 검증한 연구에서 작용기간이 짧은 칼슘길항제는 오히려 해가 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아직 확실하게 검증되지는 않았으나 현재 이 결과에 따라서 nifedipine 등 작용기간이 짧은 칼슘길항제는 급성심근경색 등 허혈성심장질환 환자에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verapamil 은 혈관에 대한 작용은 적고 심장의 박동수 및 수축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한 약으로서 맥이 빠른 부정맥의 치료에 쓰입니다. diltiazem 은 효능이 verapamil 과 dihydropyridine 계열의 중간에 위치하는 약입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심장이나 혈관에 직접 작용하지는 않고,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 (renin - angiotensin - aldosterone) 이라는 인체에서 혈압을 올리고 염분과 수분을 축적시키는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제입니다. 고혈압에서 심장과 신장에 대하여 보호작용이 있으며 또한 심부전에도 도움이 됩니다.
주된 부작용은 마른 기침으로 약 10-20% 에서 나타납니다. 기침 때문에 이 약을 쓰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직접 혈관확장제 (direct vasodilator)
칼슘 길항제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도 혈관확장제에 속하나 hydralazine 과 minoxidil 은 말초혈관에 직접 작용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입니다. 혈압이 떨어짐에 따라 반사적으로 체액이 축적되고 심장박동수가 증가하므로 이뇨제나 교감신경차단제를 같이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hydralazine 은 현재는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minoxidil 은 신부전 환자에 효과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며 털이 많이 나는 부작용 덕분에 발모제로 쓰이기도 합니다.
http://www.newscience.co.kr/sub/01_08_11.php 자료.
출처 : '뭐든 잘되는 분은 뭔가 있다'..
글쓴이 : 다이어트피부미인 원글보기
메모 :
'의료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더 쉽고, 더 빠르고, 더 정확한 `원터치` 혈당측정기~! (0) | 2009.02.08 |
---|---|
혈당과 베타차단제...펌 (0) | 2008.12.23 |
산전 e-바우처제도...펌 (0) | 2008.12.06 |
당뇨강의 누네..펌 (0) | 2008.12.03 |
[스크랩] 아큐첵 혈당계, 혈당 측정기, 퍼포마 (Accu-chek Perfoma) (0) | 2008.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