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2V 선(메인6p의 굵은 적색)
▶ 기능 : 차량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
전원
- 테스트기를 대면 항시 전원이 공급되는 선
▷ KEY OFF시 또는 ACC상태 → 테스트기에서 12V를
가리킴
▷ KEY on(2단)상태 → "
▷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 → "
* 차량에 따라 (+)12V 선이 2개인 경우도 있음.
이때에는
한 선만 연결하면 된다.
2. IG1선(메인6P의흑(적)색)
▶ 기능 : 원격시동 시 스타트 모터를 제외한 시동장치 전반에 걸쳐
전원을 공급함.
▷ KEY OFF시 또는 ACC상태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 KEY on(2단)상태
→ 테스트기에서 12V를 가리킴
▷ 스타트 모터를 돌릴 때 → 테스트기에서
12V를 가리킴
3. IG2선(메인 6P의 흑(백)색)
▶ 기능 : 히터나 에어컨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ACCESSORY전원임.
- 히터나 에어컨 등 시동 외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이므로,
시동을 걸때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 됨.
- 시동을 걸 때 히터나 에어컨은 작동정지상태로 있으며 시동이 걸린 후 다시 작동이 됨.
▷ KEY OFF시 또는
ACC상태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 KEY on(2단)상태 → 테스트기에서 12V를 가리킴
▷ 스타트 모터를 돌릴 때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4. 스타트모터선(메인 6P의 흑(황)색)
▶ 기능 : 시동시 스타트 모토로 전원을 공급하여
줌.
- 엔진룸에 있는 스타터 모터를 가동시켜주는 전원이므로 스타터 모터가 돌지 않을 때에는
항상 0V 임.
▷ KEY OFF시 또는 ACC상태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 KEY on(2단)상태 →
테스트기에서 2V를 가리킴
▷ 시동을 걸때 만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 시동이 걸려 있을 때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5. (-)
어스선(메인 6P의 흑색)
▶ 전원은 매우 중요하며 자체에 접지 시킬 때 페인트 도장이 되어 있는 부분을 피해서 확실히
접지가 되는 부분에 접지 시킨다.
6. 트렁크오픈선(메인 10P의 적색)
▶ 트렁크 열림 시에 차량의 솔레노이드 12V의 전원을 공급해서
트렁크를 열게 하는
선으로 좌측 뒤로 가는 배선뭉치에서 찾는다.
▷ 트렁크 스위치를 눌렀을 때(트렁크가 열림) →
테스트기에서 12 V를 가리킴
▷ 트렁크 스위치를 누르지 않았을 때 → 테스트기에서 0 V를
가리킴
* 마그네트를 구동하는 선으로 선이 굵다.
* 케이블 식으로 트렁크 오픈 하는 차는 연결하지 않는다.
(세피아, 아반떼, EF소나타, 갤로퍼......)
7. 깜박이는 선(10P의 황(적)색 두선)
▶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조작하여 깜박이가 작동할 때
0V,12V를 반복하는 선.
*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중립일 때에는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
중립일 때 작동하는 선은
비상등선이다.
8. 도어감지센서선(10P의 청색)
▶ 도어의 열림, 닫힘을 감지하는 선으로 운전석 사이드 배선뭉치에서
찾는다.
▷ 문이 열렸을 때(실내등 켜짐)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 문이 닫혔을 때(실내등 꺼짐) →
테스트기에서 12v를 가리킴
* 차종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뒷문의 센서 선이 각각 다른 경우가 있다.
모든 것이
감지되는 공통 선을 찾아야 한다.(특히 고급 차)
* ETACS(에탁스:지연회로)가 있는 차종은 실내등이 천천히 소등됨.
-
KEY on에 두고 찾으면 실내등 빠르게 작동.
9. 트렁크센서선(10P의 백색)
▶ 트렁크의 열림, 닫힘을 감지하는 선으로 운전석 사이드 배선뭉치에서
찾는다.
운전석 왼쪽 뒤로 가는 배선뭉치에서 찾는다.
▷ 트렁크가 닫힌 상태 → 테스트기에서 12V를 가리킴
▷ 트렁크가 열린 상태 → 테스트기에서 0V를 가리킴
10. 제너레이다 선(10P의
보라색)
▶ 발전기에는 "L"단자가 있다. 이것은 충전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단자이며,
또 시동이
걸려야만 출력이 나온다.
1) 찾는 방법
① 계기판 밑 안쪽 배선을 찾는다.
② 작업 여건이 좋지 않은 차는 제너레이터
"L"단자에 직접 연결한다.
2) 확인 방법
▷ KEY OFF → 테스트기의 전압이 0V
▷
KEY 2단(IG on) → 테스트기의 전압이 2 ~4V
▷ 시동이 걸린 후 → 테스트기의 전압이
12~14V
3) 엔진 시동이 완료되었는데도 스타트 모터가 계속 돌아감.
- 제너레이터 고장, 오배선, 작업불량
4)
제너레이터 정상 유무 확인 방법
① 시동전과 시동후의 밧데리 전압을 확인한다.
- 시동 전 밧데리 전압 : 12 ~
13V
- 시동 후 밧데리 전압 : 12.5V 이하 → 제너레이터 고장
13.2V ~ 14.5V → 정상
15V 이상
→ 제너레이터 고장
② 충전 경고 등(+ ,-)이 KEY on시에는 들어오지만 시동 후에는 없어지는지 확인.
③ 충전
경고 등이 시동 전과 시동 후 어느 때고 나타나지 않음.
→ 제너레이터 고장, 충전경고램프 단락
11. 유압경고등선(Charge Warning, 메인 10P의 보라색)
▶ 테스트 램프기로 시동 걸은
상태에서 테스트 램프에 불이 희미하게 들어오고 계기판에
유압 경고등 만 점등되는 선
★ 10번, 11번 두선 중 한 선만 연결하면 됨.
'자동차와면허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차량은 발전기 안에 레귤레이터 내장입니다...펌 (0) | 2012.12.13 |
---|---|
배터리, 제너레이터 확인 방법...펌 (0) | 2012.12.13 |
자동차배터리 수명...펌 (0) | 2012.12.11 |
알터네이터와 레귤레이터...펌 (0) | 2012.12.11 |
제너레이터 알터네이터 alternator B단자 전압측정...펌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