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어컨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자동차 전면에 보이는 사각형 은색)에서 냉매를 응축시키고 팽창밸브를 통해 온도/압력이 낮아진 냉매를 실내의 증발기로 보내고, 실내 또는 실외공기를 이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을 하여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것입니다.
에어컨은 압축 응축 팽창 증발 을 해서 열을 밖으로 내보내 주게 됩니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가스가 응축기에 가서 액체로 응축이 되구요 액체가 된가스는 팽창변을
통과하면서 저압의 가스가 되고 증발기를 거치 면서 기화가 일어나고 이때 주위 열을흡수 해서온도가 올라가서 가스는 기체로 됩니다
가스가 기체로 되면서 주위열을 흡수하니까 주위는 온도가 네려 가구요 이때 시원해진 바람을 자동차 내부를 시원하게 해주는겁니다
보통 자동차 냉매가스(R-134a)를 응축하여 충전하는데 냉매가스가 부족시 에어컨을 틀면 미지근한 바람이 나오죠.
냉매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냉매가스보다는 보통 콘덴서라고 하는데
콘덴서는 자동차 본넷 열면 제일 앞에 알루미늄으로 되어있는 부품....(튜브 좌우로 핀이 여러개 지그재그로 있는거)이 크면 클수록 좋고
2. 히터
히터는 자동차에는 엔진 및 각종 고온부의 온도를 낮춰주기 위해 물(부동액+물)을 순환시키는데, 이 순환중인 물을 에어컨과 동일하게 작은 응축기를 통과하고, 이 응축기에 실내/외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를 데운 후 실내로 보내는 것이 히터입니다.
정상적인차량의 경우 시동이걸리면 즉 엔진이 폭발하면 열이발생합니다
폭발이발생하는곳을 실린더블럭이라하는데요
블럭을 열변형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냉각수 즉 부동액이 블럭사이사이로 흐르며 엔진의
열을식히며 서서히 데워지죠[수온상승]
블럭사이사이로 물을 흘려보내는 역활을 워터펌프가 합니다
워터펌프는 시동이 걸리면 항상돌아가게끔 구조적으로 만들어져 있죠
시동이 걸려서 수온이 상승했읍니다
이물은 크러쉬페드 안쪽에 있는 히터 라디에이터 앞까지 항상 들어오죠
'자동차와면허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너레이터 알터네이터 alternator B단자 전압측정...펌 (0) | 2012.12.11 |
---|---|
배터리 불량이냐, 제너레이터 불량인가? 펌 (0) | 2012.12.10 |
자동차 공조기, 에어컨, 히터박스...펌 (0) | 2012.09.30 |
타이어 규격...펌 (0) | 2012.04.23 |
카운티 1단출발...펌 (0) | 201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