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인슈넷]

보험가입 경력에 따른 보험료 차이는 처음 가입자의 경우 3년간 지속됩니다. 그런데 보험가입 경력이란 꼭 자동차보험을 가입하지 않아도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험가입 경력요율을 활용하여 보험료를 절감하는 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자동차보험에 가입하지 않고도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는 6가지

국내에서 자동차보험을 가입한 기간은 당연히 보험가입 경력에 포함됩니다만 이 외에도 아래에 해당하는 기간은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됩니다.

  1. 군대에서 운전병으로 근무한 기간 (병무청 병적증명서로 입증)
  2. 관공서에서 운전직으로 근무한 기간 (관공서 근무경력증명서로 입증)
  3. 법인체에서 운전직으로 근무한 기간 (법인체 근무경력증명서로 입증)
  4. 택시버스의 운전기사로 근무한 기간  (운수업체 근무경력증명서로 입증)
  5. 오토바이를 책임보험이나 종합보험에 가입한 기간 (보험사 보험료영수증으로 입증)
  6. 외국에서 자동차보험을 가입한 기간 (외국의 보험가입증명서보험증권으로 입증)
보험가입 경력을 만들어 장래의 보험료를 절약하기 위한 몇 가지 Tip
  • 군대, 관공서, 법인체 등에서 운전하는 사람은 꼭 보직을 운전직으로 변경하십시오.
  • 가족이 함께 쓸 차를 처음 구입한다면 가족 중에서 보험가입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사람의 명의로 차를 등록하십시오.
  • 외국에 장기간 나갈 때는 자동차보험 가입증명서를 영문으로 발급받으십시오. 외국에서도 국내의 자동차보험 가입경력을 인정해 주므로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외국에서 자동차보험을 가입했다면 귀국할 때 운전자명이 기재된 보험가입 증명서를 영문으로 발급받으십시오. 끝.

관련자료

 

* 차주 = 피보험자 = 대형면허소지 및 경력자 = 자가용버스 구입시 보험료할인.

cf. 차주 = 피보험자 = 면허없는 사장님 = 기사경력과 관계없이 보험가입경력으로만 인정.

cf. 법인체가 아닌 개인사업자에 고용된 기사는 경력인정안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