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문법에 대해 우선 아셔야 할 것 같네요. 자세한 메뉴얼은 아래 링크에서 자막으로 검색하신 후 메뉴얼 파일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http://premium3.joins.com/zboard/zboard.php?id=data2

 

SYNC Start=30020은 자막 "응"의 시작 지점이죠. 단위는 ms(milli second : 1/1000초)입니다.

SYNC Start=31007><P Class=KRCC> 는 자막 "응"이 끝나는 지점이겠죠. 문법에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저 위의 내용은 그렇습니다. (html 문법에서는 다시 </P>로 닫아주는 것이 정상입니다만...)

 는 아시다시피 공백 문자입니다. 자막 보실때 실제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P Class=KRCC에서 P는 html 태그의 p 태그입니다. 문단 나눌때 사용하죠. Class=KRCC는, 질문하신 분께서 누락하셨겠지만 소스 상단의 style에 이미 정의가 된 KRCC가 있을 겁니다. 즉 글꼴(폰트)의 이름이나 크기, 색깔 등을 지정하게 됩니다. 모든 자막마다 이렇게 태그를 구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style에서 한 번 선언한 후, class=KRCC로 간단히 지정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막 제작하실려면(혹은 싱크하실려면) html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아셔야 할 것입니다.

 

(추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준은 실제 음성(싱크를 맞추고자 하는 자막)이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부연하면, 제가 말씀드린 시작 지점은 위에 예로드신 "응"이라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영상의 "응"이라는 음성과 자막의 위치가 맞아야 할 것이므로, 그 위치가 SYNC Start=30020라는 뜻입니다. 다른 자막에는 당연히 그 숫자가 다르겠죠. 그리고 같은 영상처럼 보일지라도 실제 길이가 다른 영상은, 같은 음성의 자막 위치도 다를 것입니다. 한마디로 A에 대한 영상의 자막은 A에만 유효한 것입니다. 다른 것(영상+자막)은 당연히 다릅니다. 그리고 milli second를 맞추기는 쉽지 않겠죠. 그래서 노하우가 필요한 것이고, 자막을 싱크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