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디스크(추간판탈출증)
디스크가 신경 눌러 통증 유발....수술은 최후 수단

복잡해진 사회생활로 현대인은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특히 자동차, 컴퓨터 등의 이용이 잦아 불편한 자세를 장시간 취하게 되고, 운동부족 등으로 목, 허리 디스크(추간판 탈출증)를 유발하기 쉬운 환경에 살고 있다. 또한 척추 디스크의 증상이 전혀 없는 사람일지라도 다른 질병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디스크가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디스크가 있는 환자라고 해서 전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튀어나온 디스크가 신경을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신경이 붓거나 염증을 일으키게 되며, 주위 근육의 수축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통증은 1년 내내 지속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 기간 안정을 취하면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디스크증상으로 허리나 다리의 심한 통증 때문에 부축을 받으며 병원에 온 환자가 100명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환자들에게 아무런 치료도 하지 않고 집에 가서 두 달 정도 쉬었다가 다시 오라고 하면 두 달 후 100명의 환자 중 80-90명은 완전히 증상이 없어진 상태가 된다. 결국 80-90%의 디스크 환자는 치료를 받지 않아도 완치된다. 때문에 어떠한 치료를 받아도 증상이 좋아지게 되어 환자들은 그 치료 때문에 병이 낳은 것으로 착각하게 된다. 결국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10-20%에 불과한 것이다. 요통 및 하지통이 생겼을 때 약물요법과 물리치료를 해도 낫지 않는다고 전부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사 수술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디스크가 생기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결국 디스크란 난치병이라 할 수 있다.

수술을 생각하기 전에 일단 허리와 다리로 가는 신경치료를 받아야 한다. 즉 압박을 받고 있는 신경에 직접 신경치료약물을 주입해 신경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근육을 이완시켜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면 90%이상 증상이 호전된다. 그런데 이 때부터가 가장 중요한 시기다. 왜냐하면 재발과 완치여부는 환자 자신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우선 자세가 중요하다. 허리 디스크 환자는 허리가 굽은 자세를 장시간 취하게 되면 악화된다. 집에서 앉아 있을 때 방바닥에 책상다리를 하고 있으면 안 되고, 의자나 소파에 앉되 등받이가 직각인 것이 좋으며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걸터앉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당에서 식사를 할 때도 방바닥보다는 의자에 앉아 테이블에서 식사를 한다. 허리를 굽히고 무거운 것을 들고 난 후, 이사를 하고 난 후, 김장을 담그고 난 후, 책상다리를 하고 장기나 바둑, 특히 화투나 카드놀이를 장시간 한 후, 쪼그리고 앉아 빨래를 하거나 방바닥 걸레질을 하고 난 후에 디스크 증상이 악화된다.

서 있을 때 가장 중력이 많이 받는 곳이 허리 척추의 아랫부분과 무릎이므로 갑자기 체중이 증가된 사람에게서 척추 디스크 발생률이 높다. 체중이 늘면 그 무게로 인해 디스크가 더 많이 튀어나오게 되고, 척추를 받치고 있는 근육이 약해지면 척추만으로 몸을 지탱하게 되어 더욱 척추에 무리가 가므로 척추 디스크가 악화된다.

그러므로 척추 디스크 환자가 신경치료를 받고 난 후에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식을 피하고 지속적인 운동으로 체중을 줄이고 척추를 받치고 있는 근육을 강화시켜주어야 한다. 수영. 조깅. 경보. 에어로빅 등 전신 운동이 이상적이지만, 어떤 종목을 선택하느냐보다는 본인이 할 수 있는 종목 중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여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운동 후에는 10-20분 정도 온탕을 해서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노폐물을 제거시켜야 한다. 그리고 적당한 취미생활로 스크레스를 해소하고 규칙적인 생활로 건강의 리듬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TV 시청이나 컴퓨터 사용시 또는 운전시 목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실제로 디스크 환자 중 수술을 받는 환자는 10% 미만이다. 디스크가 신경을 심하게 눌러 해당 부위에 감각소실이 생기거나 엉덩이 부위에 감각이 둔해지면서 소변이나 대변을 보기가 힘든 경우에 수술을 시행한다. 근래에는 선진국에서도 약물요법과 물리치료 등을 시행했으나 호전이 없는 경우 디스크 환자의 대부분을 신경치료로 치유시키고 있는데, 만족스러운 효과를 보이므로 보편적인 치료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술은 최후의 수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의료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에 대해...펌.  (0) 2007.10.13
Agitated Depression 격정성 우울증...펌  (0) 2007.10.12
의사랑 회원등급 관련...펌.  (0) 2007.10.06
[스크랩] 신대체요법  (0) 2007.09.15
선관주의의무(善管注意義務)  (0) 2007.09.11

+ Recent posts